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7

team7

team7

q

CREDIT
똑똑한 냄비와 팬

똑똑한 냄비와 팬

똑똑한 냄비와 팬

조리법에 알맞은 냄비와 팬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요리하다 냄비를 태우거나 프래이팬에 음식이 눌어붙는 일이 잦을 수 있다. 소재 별 필수 조리 도구와 그에 따른 사용법 및 관리법을 소개한다.

알루미늄 코팅
알루미늄 소재에 티나늄, 세라믹, 다이아몬드 등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코팅한 조리 도구. 얇고 가벼우며 열전도율이 빨라 요리하기 쉽다. 다만 코팅이 벗겨지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나오므로 주의한다.

1 곰솥
사골국과 육수 등 많은 재료를 넣고 장시간 끓이는 용도로 사용하는 냄비. 직경이 넓고 깊이가 깊으며, 많은 양을 조리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양수 디자인이 좋다. 글라스락 셰프토프 제품으로 유하스몰에서 판매. 26cm, 10만9천원.

2 프라이팬
열전도율이 높고 음식이 눌어붙지 않는 것이 특징. 뜨거울때 찬물에 바로 닿으면 코팅이 벗겨지므로 먼저 종이타월로 닦고 세제와 물로 씻는다. 테팔 컴포트 터치 제품으로 테팔숍에서 판매. 28cm, 5만8천5백원.

3 양수냄비
높은 열에 타거나 변색되지 않고 세척이 쉬워 찌개, 국 등 다용도로 사용하는 냄비. 주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이므로 용도나 크기를 달리해 2~3개쯤 구비하면 좋다. 네오플램 일라 제품으로 네오플램샵에서 판매. 20cm, 5만8천5백원.

4 소스팬
직경이 좁고 깊이가 깊은 작은 사이즈의 편수 냄비. 각종 소스나 이유식 등 국물이 있는소량의 요리를 조리할 때 유용하다. 네오플램 제품으로 네오플램샵에서 판매. 14cm, 2만6천4백원.

스테인리스 스틸
강도가 강하고, 녹슬지 않으며 변형이 적은 편이라 오랫동안 사용해도 그 형태를 유지한다. 열전도율이 낮지만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므로 식재료가 속까지 골고루 익는다. 프라이팬의 경우 충분히 예열한 후 사용해야 음식이 눌어붙지 않는다.

5 양수냄비
금방 뜨거워져 쉽게 끓어오르는 코팅 냄비와 달리 열전도율이 낮아 늦게 끓어오르지만 요리할 때 덜 넘치고 음식이 눌어붙지 않아 좋다. 보온성 역시 좋은 편.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찌개나 국물 요리를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한다. 처음 사용하는 제품은 한번 팔팔 끓였다가 사용하면 좋다. 휘슬러 솔라 제품으로 신사동 휘슬러 갤러리에서 판매. 20cm, 60만원대.

6 전골냄비
자작하게 요리할 때 사용하는 냄비. 직경이 넓고 깊이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열 보존율이 높아 한번 끓여 식탁 위에 올려놓아도 잘 식지 않는다. 리빙한국 제품으로 한국도자기에서 판매. 24cm, 18만7천원.

7 편수냄비
한 손으로는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내용물을 젓거나 볶을 때 유용한 냄비. 볶음 요리를 할 때는 예열(강한 불에 냄비를 뜨겁게 달군 후 식히거나 약한 불로 10분정도 달군다)해서 사용한다. 음식이 눌어붙었을 경우 물에 1~2시간 정도 담가두면 제거할 수 있다. 헹켈 즈윌링 센세이션 제품으로 전국 백화점에서 판매. 20cm, 35만원.

8 소스팬
소스와 이유식을 만들 때 일정 온도가 지속되어 불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간단한 볶음 요리를 할 때도 편리하다. 휘슬러 솔라 제품으로 신사동 휘슬러 갤러리에서 판매. 16cm, 30만원대.

무쇠주물&내열유리
무쇠 주물은 냄비 바닥과 옆면, 뚜껑의 두께가 모두 같아 열이 고루 퍼지고, 열 보존율이 높아 음식을 빨리 익힐 수 있다. 오븐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무겁고 한번 흠이 생기면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한다. 내열유리는 오랫동안 가열해도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는 친환경 제품. 열전도율이 빨라 쉽고 빠르게 요리할 수 있으며, 식기세척기나 열탕 소독에 파손될 염려가 없어 위생적이다.

9 내열유리
양수냄비 국과 찌개 요리에 많이 사용하며, 냄비 안에서 조리되는 과정이 보여 초보 주부들이 사용하기에 좋다. 가스레인지, 전자레인지, 오븐 등은 물론 냉장고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조리 후 냄비 그래도 냉장 보관이 가능하다. 비전 제품으로 전국 백화점에서 판매. 19cm, 가격 미정.

10 주물 양수
냄비 바닥, 옆면, 뚜껑의 두께가 모두 같아 열전도율이 높다. 묵직한 뚜껑은 수분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해 저수분 요리가 가능하며, 음식이 고루 익어 원재료의 맛을 유지할 수 있다. 솥밥 요리, 삶는 요리, 찜 요리 등 다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르크루제 제품으로 청담동 부티크에서 판매. 22cm, 41만원.

11 주물 그릴팬
블랙 에나멜 코팅으로 열전도율이 높고 보온성이 뛰어나다. 재료의 수분과 기름을 유지, 속은 부드럽고 표면은 바삭하게 익힌다. 볶음 및 오븐 요리에 유용하다. 르크루제 스킬렛 제품으로 청담동 부티크에서 판매. 23cm, 17만3천원.

12 주물 소스팬
식재료의 맛을 우려내는 스튜와 소스 등의 자작한 국물 요리는 물론 온도 유지가 잘되어 초콜릿과 우유 등을 중탕할 때 편리하다. 스타우브 제품으로 전국 백화점에서 판매. 14cm, 25만8천원.

에디터 송정림 | 포토그래퍼 조용기 | 어시스턴트 김지희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
마음을 켜는 스위치

마음을 켜는 스위치

마음을 켜는 스위치

한국을 방문한 스페인의 스위치 전문 브랜드 폰티니(Fontini)사의 마케팅 디렉터 요셉 라미레즈(josep Ramirez)에게 던진 몇 가지 질문.

스위치 전문 브랜드 폰티니(Fontini)에 대해 설명해달라.
1950년에 창립해 올해로 64년째를 맞이하며, 3대 CEO 로저 폰트(Roger Font)가 가업을 이어가고 있다. 디자인 스위치를 개발, 생산하는 기업으로 프로젝트별로 맞춤 스위치를 생산해 스페인을 비롯해 유럽, 러시아, 동구권 등 세계 60여 국에 진출해 있다.

60여 년을 이어온 브랜드의 원동력은 무엇인가?
폰티니사의 슬로건은 ‘Turn on Emotion’이다. 사람들의 감정을 일깨운다는 의미로 그만큼 차별화된 디자인과 기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다시 말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아날로그적인 방식의 스위치와 미니멀한 디자인을 동시에 선보이고 있다. 전통은 고수하되 변화와 혁신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오랜 세월 브랜드를 이끌어온 원동력인 것 같다.

폰티니사에서는 어떤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가?
‘폰티니(Fontini)’와 ‘폰트 바로셀로나(Font Barcelona)’, 이렇게 두 라인으로 나뉜다. 폰티니에서는 ‘가비(Garby) 컬렉션’과 ‘1950 컬렉션’을 선보이는데 낡은 듯 하지만 클래식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폰트 바로셀로나는 5.1컬렉션이 대표적인 라인으로 현대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을 선보인다.

유럽에서의 인기에 반해 국내에서는 생소하다
그간 간헐적으로 한국의 인테리어 회사나 소비자들에게 직접 주문이 들어와 판매한 적이 있다. 우리의 디자인을 찾아 인터넷으로 주문하는 이들이 많아 놀라기도 했다. 이번 방한은 한국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디자인을 조사하고 배급처를 찾기 위해서다. 한국의 건축 설계사무소와 인테리어 회사, 전기와 조명을 판매하는 회사를 몇 군데 방문했는데 디자인을 보는 감각이나 세부적인 디테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독일과 비슷한 것 같다. 한국은 준비되어 있는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폰트 바로셀로나 라인의 모던한 스위치.
아래 클래식한 디자인의 1950 컬렉션.

아날로그 스타일의 포슬린 스위치가 특히 인기 있다고 들었다.
포슬린 스위치는 스페인이나 프랑스 등 유럽에서 인기 있지만 특히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다. 시간이 느껴지는 디자인 때문에 오래된 성이나 호텔, 낡은 농가 주택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슬로베니아의 벤더 어번 호텔과 프랑스의 레지나 호텔, 불가리아의 슬라카니카 호텔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2013년 레드닷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했다고 들었다. 어떤 제품인가?
현대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5.1컬렉션’ 가운데 바르셀로나의 유명 디자이너 오리올 기메라(Oriol Guimera)와 협업한 디자인이다. 일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디자인은 어떤 과정을 통해 결정되는가?
회사에 디자인 팀이 있다. 스페인의 유명 디자이너들과 협업할 때도 있다. 얼마 전에는 전도유망한 신진 디자이너를 영입해 함께 일하고 있다. 올해에는 과거의 디자인을 새롭게 조명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제품의 단가 때문에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폰티니사의 경우는 어떤가?
바로셀로나에서 40km쯤 떨어진 산타페르페투아 데 모고다에 위치한 공장에서 디자인과 품질 관리를 거쳐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아시아 시장에 대한 전망은 어떤가?
아시아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그동안 파리에서 열리는 메종&오브제를 비롯해 유럽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참여했지만 이제 아시아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참여하는 횟수를 늘릴 예정이다. 3월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건축+자재(Architecture+Construction Material) 박람회’와 4월 필리핀에서 열리는 ‘월 벡스(Wall Bex) 전시회’에 참여한다.

↑ 폰티니사의 인기 아이템인 가비 컬렉션의 포슬린 스위치.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고대은 | 촬영협조 스페인 무역 진흥청 · 메이드 오브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