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ze it!

Freeze it!

Freeze it!

냉국, 김치말이국수, 자루소바 그리고 빙수까지. 생각만 해도 시원하고 침 꼴깍 넘어가게 만드는 여름 별미를 15분 만에 후다닥 만들어 먹는 노하우. ‘얼려라 그러면 더위를 잊을 것이다.

더위가 엄습해 입맛이 없어지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게 바로 ‘냉면’이다. 톡 쏘는 겨자와 식초가 어우러진 시원한 국물은 생각만 해도, 또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돈다. 가슴까지 시원하게 해주는 냉면 맛집의 트레이드마크는 빙수처럼 면을 소복이 덮고 있는 살엄음 육수! 가정에서도 육수를 얼려놓으면 무더위에 땀범벅이 되어 집에 들어 온 남편이나 아이들에게 시원한 냉국이나 김치말이국수를 후다닥 만들어줄 수 있다. 더군다나 여름에는 뜨거운 가스레인지 앞에서 조리하는 것 자체가 고역이니 한꺼번에 육수를 만들어놓으면 앞에 서야 하는 횟수가 준다. 먼저 한여름 식탁에 가장 자주 오르는 냉국을 정말 시원하게 먹을 수 있는 방법부터 마스터해보자.

냉국은 집마다 레시피가 다르고 맛내기가 은근히 어려운 메뉴. 하지만 필요한 재료도 많지 않고 조리 단계도 간단해서 자주 찾게 되는데 맹물로 국물을 만들면 뭔가 허전하다. 이럴 때 미리 다시마 국물을 만들어 얼려놓으면 좋다. 우선 냄비에 10x10cm의 다시마 1장과 생수 3컵을 넣고 끓인다. 물이 끓어오르면 중간 불에서 거품을 걷어내며 5분 정도 끓인 후 식힌다. 아이스큐브에 이 다시마 국물을 얼려 보관한다. 냉국을 만들 때 이 다시마 국물 얼음을 꺼내 블렌더에 넣고 휘리릭 간다. 그런 다음 식초 4큰술에 설탕 2큰술을 넣고 잘 섞어 설탕이 완전히 녹으면 소금 1 1/2큰술을 넣어 간한 것을 다시마 국물과 섞으면 끝! 이렇게 하면 냉국을 만들어 냉장고에 넣거나 시원하게 먹기 위해 얼음을 넣어도 냉국이 싱거워질 염려가 없다. 여기에 불린 미역과 오이를 곁들이면 오이 미역 냉국, 우무를 가늘게 썰어 넣으면 우무 냉국, 남은 콩나물 무침을 넣으면 콩나물 냉국을 만들 수 있다.

김치말이국수와 묵밥은 멸치 육수로 만든다. 멸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더 길고 납작하며 등 쪽이 파랗다 하여 ‘디포리’로 불리는 밴댕이가 있다면 더 좋다. 우선 멸치나 디포리를 마른 팬을 뜨겁게 달구어 태우듯이 볶다가 생수 8컵을 붓고 10x10cm의 다시마 2장을 넣어 은근하게 우린다. 끓기 직전에 다시마는 건지고 약한 불에서 30분~1시간 정도 끓인 뒤 면포에 거른다. 이 국물 역시 식힌 후 아이스큐브에 담아 얼린다. 양념을 대충 턴 김치를 잘게 썰어 간장, 설탕,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조물조물 무친다. 얼린 멸치 육수를 꺼내 블랜더에 갈아 삶은 국수나 채 썬 묵과 곁들이면 여름밤 별미 완성. 겨울에 담근 동치미 국물도 따로 얼려두었다가 김치말이 국수에 곁들이면 금상첨화다.

냉면과 함께 여름 별미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자루소바도 집에서 만들 수 있다. 토톰하고 흰 분이 많은 다시마를 구해 젖은 행주로 겉면을 살짝 닦은 후 냄비에 넣고 생수 8컵을 부어 끓인다. 물이 끓어오르기 직전에 다시마를 건져내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찬물을 조금 넣어 온도를 내린 뒤 가츠오부시 한 줌을 분량대로 넣고 다시 한 번 끓이지 말고 잠깐 끓여 불을 끈 뒤 물을 식히면서 우려내야 시원한 국물을 만들 수 있다. 여기에 간장 4큰술, 설탕 1큰술, 맛술 3큰술을 넣고 다시 끓기 시작하면 국물을 식혀 같은 방법으로 얼린다. 자루소바가 먹고 싶을 때 얼음 육수를 갈고 삶은 메밀면, 강판에 간 무, 송송 썬 실파, 가늘게 썬 김, 고추냉이만 준비하면 식당 못지않은 맛을 낼 수 있다.

빙수도 1만원을 호가하는 카페 빙수 못지않게 만들 수 있다. 맹물 대신 과일이나 우유, 커피 등을 얼려두었다가 갈기만 하면 끝. 옛날빙수나 팥빙수는 다양한 토핑이 있어야 제맛이 나는데 먹고 남은 과일이나 우유를 얼려놓으면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여름 디저트가 완성된다. 대신 모든 재료의 어느 점이 다르기 때문에 설탕, 소금, 등 다른 물질이 들어간 액체는 얼리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또한 와인과 같은 알코올 등은 한 번 끓여 알코올을 날린 후 얼려야 단단하게 얼릴 수 있다. 토마토는 열십자로 칼집을 낸 후 끓는 물에 살짝 데쳐 껍질을 벗기고 수박은 포크로 씨를 제거해 블렌더에 곱게 갈아 아이스큐브에 담아 얼린다. 우유는 흰우유뿐 아니라 딸기우유,초코우유, 녹차우유를 아이스큐브나 밀폐용기에 넣어 얼린 후 먹을 때 연유나 단팥, 시리얼 등을 곁들인다. 커피믹스는 뜨거운 물 3컵에 2봉지를 넣고 잘 녹인 후 얼린다. 그냥 갈아 먹어도 맛있지만 초콜릿을 잘게 부숴 토핑하면 좋다. 레드와인은 냄비에 넣고 끓어오르면 약한 불에서 10분 정도 더 끓인 후 식혀 얼리는데 와인, 설탕, 물엿을 끓인 와인 시럽을 곁들인 후 껍질을 깐 포도를 토핑하면 맛도 멋도 근사하다.

CREDIT

에디터

TAGS
20세기 아이코닉 디자인 III

20세기 아이코닉 디자인 III

20세기 아이코닉 디자인 III

시간이 흐를수록 가치가 더욱 빛나는 아이코닉 디자인.

ⒸMaisonkorea

조지 나카시마 코노이드 라운지 체어

디자이너 조지 나카시마. 1989. 조지 나카시마 제품으로 조지 나카시마 우드워커스에서 주문 제작.

ⒸMaisonkorea

닥터 글로브 Dr Glob

디자이너 필립 스탁. 1997. 아파트먼트풀 마켓(market-apartmentfull.kr)제품. 40만원대.

ⒸMaisonkorea

pp 503 체어

디자이너 한스 베그너. 1949. pp 뫼블러 제품으로 이노메싸(02-3463-7752, innometsa.com)에서 판매. 900만원대.

ⒸMaisonkorea

다이아몬드 체어

디자이너 해리 버토이아 1952. 놀 제품으로 두오모(02-6958-9222, duomo.co.kr)에서 판매. 300만원대.

ⒸMaisonkorea

엠브리오 체어

디자이너 마크 뉴슨. 1988. 카펠리니 제품으로 TRDST(02-1688-1097, trdst.com)에서 판매. 가격 미정.

ⒸMaisonkorea

텅 Tongue 체어
디자이너 피에르 폴랭. 1967. 럭스리빙(luxliving.co.kr)에서 판매. 가격 80만원대.

ⒸMaisonkorea

임스 엘레펀트 Eames elephant

디자이너 찰스 & 레이 임스. 1945. 어라운드 360(010-3721-0360, around360.kr)에서 판매 가격 10만원대.

ⒸMaisonkorea

카밀라 체어 Kallemo Camilla Chair

디자이너 욘 칸델. 1982. 칼레모 제품으로 IPSSI(1588-3816)에서 판매. 120만원대

CREDIT

에디터

TAGS
도자기 하나에 마음 담아보기

도자기 하나에 마음 담아보기

도자기 하나에 마음 담아보기

시간과 마음이 담긴 도자기 제품으로 특별해지는 일상의 공간.

 

오자크래프트

©ojacraft

©ojacraft

©ojacraft

©ojacraft

©ojacraft

©ojacraft

©ojacraft

©ojacraft

오자크래프트는 빈티지한 느낌을 살려 슬립 캐스팅 기법으로 흙을 빚어 만드는 핸드메이드 도자기 브랜드이다. 매장에 들어서면 빈티지한 테이블 위에 오자크래프트의 대형 플레이트와 세라믹 오브제들이 감각적으로 전시되어 있다. 쇼룸 곳곳에는 백자로 제작된 앤틱한 디자인의 팬던트 램프가 은은한 빛을 뿜어내며 차분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다양한 디자인과 크기의 플레이트, 볼, 오브제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벽면의 빈티지 서랍장에는 캔들, 인센스 홀더 등 소형 세라믹 제품들도 함께 진열되어 있다. 최근 연희동으로 쇼룸을 옮기며 공간의 이름을 ‘오자서울’로 새롭게 정했다. 앞으로는 작지만 소중한 전시들을 통해 감각적인 영감을 나눌 예정이다.

ADD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11가길 24, 3층 INSTAGRAM @ojacraft

 

푸레

©purae

©purae

©purae

©purae

합정역과 망원역 사이에 위치한 이 공간은 세라믹 작가 박혜성이 운영하는 도예 공방이다. 푸레만의 고유의 색감들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원데이 클래스와 정규반 수업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공방은 작은 공간이지만 전체적으로 깔끔한 화이트 인테리어에 감각적인 디스플레이가 더해져 전시 공간처럼 느껴지며, 푸레의 도자기들과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공방 한편에는 도예 작품 외에도 종이꽃 브랜드 포에지(@flantfromthepaper)도 구매할 수 있으며 식물의 잎, 꽃, 가지 등의 형태를 석고 틀로 찍어내는 기법은 푸레만의 독창적인 포인트로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특별한 감성을 전달한다. 푸레는 섬세한 도예 작품과 독창적인 오브제를 함께 만날 수 있어, 도자기와 공예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놓치지 말아야 할 장소이다.

ADD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로 1길 51 INSTAGRAM @purae.kr

 

나이트프루티

©nightfruiti

©nightfruiti

©nightfruiti

©nightfruiti

©nightfruiti

©nightfruiti

도자기 오브제부터 주얼리, 의류, 자석, 다양한 홈 아이템까지 나이트 프루티는 자연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선보이는 브랜드이다. 오브제 제품은 핸드메이드로 제작되어, 오직 하나뿐인 유니크한 오브제를 만나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매장은 화이트 톤 인테리어와 비정형 구조물이 어우러져 마치 유럽의 작은 공간을 연상시킨다. 특히, 버섯 형태의 마그마가 붙어있는 인테리어와 그리스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카운터 디자인은 브랜드만의 개성을 한층 강조한다. 나이트 프루티는 단순한 전시와 판매 공간을 넘어, 나이트 프루티만의 감성이 담긴 컵, 접시, 인센스 홀더 등 자신이 원하는 2~3개의 도자기 작품을 직접 만들고 디자인할 수 있는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데이트 코스로도, 감각적인 선물을 찾는 이들에게도 추천할 만한 곳이다.

ADD 서울 종로구 대학로 11길 41-6  INSTAGRAM @nigihtfruiti

CREDIT

어시스턴트 에디터

왕지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