서울의 맛 서울의 맛 서울의 맛 by 정민윤| 서울 음식이 뭐야? 누군가 물어보면 ‘소설’로 데려가고 싶다. 전통을 세련되게 포장한 솜씨를 맛보노라면, 이것이 진정한 서울의 맛이구나 싶으니까. 레스토랑 소설은 품 서울과 모수 서울에서 경력을 쌓은 엄태철 셰프가 담담한 문체로 한식을 써내려가는 곳이다. “한식의 근본은 유지하되, 현재를 사는 사람들이 by 정민윤|
팜투테이블의 미래 팜투테이블의 미래 팜투테이블의 미래 by 신진수| 식물을 재배하는 데 필수 요소인 햇빛과 흙이 없는 미래형 농장 ‘팜 원’은 신선한 재료를 농장에서 바로 식탁으로 올리는 팜투테이블의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에서 신청하면 참여할 수 있는 팜 원의 투어 프로그램. 미식의 도시 뉴욕에서 요즘 가장 by 신진수|
한국 안의 광동 한국 안의 광동 한국 안의 광동 by 정민윤| 서울숲에서 흔치 않은 광동 요리를 맛볼 수 있게 되었다. 신라호텔 팔선 출신의 왕호성 셰프가 총괄 셰프로 있는 중식당 서우는 기름지지 않고 담백한 광동 음식을 선보이는 곳이다. 지역의 특색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하는 광동 요리에 한국의 장맛을 적용한 한국식 광동 요리를 선보인다. by 정민윤|
류니끄의 7년 류니끄의 7년 류니끄의 7년 by 문은정| 류태환 셰프의 요리에는 웃음기를 꽉 참은 듯한 아이의 천진난만함이 담겨 있다. 격식을 따지는 파인 다이닝에서 이런 요리를 선보이는 게 쉽지 않음을 안다. 그렇게 항상 재미있는 요리를 해온 레스토랑 ‘류니끄’가 7주년을 맞았고, 갤러리아백화점에 위치한 ‘루프탑 바이 류니끄’에서 3코스 요리를 선보였다. by 문은정|
면과 한잔 면과 한잔 면과 한잔 by 정민윤| 누들바 미연은 컨설팅 회사를 다녔던 친구들과 두 셰프가 모여 오픈한 레스토랑이다. 미국의 유명 셰프 데이비드 장의 모모푸쿠에서 영감을 받은 공간답게 다양한 스타일의 면 요리를 선보인다. 탄탄면이나 마라롱샤, 성게소바 등 아시아를 베이스로 한 풍미 가득한 요리를 만나볼 수 있다. 인기 메뉴는 by 정민윤|
먹으러 가는 호텔 먹으러 가는 호텔 먹으러 가는 호텔 by 문은정| 회현역 뒤편이 공터가 되었을 때부터 궁금했다. 뭘 만들려고 저렇게 대대적으로 부수나. 그 궁금증의 끝자락에서 비로소 레스케이프 L’Escape 호텔의 오픈 소식을 들었다. 지상 25층, 204개의 객실로 구성된 호텔은 디자이너 자크 가르시아 Jacques Garcia가 19세기 파리 귀족 사회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했는데, 특유의 by 문은정|
성수동의 이색 공간 성수동의 이색 공간 성수동의 이색 공간 by 정민윤| 성수동 피혁 거리에서 눈에 띄는 공간 ‘타이거풀’을 발견했다. 술과 음식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타이거풀은 오래된 공장을 1년이라는 오랜 공사 기간을 통해 탈바꿈한 곳. 까만 벽돌로 지어진 건물을 수놓는 대나무와 이국적인 식물, 철제 가구와 샹들리에는 도심에서 숲을 만난 듯 이국적인 by 정민윤|
미쉐린과 함께하는 한 달 미쉐린과 함께하는 한 달 미쉐린과 함께하는 한 달 by 문은정| <미쉐린 가이드>가 오는 6월 18일부터 7월 15일까지 다이닝 위크를 개최한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 2018 스타 셰프 쇼케이스’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총 11개의 미쉐린 스타 레스토랑이 참여한다. 2년 연속 3스타를 수상한 신라호텔의 라연을 비롯해 2스타인 권숙수, 곳간, 정식당, 1스타인 다이닝인스페이스, by 문은정|
가구점 안의 레스토랑 가구점 안의 레스토랑 가구점 안의 레스토랑 by 신진수| 매끼 다른 음식을 제공하며 인테리어숍도 구경할 수 있고, 때로는 카페로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뉴욕의 라 메르세리는 이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공간이다. 요즘 뉴욕 레스토랑 업계에서는 두 가지 트렌드가 유행하는데, 공간 안에 오픈하는 레스토랑 형태와 올데이카페 All-day-cafe 컨셉트로 운영되는 by 신진수|
가성비 좋은 레스토랑 가성비 좋은 레스토랑 가성비 좋은 레스토랑 by 문은정| 흥미로운 팝업 행사가 즐비하지만, 발효 음식을 주제로 한 팝업은 무척 새롭다. 오는 6월, 청강문화산업대학 푸드스쿨의 노재승 교수가 ‘카페 성수’에서 팝업 레스토랑을 선보인다. 음식은 노 교수가 대학과 MOU 협정을 맺은 명인명촌의 의뢰를 받아 개발한 것으로 ‘전통 음식의 세계화’를 주제로 한다. 지난 by 문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