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를 찾아줘 Part.2

카페를 찾아줘 Part.2

카페를 찾아줘 Part.2

단지 향긋한 커피 한잔을 위해서 카페를 찾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커피 맛 못지않게 인테리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카페에서 분위기를 마신다.

앤드 AND’는 장인 정신으로 만든 커피와 베이커리, 도자기 등을 판매하는 곳이다. 라퀴진의 이소영 대표와 에스오프로젝트의 조현 대표가 합심해 브랜드 컨셉트부터 공간 구성 등을 직접 기획했으며 벽돌과 황동, 테라코타 타일 등 소재를 강조한 인테리어로 꾸민 듯 꾸미지 않은 멋이 특징이다.

IDEA1 질감의 대비를 이용한 벽
시멘트 벽돌을 그대로 노출하면서 건물의 나이를 실내에 드러냈다. 그 대신 반대편 벽은 흰색 페인트로 깨끗하게 마감했고 통알루미늄 소재의 선반과 알루미늄 재질의 집기를 사용해 산만해 보이지 않도록 했다. 시멘트 벽돌과 알루미늄의 매끈한 대비가 인상적이다.

왼) 남대문 시장에서 구입한 스테인리스 주전자.

IDEA2 색깔로 포인트를 준 선반
색감의 변화에 맞춰 도자기를 가지런히 놓았다. 멋진 오브제가 없다고 낙심할 필요는 없다. 같은 모양의 그릇이나 평범한 형태의 물건을 여러 개 두거나 색깔의 변화에 따라 진열하면 전체가 어우러지면서 색다른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다.

IDEA3 분위기를 돋우는 간접등
분위기를 내는 데 가장 효과적인 조명. 특히 천장 한가운데 공간 전체를 환하게 비추는 직접등보다 간접등을 사용하면 더욱 은은해진다. 실내 조명을 간접등으로 해결한 이곳은 벽뿐 아니라 천장 틈새, 의자 뒤 등 빛이 새어나갈 수 있는 틈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IDEA4 다채로운 소재의 활용
밝은 흰색의 카페 공간과 달리 다이닝 공간은 짙은 황토색으로 대비를 주었다. 테라코타 벽에 타일을 붙이되 사각이 아닌 육각 타일을 사용하여 개성을 더했다. 또 깊고 진한 금빛을 내는 황동으로 문을 제작, 육각 모양의 장식을 더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완성했다. 황동은 시간이 지나면 변색이 되는 것이 단점이지만 건물과 함께 나이 들어가는 모습이 오히려 멋스럽다는 것이 이소영 대표의 조언.

매장마다 차별화된 컨셉트를 추구하는 코코브루니. 특히 코코브루니 홍대점 2층은 파란색과 흰색을 사용한 감각적인 공간으로 꾸몄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메소즈가 설계한 이곳은 예술 서적과 미디어 아트, 프랑스 전통 게임인 크로켓 등을 즐길 수 있다.

IDEA1 공간 활용을 높이는 파티션
사적인 공간을 위해 천장부터 바닥까지 전부 막으면 답답해 보일 수 있다. 앉았을 때 얼굴이 가려질 만큼만 천을 내리고 바닥은 뚫어놓는 것도 방법 중 하나. 커다란 파티션이 부담스럽다면 롤스크린을 이용해보자. 공간을 분할하고 싶은 자리에 롤스크린을 설치하고 필요할 때만 내리거나 올려서 사용하면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이다.

1네덜란드 디자이너 데니스 패런의 ‘CMYK 라이팅’. 2 의자 겸 사다리는 메타피스 제품.

IDEA2 의자와 책상이 된 계단
계단의 높이를 달리하면 다른 용도가 된다. 계단의 높이를 두 칸 정도 높이면 관람석 의자가 되고 허리까지 높이면 책상이 된다. 벽 틈새에는 그에 맞게 세모난 선반을 놓고 천장에 조명을 달아 작은 공간을 마련했다. 의자를 겸하고 있는 작은 사다리는 책을 꺼낼 때 유용하다.

IDEA3 통일감을 주는 낯선 이미지
바닥, 천장, 가구 등 각 요소의 색상을 통일하면 사물과 공간이 뒤엉키면서 색다른 이미지를 준다. 철제 테이블과 의자, 조명을 파랑으로 맞춘 공간은 마치 바닷속 심연에 들어온 듯한 느낌을 선사한다. 조명을 테이블 위쪽만 비추도록 낮게 달아 주변에 어둠이 드리워지면서 훨씬 넓고 깊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

IDEA4 벽에 그리는 무지개
알루미늄 사각 테이블, 흰색 의자, 흰색 PV 패브릭을 덧댄 파티션 등으로 통일한 공간은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흰색 전등갓의 LED 조명에 파랑, 빨강, 녹색의 필터를 달아 벽에 무지갯빛 광원을 흩뿌리면서 오묘한 이미지를 극대화했다. 또 오목, 볼록 거울 효과를 주는 알루미늄으로 벽 일부를 마감해 공간이 왜곡되어 보이도록 한 것도 인상적이다.

***
관련기사 `카페를 찾아줘 Part.1` 보러가기 >>

에디터 신진수 · 최고은 | 포토그래퍼 신국범 · 안종환

CREDIT
카페를 찾아줘 Part.1

카페를 찾아줘 Part.1

카페를 찾아줘 Part.1

단지 향긋한 커피 한잔을 위해서 카페를 찾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커피 맛 못지않게 인테리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카페에서 분위기를 마신다.

플럭스앤컴퍼니에서 디자인한 보버 라운지는 남산 스테이트 타워 빌딩 1층에 위치한 다이닝 카페다. 금색을 포인트로 사용하고 부드러운 회색으로 벽을 마감했으며 큰유리창으로 자연광이 들어와 고전적인 공간이지만 화사해 보인다.

IEDA1 중심을 잡아준 조명
보버 라운지에 들어서면 한눈에 들어오는 조명은 디자이너 최중호가 디자인했다. 천고가 아주 높은 공간에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치로 조명을 선택한 것. 벽에는 크리스털 느낌의 반짝이는 브래킷 조명을 달고 앞쪽과 뒤쪽 천장에는 금색의 화려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샹들리에 스타일의 펜던트 조명을 설치했다.

맨 위) 보버 라운지에서 사용하는 금속 잔.

IEDA2 금색 포인트
이 공간을 구성하는 두 가지 색이라면 단연 금색과 회색이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금색 자재를 봤지만 원하는 반사값을 지닌 제품을 찾기가 어려웠던 디자이너는 결국 고급 골드 색상의 스프레이를 뿌려서 샘플을 만들었다. 중요한 부분은 스프레이로 도포를 하고 다른 곳은 독일제 금분으로 도포해 적당히 반짝이는 금색을 얻을 수 있었다.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간결한 회색 공간에서 감초 역할을 한 것은 물론이다.

IEDA3 보버 라운지만의 몰딩
몰딩을 활용한 공간은 많지만 보버 라운지의 몰딩에는 고민한 흔적이 깃들어 있다.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없어 직접 디자인했는데 몰딩으로 인해 지나치게 고전적인 공간으로 기울지 않으면서 현대적인 분위기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 또 햇빛이 잘 들어오는 공간의 특성을 고려해 몰딩의 그림자도 생각했다. 그림자가 너무 날카롭거나 넓게 퍼져 분위기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IEDA4 작가의 벽
보버 라운지 입구를 장식한 검은색 벽은 스테이트 타워 빌딩 로비에도 적용된 작가 홍동희의 벽면 작품인 ‘Layer of Time’이다. 디자이너는 이 벽과 공간이 어울릴지 고민했지만 결국 벽면을 그대로 살렸다. 로비와 카페가 완전히 구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었고 입구 쪽 파티션을 천장 높이까지 올리지 않은 것도 같은 이유다. 로비라는 큰 공간에서 이어지는 전혀 다른 분위기의 카페라는 반전을 꾀한 것.

오는 3월로 오픈 1주년을 맞이하는 자그마치는 기존 공간을 보존하면서 묵묵하게 자그마치만의 스타일을 담았다. 이곳은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정강화 교수와 텍스타일 디자이너 김재원이 꾸민 공간으로 인쇄소였던 공간을 개조한 것. 전공을 살려 카페의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며 전시와 예술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기 바란다고 전했다.

IDEA1 공간에 포인트가 된 조명
슬램프, 아르떼미데, 아르텍 등 유명 브랜드의 펜던트와 테이블 조명을 자유롭게 연출해 밤이면 더욱 분위기가 살아난다. 이처럼 작은 조명 여러 개를 이용하면 장식적인 효과와 아늑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IDEA2 색다른 테이블
자그마치에는 프로젝터 빔을 흰색 테이블 상판에 쏘아 영상을 볼 수 있게 만든 인기 테이블이 있다. 바람에 살랑살랑 흔들리는 나뭇잎이 테이블에 그려져 실내에 앉아 있지만 마치 나무 그늘 아래에서 차를 마시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벽에만 쏘는 프로젝터 빔을 테이블에 활용해 실내에서 유일한 야외용 테이블이 되었다.

왼) 운영자의 취향을 엿볼 수 있는 포르나세티 접시. 오) 컵에 담가둔 몬스테라 가지.

IDEA3 재활용 가구의 활용
원래 인쇄소였던 이곳은 그 당시 사용했던 가구를 훌륭한 카페 가구로 재활용하고 있다. 종이를 보관하던 캐비닛은 테이블과 책을 올려두는 책장으로 변신했고 공사할 때 사용하던 바퀴가 달린 비계도 그대로 두었다. 강의가 있을 때마다 사용하는 학교 의자, 녹색으로 통일한 플라스틱 박스도 멋스럽게 쌓아올려 그 자체로 인테리어 효과를 준다.

IDEA4 사계절에 구애받지 않는 장식
카운터 쪽과 큰 메인 테이블 위에는 삼각형 모양의 금속 오브제가 주렁주렁 달려 있다. 금속 소재의 유행을 의식해서가 아니라 작년에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만들었던 것. 금속판을 원하는 모양으로 자르고 뒤에는 ‘Zagmachi’ 글자를 부식시켜 음각으로 표현했다.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색다른 장식 요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후에도 한동안은 장식으로 계속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아이디어다.

***
관련기사 `카페를 찾아줘 Part.2` 보러가기 >>

에디터 신진수 · 최고은 | 포토그래퍼 신국범 · 안종환

CREDIT
Agenda (6)

Agenda (6)

Agenda (6)

I Love It, 바닷속 친구들, 영화 속 미술 이야기, 실용과 장식 사이, 이은재

I Love It
정말 갖고 싶은 새롭고 멋진 물건을 발견했을 때 우리는 ‘정말 멋지다’, ‘마음에 들어’, ‘이거야’ 등의 감탄사를 내뱉는다. 영어로 표현하면 ‘Love it’이다. 신세계백화점이 이 ‘러브잇’이라는 제목으로 최신 패션 트렌드를 제안하는 캠페인을 선보인다. 매년 3월과 9월, 인지도 높은 글로벌 아티스트들과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트렌드 테마를 제시하고 한정판 캡슐 컬렉션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다. 2015년 S/S 시즌의 ‘러브잇’ 캠페인은 세계적인 디자이너 피에르 아르디가 파트너로 참여한다. 프랑스 3대 슈즈 메이커로 인정받고 있는 그는 현재 자신의 브랜드인 피에르 아르디 하우스를 운영하며 에르메스의 슈즈와 파인 주얼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도 활동 중이다. 이번 러브잇 캠페인 제품은 피에르 아르디의 시그니처인 큐브 디자인을 적용한 의류, 핸드폰 케이스, 리빙 소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품들은 신세계백화점 본점, 분더샵, 피에르 아르디 매장, 마이분 등에서 구입할 수 있다. 기간은 오는 2월 27일부터 3월 26일까지.
문의 1588-1234
에디터 최영은

바닷속 친구들
아이들은 그림 하나를 봐도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다. 별이 보이는 밤바다를 수영하는 고래 한 마리와 고래 등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바닷속에는 해파리, 돌고래, 상어, 인어 공주 등 독특한 바다 생물을 보고는 어느새 동화 한 편을 지어낸다. 감각적인 키즈 포스터 브랜드 후즈갓마이테일의 신제품 ‘더 씨 이즈 마이 홈 The sea is my home’은 러시아 태생의 일러스트레이터 겸 그래픽디자이너 리 토리 Ri Tori의 작품. 26마리의 바다 생물을 자신만의 색채로 개성 있게 표현했으며 친환경 종이에 콩기름 잉크로 인쇄해 아이가 마음껏 손으로 만져도 안심이다.
문의 후즈갓마이테일 www.whosgotmytail.com
에디터 최고은

영화 속 미술 이야기
청강하고픈 클래스가 생겼다. 갤러리 보고재에서 열리는 ‘영화와 함께 하는 미술 이야기’ 클래스인데 영화를 통해 미술가의 생애와 미술의 역사 그리고 신화와 사상을 공부하는 인문 강좌다. 주 1회 총 3개월 과정으로 예술공간 플라즈마 대표 이영희 씨의 강연으로 오귀스트 로댕, 잭슨 폴락, 앤디 워홀, 바스키아, 피카소 등의 영화를 보며 수업을 진행한다. 매주 수요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열리며 수강료는 3개월에 35만원이다.
문의 02-545-0651
에디터 박명주

실용과 장식 사이, 이은재
얼마 전 프랑스에서 전시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 어떤 전시였나? ‘미트 마이 프로젝트 Meet My Project’ 라는 전시에 초청을 받았다. 프랑스 은 제품 브랜드인 크리스토플 Christofle의 살롱에서 ‘사일런트 머신’ 시리즈에 테이블 매트 등을 더해서 선보였다. 전시장에서 파리 사람들의 반응은 어땠는지 궁금하다. 사일런트 머신은 실용기와 장식적인 오브제의 중간 점에 있는 작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갤러리에 있는 작품은 만지면 안 되는 것, 어려운 것으로 생각하고 낯설어 한다. 반면 프랑스는 개성 있는 물건이나 내가 갖고 싶어 하는 오브제를 사는 것이 일반적인 편이다. 그래서 반응이 적극적이었다.사일런트 머신의 발상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궁금하다. 나는 기계적인 모티프나 부속품을 봤을 때 매력을 느꼈다. 산업혁명 시대의 기계들은 당시의 미학적인 기준, 아르데코 같은 장식적인 스타일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장식과 실용의 중간 지점에 있었는데 우리가 지금 아름답다고 여기는 미니멀리즘 같은 새로운 미학을 갖게 해준 출발점이라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 사일런트 머신은 그런 내 생각을 표현한 작품이다.당신이 가진 미학적 관점을 어떤 방식으로 표현해냈는가? 기계 부속품처럼 각각의 요소가 합쳐지면서 다른 모양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전부 수제로 만든 도자기지만 기계로 찍은 듯이 일정한 모양을 반복해서 기계적인 면과 공예적인 요소를 동시에 담아내려고 했다. 나는 내 작품이 오브제로서만 존재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소재를 바꾸고 실용적인 부분을 좀 더 강화해서 이 시리즈를 새롭게 만들어볼 생각이다. 다른 디자이너와 그룹 활동을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디자이너 김진식과 김유헌 셋이서 ‘팩트 논 팩트 Fact non fact’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함께 서플라이 서울 프로젝트에 참여해 재료의 본질과 도형미를 강조한 비핏 B-fit을 선보인 것이 계기다. 데스크 용품으로 디자인되었는데 곧 출시할 계획이다. 다음 작품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나? 사일런트 머신과는 아주 다른 것을 보여주고 싶은데 패브릭에 관심이 많다. 다른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내가 가진 미학적인 관점, 실용과 장식적인 것에 대한 조율을 지켜나갈 생각이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박상국(인물)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