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납, 어렵지 않아요

수납, 어렵지 않아요

수납, 어렵지 않아요

정리 정돈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이들에게는 좀더 실질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복잡할 것 같지만 의외로 간단한 몇 가지 규칙만 이해하면 수납의 귀재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의욕을 갖고 정리를 해보지만 잘되지 않는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는 것을 ‘정리’라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버리기는 정리를 위한 기초 단계다. 쓸데없는 것들을 버린 후에 남은 물건들을 가지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분류한 후 제자리를 찾아주는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정리가 완성된다. 수납의 본질은 삶을 유지해주는 물건들이 더욱 유용하게 쓰일 수 있도록 제자리를 정해주는 것이다.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기가 너무 어려워 포기하고 ‘대충 해도 그만이야’라고 생각한다면 금물! 일본의 유명한 정리 컨설턴트 곤도 마리에는 정리를 잘해야 인생이 즐거워진다고 말한다. 정리를 하다 보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것에 가치를 두는지 알게 되면서 일상의 소소한 재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어수선한 주변을 말끔히 정리하기 위한 수납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가장 먼저 집 안의 수납 상태부터 확인하고 장소에 따라 용도별로 소품을 차곡차곡 정리하도록 한다.

옷장
수납할 물건은 사용 빈도에 맞춰 결정하는데 무엇보다 옷을 쉽게 찾고 꺼낼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옷이 상하지 않으면서 꺼내기도 쉬운 이상적인 옷장의 넓이는 파이프 길이보다 20% 정도 여유가 있는 정도이지만 손을 가볍게 폈을 때 들어갈 공간만 있다면 문제없다. 의류나 침구는 평소 쓰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하고 위쪽 선반 등 손이 닿지 않는 높이의 수납 공간에는 제철이 아닌 옷을 보관한다. 수납 용품을 구입할 예정이라면 벽장이나 붙박이장의 크기를 먼저 재서 사이즈가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실측할 때는 문을 열었을 때의 부분을 재는 것이 중요하며, 파이프가 있을 때는 파이프 바로 밑에서부터 높이를 잰다.

베란다·세탁실
베란다와 세탁실은 창고로도 겸할 수 있는 곳이라 계절이 지난 물건들을 보관하기 좋다. 하지만 마구잡이로 몰아넣게 되면 금방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정리 정돈에 가장 신경 써야 하는 곳. 먼저 어떤 물건을 보관해놓았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쪽 벽면에는 천장 높이의 개방형 수납장 등을 설치하고 그 외에는 필요에 따라 철제 선반, 플라스틱 수납함 등을 크기에 맞춰 배치한다. 세탁기 주변에는 세제, 건조 도구, 빨래집게 등 다양한 물건을 두게 되므로 세탁기 위에 이동식 선반을 달고 바구니나 박스 등에 수납하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아울러 바퀴가 달린 헹어를 두면 어수선한 세탁물이나 의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데 편리하다.

주방
식기, 냄비, 볼 등 자주 쓰는 기본적인 용품은 동선 가까이에 배치하고 베이킹 도구나 피크닉 용품 등 자주 사용하지 않는 물건은 싱크대나 가스레인지 밑을 활용해 수납한다. 국자, 주걱, 뒤집개 같은 조리 도구는 벽에 고리를 붙여 두기보다 서랍에 넣어 보관하는 것이 좋다. 바깥에 꺼내놓으면 물이나 기름이 튀어 쉽게 오염되고 청결한 주방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식기는 알게 모르게 점점 늘어나게 되므로 수납 방법을 고심하게 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방식의 식기 스탠드에 세로로 꽂아서 보관하면 어떤 그릇이 있는지 한눈에 알 수 있어서 편리하다. 작은 주발이나 찻장 등 깊이가 있는 그릇은 서랍에 보관하면 깔끔하고, 유리 볼이나 간장 종지처럼 작은 식기류는 바구니나 박스에 넣어 식기장에 수납하면 손쉽게 꺼내 쓸 수 있다.

거실 수납장
가족 공용 공간인 거실은 책과 잡지, 신문, 각종 리모컨, DVD, 열쇠, 손톱깎이, 귀이개 등 자잘한 생활용품으로 어수선해지기 쉽다. 거실 수납에서는 무엇을 보이고 감출 것인지 선택하는 것이 포인트. 안경, TV 리모컨, 잡지 등 자주 쓰는 물건들은 손쉽게 넣고 꺼낼 수 있는 보관함에 정리한다. 수납장은 30~50cm 정도 되는 깊이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서랍의 최대 높이는 눈높이보다 한 단계 아래 있는 것이 적합하며, 서랍의 윗면이 턱 아래에 있어야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사용하기 쉬운 높이는 바닥에서 45cm 정도(무릎 근처)부터 턱 아랫부분까지로 서 있는 상태에서 손보다 아래에 있는 부분은 몸을 숙여서 사용해야 한다. 물건을 꺼내기 쉬운 높이의 순서는 ‘중→저→고’ 이므로 가볍고 부피가 큰 물건일수록 위쪽에, 무겁고 자잘한 물건일수록 아래쪽에 두는 것이 좋다.

INFO 정리 습관을 들이기 위한 3단계

1 물건보다 생각을 먼저 정리한다
방 정리를 시작하기 전에 우선 자신의 생활을 돌아보며 필요한 것과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답을 바로 찾기가 어렵다면 버릴 물건과 남길 물건을 분류하면서 생각을 정리해도 좋다. 목표가 생기면 필요한 물건과 좋아하는 물건, 보관할 물건이 명확해지면서 정리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된다.

2 현재 수납공간을 다시 점검한다
수납공간이 많다고 수납을 잘하는 것은 아니다. 수납공간은 블랙홀 같아서 넣을 수 있는 만큼 물건이 늘어나게 되고, 잔뜩 쌓아둔 다음에는 무엇을 뒀는지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집에 어느 정도 수납공간이 있는지 점검하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3 감추기와 드러내기를 적절히 활용한다
집 안에 있는 물건은 색상, 형태, 크기 등이 모두 제각각이다. 미관을 해치거나 생활의 흔적이 드러나는 물건은 서랍에 넣거나 선반에 롤스크린, 천을 씌워 깨끗하게 감춘다. 또 시각적으로 만족을 주는 물건들은 유리로 된 장식장에 놓거나 사이드 테이블 등 가구를 활용해 가까이 두고 즐기도록 한다.

ITEM

1 최대 300kg까지 보관할 수 있는 수납 박스는 접이식이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하기 편리하다. 코발트샵에서 판매. 40×30×14.5cm, 9천9백원.
2 높은 곳에 올려놓아도 열기 쉽도록 손잡이를 아래쪽에 낸 ‘스페이스 빌더’는 여러 개 쌓아서 사용해도 좋다. 한샘 제품. 3만5천원.
3 지저분한 케이블 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멀티탭 ‘플러그 팟’은 텐바이텐에서 판매. 5만4천원.
4 가로, 세로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 높은 ‘ㄷ자 가구’는 안쪽에 책 등을 보관할 수 있다. 무인양품 제품. 높이 35×30×35cm, 12만원.
5 수납장에 끼워서 작은 선반처럼 활용할 수 있는 정리 랙은 3개 세트로 한샘 제품. 1만2천9백원. 6 모자, 목도리 등을 보관할 때 유용한 리즈 행잉 오거나이저 5단 서랍은 한샘 제품. 7천9백원.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김대형
참고도서 <버리면서 채우는 정리의 기적> 곤도 마리에, 더난 ·<공간 2배 행복 2배 수납법> (사)일본라이프로거나이저협회, 싸이프레스 · <좁은 집 넓게 쓰는 정리의 기술> 카와카미 유키, 리스컴 · <친절한 인테리어> 신성출판사 편집부, 에디터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
NOW (4)

NOW (4)

NOW (4)

출격! 리빙 팝업 스토어, 사이 좋은 공간, 즐거운 반전, 기특한 화장대

퀄키의 제품
아래 롯데백화점 리빙 팝업 스토어 예상 3D도면

출격! 리빙 팝업 스토어
롯데백화점의 첫 번째 라이프스타일 전문 팝업 스토어가 2월 28일에 오픈한다. 이번 팝업 스토어에서는 그동안 잡지나 블로그를 통해 만나볼 수 있었던 최신 생활용품과 신진 작가들과의 컬래버레이션 작품 등을 소개한다. 오픈 행사로 브랜드를 선별하는 능력이 탁월한 ‘퀼키’를 선보이는데 퀼키는 소셜 큐레이션 업체로 일반인의 아이디어를 제품화해서 소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방용품, 생활용품, 아이디어 상품 등을 체험 공간에서 마음껏 사용해볼 수 있으며 퀼키의 베스트 아이템인 멀티탭과 레드닷어워드 수상 작품인 와인 오프너를 비롯한 일부 품목은 20%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다. 또 아이디어 콘테스트를 진행해 선정된 아이디어를 퀼키 본사에 전달한다고 하니 평소 생활용품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풍성한 행사가 될 듯하다.

문의 02-772-3711 에디터 신진수

사이 좋은 공간
명품 브랜드가 즐비한 청담동 거리에 사람 냄새 나는 문화 공간이 등장했다. 웨딩정보회사 디노블에서 기획, 닷투디자인의 최정훈 대표가 디렉팅한 ‘빈사이8421’은 갤러리, 카페, 파티 장소를 겸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만나 서로 교류할 수 있는 접점이 되고자 한다. 1층은 갤러리와 카페, 2층은 디노블의 사무실과 작은 라운지를 겸하고 있으며 문화를 사랑하는 이라면 누구나 환영한다. 갤러리에서는 현재 빈티지 가구 전시를 진행 중이며 주기마다 디자인 마켓을 열어 재미있는 가구나 소품, 인더스트리얼 조명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문의 빈사이8421 02-546-6055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조용기

즐거운 반전
서래마을에 오픈한 ‘런빠뉴(Lonpanew)’는 런던에서 오랫동안 살았던 고가윤 대표가 오픈한 곳. 최근 런던에서는 ‘컬키(Quirky)’라고 불리는 스타일이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런빠뉴에선 바로 이런 컬키한 디자인의 제품을 선보인다. ‘기이한 일, 기괴한’ 정도로 해석되는 컬키 스타일은 사전적 의미처럼 거북스러운 디자인은 결코 아니다. 세라믹 제품의 일부분이 인체로 표현되었다거나 해골 모양의 브로치 등 귀엽게 봐줄 수 있는 디자인으로 현재 BBC에서 방영되고 있는 <셜록> 시리즈에 등장해 인기를 모으고 있는 디자이너 ‘알리 밀러’, 대표가 가장 좋아한다는 티나 챙 등 주로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빈티지한 가구로 숍 내부를 꾸몄는데 대부분 판매하는 가구이며 앞으로는 프랑스의 빈티지 가구가 입고될 예정이다. 빈티지한 외관 때문에 착각하고 들어왔다가 가장 최신의 디자인 제품을 만날 수 있다는 반전도 즐겁다.

문의 070-7529-9324 에디터 신진수ㅣ포토그래퍼 조용기

기특한 화장대
아담한 수납장같이 보이지만 문을 열면 다양한 수납 기능을 갖춘 화장대로 변신하는 매스티지데코의 ‘프리고’. 견고한 하드웨어로 제작돼 튼튼하며 바퀴가 달려 있어 문을 열고 닫기도 편리하다. 수납한 제품이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한 스틸 프레임이나 작은 액세서리, 화장품 등을 분리해서 보관할 수 있는 칸막이 서랍 등 사용자를 배려한 요소가 눈길을 끈다. 무엇보다도 전면에 창이 있어서 액자처럼 원하는 패턴의 그림이나 패브릭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분위기에 따라 화장대를 새롭게 연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신제품으로 함께 출시되는 ‘프리고’ 스툴과 사용하면 더욱 돋보인다.

문의 매스티지데코 1544-0366, www.mastideco.co.kr 에디터 신진수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
NOW (3)

NOW (3)

NOW (3)

꽃 배달이요!, 난쟁이의 메시지, 기발한 디자이너, 김정섭

꽃 배달이요!
특별한 날이 아니어도 꽃을 살 순 있지만 생각처럼 실천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이들에게 키마(Kimma)의 독특한 꽃 배달 서비스 ‘블룸앤보울’을 추천한다. 키마에서는 격주나 한 달에 세 번, 매주 등 주기를 정해서 꽃을 받아볼 수 있는 꽃 배달 서비스를 진행하는데 주기에 맞게 정해진 금액을 결제하면 원하는 배송지로 꽃을 받아볼 수 있다. 잊고 있다가 어느 날 꽃 선물을 받게 되는 기분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매번 꽃의 종류도 달라져 기다리는 설렘도 준다. 나에게 혹은 소중한 이를 위한 꽃 배달을 시작해볼까.

문의 키마 www.kimma.kr 에디터 신진수

난쟁이의 메시지
귀여운 몸짓의 난쟁이들이 챕터원에 입고되었다는 소식. 보기에는 귀엽지만 심오한 메시지를 전하는 오브제다. 색색의 난쟁이 오브제는 플라스틱 작품을 여러 개 복제해 공공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유명한 독일 작가 오트말 훼어의 작품이다. 그가 설치한 수천 개의 오브제들은 다양한 해석을 받아들이며 사회적인 소통을 자극한다. 눈과 입, 귀를 막고 있는 난쟁이가 ‘아무것도 말하거나 듣지 말라’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광장에서 메시지를 전하던 난쟁이들이 이제 우리의 사적인 공간에서 또 다른 이야기를 전해줄 것이다.

문의 02-517-8001 어시스턴트 에디터 이현재│포토그래퍼 조용기

기발한 디자이너, 김정섭
버블 시리즈로 이름을 알린 가구 디자이너 김정섭이 한남동 ‘지-익스비션(g-exhibition)’ 갤러리에서 신작을 공개했다.

버블시리즈 이후로 3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다.
꾸준히 전시도 하고 프로젝트를 의뢰 받아서 진행해왔다. 버블 시리즈 외에도 새로운 걸 하고 싶어서 중간에 케이크의 생크림으로 덮은 듯한 의자, 테이블 등을 만들기도 했다. 새 작품 ‘이머전스(Emergence)’ 시리즈를 끝내고 난 다음에는 그간 쓰던 작업실을 정리하고 새 작업실을 찾는 중이다.

기존에는 나무, 금속으로 작업하다가 이번에는 콘크리트를 사용했다. 특별한 계기가 있나?
새로운 재료를 찾다가 석고에 물감을 섞어봤는데 느낌이 좋았다. 약간 덜 섞어보니 마블링이 선명하게 보이면서 변화하는 순간을 포착한 것 같았다. 더 견고한 콘크리트로 대체하고 색깔이나 섞는 정도를 달리해 다양한 버전으로 제작했다.

이전 작품과 비교했을 때 만족스러운가?
버블 시리즈는 셀이 붙어가는 식이라 만드는 데 손이 많이 가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이번 이머전스 시리즈는 틀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보다는 훨씬 수월하고 우연의 효과로 작품마다 전혀 다른 모양을 낼 수 있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내 작품이 세상에 하나뿐이길 바라는 마음은 변함없다.

지금의 김정섭을 있게 한 인물이 있다면?
나의 지도 교수님이자 내가 가장 존경하는 최병훈 선생님. 학부 시절 우연한 기회에 선생님의 작업실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가구에 별 흥미가 없어 방황하던 내가 선생님을 통해 가구의 매력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가구를 만드는 작가가 되어야겠다고 결심했다.

아직 젊은 나이다. 회사 생활 대신 작가로서의 삶을 선택한 것에 대한 후회는 없는지.
가끔은 후회하기도 한다. (웃음) 무슨 일이든 고충이 있게 마련이지만 재미있는 일, 평생 할 수 있는 일을 찾았다는 것에 만족하고 있다. 존경하는 은사님 중에 최승찬 교수님이 계신데 얼마 전에 팔순을 맞아 개인전을 열었다. 나 또한 80살까지 계속 작업하고 싶다.

앞으로 어떤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가?
모든 사람들이 내 작업을 좋아해줄 수는 없겠지만 내 작품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실망을 주고 싶지 않다. 전에는 어떻게 하면 멋있는 작품을 만들까 고민했는데 해를 넘길수록 책임감이 무거워지면서 마감이나 완성도에 더욱 신경 쓰고 있다.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더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앞으로 다양한 작품을 많이 선보일 계획이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김대형(인물)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