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로 즐기는 스페셜티 커피 코스로 즐기는 스페셜티 커피 코스로 즐기는 스페셜티 커피 최상의 커피 경험을 누릴 수 있는 블루보틀 스튜디오의 문을 열었다. 오로지 6명의 게스트를 위한 바 카운터에서 90분간 진귀한 스페셜티 커피와 특별한 브루잉 방식을 8가지 코스 메뉴로 담아낸 것. 최소한의 로스팅 마친 생두를 차로 표현한 ‘씨드’부터 각기 다른 브루잉 기법으로 섬세하게 by 김민지|
딥디크의 여름 딥디크의 여름 딥디크의 여름 럭셔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딥디크가 올해 두 번째 데커레이션 컬렉션 ‘썸머 Summer’를 선보인다. 딥디크 데코레이션 라인은 ‘아트 오브 리빙’ 정신으로 수공예 장인들과 협업한 독창적인 아이템을 선보이는 홈 데코 라인이다. 이번 컬렉션은 여름의 시원한 꽃향기와 지중해의 자유로움을 표현했다. 포르투갈에서 수공예로 만든 왁스 by 원하영|
지금 한국의 미술 지금 한국의 미술 지금 한국의 미술 송은문화재단이 이탈리아 미술 전문 출판사 스키라 Skira와 함께 동시대 한국 미술 작가를 조망하는 <Future Present: Contemporary Korean Art>를 출간했다. 한국 미술의 세대 전환을 주도하는 19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 25인으로 강서경부터 전소정, 최하늘 등 회화, 조각, 설치, 비디오, 사진 by 김민지|
마야 폴랑과의 15년 전 약속 마야 폴랑과의 15년 전 약속 마야 폴랑과의 15년 전 약속 지난 5월 9일, 서울 도산대로 아티스트 컴퍼니 사옥에서 ‘스타링 피에르 폴랑’전이 오픈했다. 피에르 폴랑과 그의 가족 그리고 전시 기획자로 나선 배우 이정재 이야기. 피에르 폴랑의 방 한 코너를 차지하고 있는 보네르 드 주르 Bonheur de Jour(1982)와 시에즈 쿠륄 Siège by 박명주|
뭉크의 풍경 뭉크의 풍경 뭉크의 풍경 9월 19일까지 예술의 전당에서 노르웨이 화가 뭉크의 생애를 돌아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뭉크 <떨리는 지구> 전시 장면, 2024, photo Ove Kvavik. © Munch Munch, The girls on the bridge, 1927. © Munchmuseet 2012년 5월 뉴욕 by 김민지|
마시모데카를로 in 서울 마시모데카를로 in 서울 마시모데카를로 in 서울 1987년에 설립된 마시모데카를로 Massimodecarlo 갤러리는 대담하고 시류에 역행하는 선택으로 세계 현대 미술 무대에서 선구자로 빠르게 부상했다. 설립 초기에는 이탈리아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에 집중하며 신선하고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이후 마우리치오 카텔란, 스티븐 파리노, 카스텐 휠러 등 저명한 작가들의 전시로 by 원지은|
사진으로 기억되는 과거의 흔적 사진으로 기억되는 과거의 흔적 사진으로 기억되는 과거의 흔적 국제갤러리가 독일 에베르스발데 태생의 사진가 칸디다 회퍼의 개인전 <Renascence>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회퍼가 팬데믹 기간 동안 리노베이션 중이었던 건축물, 그리고 과거에 작업한 장소를 재방문하여 작업한 신작들을 선보인다. 그는 지난 50여 년의 시간 동안 사진이라는 매체를 이용해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등 by 원지은|
클래식의 귀환 클래식의 귀환 클래식의 귀환 CD 마니아들을 위한 희소식. 뱅앤올룹슨이 90년대 선보인 CD 플레이어, 베오사운드 9000과 현대적 스피커 베오랩 28을 결합한 음향 시스템, 베오시스템 9000c를 새롭게 선보인다. 시간을 초월한 아름다운 사운드를 들려주고자 하는 뱅앤올룹슨의 클래식 재창조 시리즈 중 하나. 어렵게 공수한 200대의 베오사운드 9000은 모든 by 김민지|
사와디캅, 타이! 사와디캅, 타이! 사와디캅, 타이! 잃어버린 입맛도 돌아오게 만드는 자극적인 향신료의 향연. 이국적인 감성이 짙게 물들어 있는 태국 레스토랑 4곳을 다녀왔다. 동남아로의 순간이동, 엪 서울 이곳이 태국인가 을지로인가. 레스토랑 입장과 동시에 단숨에 태국 방콕 어디쯤으로 순간이동을 시킨 이곳은 바로 퓨전 동남아 퀴진 엪 서울. 워낙 by 메종|
인형의 꿈 인형의 꿈 인형의 꿈 도자 인형의 오묘한 표정으로 이질적이면서도 생경한 감각을 일깨우는 최지원 작가. 그의 그림은 언제나 단숨에 몰입하게 되는 긴장감이 존재한다. 상하이에서 선보일 신작 준비 중인 작업실 전경. 무표정한 도자 인형이 저 멀리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다. 인형 뒤 블라인드 사이로 푸르스름한 by 원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