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문화를 새기는 금박

궁중 문화를 새기는 금박

궁중 문화를 새기는 금박

<메종>은 아름다운 우리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장인들의 이야기를 매달 연재합니다. 그 아홉 번째 보따리. 153년을 이어온 ‘금박연’의 5대 이수자 김기호 장인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금으로 새긴 마음은 어떤 마음일까? 예부터 금은 화려하고 아름다운 광채가 나며 오래 두고 보아도 변하지 않아 호사스런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옷에 금박을 하는 것은 영원불변, 아름다움, 권위를 상징하는 만큼 입는 사람의 기품을 드러낸다. 또한 문양과 글자마다 소망과 염원을 담아내므로 금의 무게를 따지기 전에 정성이 필요한 작업이다.

조선시대의 궁중 문화에서는 ‘예(禮)’를 태평성대의 기반으로 삼아 관직부임, 생일, 혼인, 장례 등 삶의 중요한 순간을 기념하기 위한 의식이 유교 법도에 맞춰 신중하게 진행되었다. 소위 말하는 한국적인 아름다움이란 소박함, 담백함, 여백의 미 등을 떠올리지만 반면 화려하고 정교한 금박 역시 우리의 멋 중 하나다. 금박은 금덩어리를 두드려 얇게 편 것을 말한다. 문양을 새긴 목판에 아교(동물의 가죽이나 뼈를 끓여서 만든 접착제)나 어교(민어의 부레로 만든 풀) 등을 이용해 금박을 붙이는 기술도 금박이라고 한다. 고대부터 이 기술을 의복에도 적용하면서 조선시대에는 왕실 경공장(京工匠)에 금박장(직물 위에 얇은 금박을 이용해 다양한 문양을 찍어내는 기술과 그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뒀다고 한다. 조선 왕실 문화인 금박 장인은 궁 안에 있던 사람들도 모를 정도로 내밀한 존재였다.

금박연은 조선 철종조 이래 5대를 이어가는 전통 금박 공방이다. 지금은 4대 김덕환(중요무형문화재 제119호 금박장)에 이어 이정자 내외 그리고 김기호, 박수영 내외까지 5대째 가업을 이어가고 있다. 5대에 이르러서는 가업을 이어가는 것뿐 아니라 금박 문양카드, 금박 서표, 금박 댕기, 금박 두루주머니 등 금박의 다양한 체험을 통해 널리 알리는데 집중하고 있다.

왼쪽 중요무형문화재 제119호 김덕환의 공방 금박연. 4대 김덕환 금박장에 이어 5대째 대를 잇고 있는 김기호 이수자의 모습.
오른쪽 금박을 새겨넣은 단아한 옷칠 함.

“있던 문화도 사람들이 몰라서 구매를 안 하는데 없던 문화를 만들어서 구매하게 만든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라며 나지막하게 말씀하시는 김기호 이수자는 창조의 길을 힘들게 걸어가는 예술가들의 대변인 같았다. 금박이라는 작업은 정신적인 작업이며 그 정신적인 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는 김기호 이수자. 오랜 시간 동안 간직해온 도구들과 의복은 장인의 큰 재산임을 알 수 있었다. 사람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인모 붓, 선대 어르신들이 물려주신 칼, 시간성을 짐작하게 하는 금박 케이스, 얼핏 봐도 역사책에 나올 법한 서안 등 금박의 가치를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간 느낌이다. 기본적으로 금박은 현세의 복을 기원하는 부귀(모란), 권력(봉황새), 장수(원수문, 길상문), 자손번창(포도, 석류) 등의 기원을 문양에 담아 갖가지 형태로 도안을 만들어 작업한다. 갈라진 골동품 그릇을 오랜 시간과 정성을 들여 복원하는 방법이나 금박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싶은 책임감은 가족 모두의 마음일 것이다.

“장인은 말보다 몸으로 익혀야 한다”는 김덕환 장인의 말씀과 “의무감을 줄이려고 하고 이제는 즐겨야 할 것 같다”는 김기호 이수자의 말씀은 뼛속 깊이 와닿는, 금보다 가치 있는 한마디였다.

*오는 4월 2일부터 14일까지 근대화상회에서는 ‘금을 새기는 마음’이라는 주제로 금박연의 아름다운 상품들을 만날 수 있는 전시를 개최합니다.

글과 사진 이정민(물나무 스튜디오) | 에디터 박명주
출처 〈MAISON〉 2014년 4월호

CREDIT
선물의 여왕

선물의 여왕

선물의 여왕

벚꽃이 흩날리는 봄의 절정, 4월입니다. 조금씩 올라가는 기온에 마음은 급해집니다. 그러나 아직은 남은 봄을 충분히 즐기고 싶은 <메종> 편집부의 쇼핑 리스트를 공개합니다.

빛나는 조명
촬영 차 들른 챕터원에서 플루멘 조명의 새로운 버전을 보았는데 뒤틀려 꼬여 있는 전구에 연결된 황동 보디와 갈색 전선이 고급스러워 보였다. 친한 선배 집들이 선물로 좋겠다 싶어 구입했다. 선물과 함께 보낼 카드에 제품설명서도 함께 넣어주고 싶다. 일반 전구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80% 낮은 데다 수명이 8배나 길어 친환경적이며, 모마와 런던 빅토리아&알버트 뮤지엄에도 전시되어 있는 이 제품은 12만원에 구입. 에디터 박명주

꽃이 머무는 곳
작년 말부터 무토의 ‘엘리베이트’ 꽃병이 입고되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며 회색과 녹색, 빨간색 중 어떤 것을 사야 할지 고민했다. 그래도 다양한 꽃을 무난하게 소화해줄 회색이 당첨! 떨리는 마음으로 구입한 후 박스를 열어보니 일체형 꽃병인 줄 알았는데 아래는 나무 재질, 위는 유리 재질로 분리가 가능했다. 덕분에 꽃병을 닦거나 물을 받기에도 훨씬 편해진 것. 그냥 어딘가에 올려두어도 예쁜 이 꽃병에 처음 꽂고 싶은 꽃은 동양적인 느낌의 노란색 모카라다. 이노메싸에서 구입. 20만원. 에디터 신진수

봄의 여유
봄바람 스치자마자 비바베니타의 그릇들을 만났다. 정작 밥상도 못 차리는데 왜 자꾸 그릇에 눈이 가는지 모르겠으나, 간결한 디자인과 감성적인 패턴 거기에 매우(!) 합리적인 가격대까지 갖춘 이 그릇들은 봄 타는 나를 유혹하기에 충분했다. 마감이 끝나면 머그컵을 꺼내 마당에 앉아 차 마시며 봄을 만끽하고 접시에는 좋아하는 간식거리와 과일을 가득 올려 굶주린 배도 양껏 채워야겠다. 비바베니타에서 구입, 머그컵 1만3천원, 접시 작은 것 1만3천원, 큰 것 1만8천원. 에디터 기지혜

아이를 위한 선물
죽마고우가 결혼한 지도 벌써 2년. 아빠를 똑닮은 남자아이와 뱃속의 아기까지 아이 둘을 가진 엄마가 되었다. 그런 친구가 3개월 뒤면 남편을 따라 홍콩으로 간다. 소중한 벗과 그의 아들 준우를 못 볼 생각에 벌써부터 눈물이 핑 돈다. 그래서 준비한 것이 준우를 위한 턱받이. 유연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턱받이로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는 홈이 있는 것이 특징. 또 흐르는 물에 후딱 씻으면 되니 세탁이 간편하다. 목 둘레에 맞춰 끈 조절이 가능하고 100% 무독성 실리콘 소재로 민감함 피부에도 사용 가능하다. 멀리 홍콩에서도 즐거운 식사를 하며 무럭무럭 크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무겐 인터내셔널 쇼핑몰에서 구입. 4만8천원. 에디터 이경현

<메종> 편집부 | 포토그래퍼 조용기
출처 〈MAISON〉 2014년 4월호

CREDIT
극단의 공존

극단의 공존

극단의 공존

와이어로 간단히 화분을 만들어 캔버스에 달면 독특하면서도 멋스러운 벽걸이 화병을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 천, 식물 등 서로 다른 물성의 공존을 즐겨보자.

가느다란 철사를 이용해 입체감 있는 형태를 잡아가는 와이어 공예는 바구니, 새장 등 인테리어 소품이나 액세서리 거치대 같은 다양한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와이어는 공예 재료 상점이나 철물점에서 구입 가능하며, 특히 공예용 와이어는 어린아이도 쉽게 구부릴 만큼 잘 휘므로 손재주에 자신 없는 이들도 시도해볼 만하다.

또 철사와 니퍼, 펜치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재료비 부담도 적다. 공예용 와이어는 다양한 두께와 종류가 있으며 원하는 색이 없을 때는 컬러 스프레이로 색을 바꿀 수 있다. 공사 현장에서 사용하는 결속선 와이어를 써도 무방한데, 결속선 와이어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공예용보다 더욱 단단해서 힘있고 탄력 있는 모양을 완성할 수가 있다. 복잡한 모양을 만드는 것이 어렵다면 캔버스에 와이어를 부착해 만드는 벽걸이 화병에 도전해보자. 작은 시약병이나 유리병을 넣어 만든 화병에는 작은 꽃이나 가지치기를 하고 남은 가지를 꽂아두어도 멋스러우며, 화단 등 주변에서 얻은 꽃과 가지로도 얼마든지 멋진 장식을 할 수 있다.

1 길이에 맞게 와이어를 니퍼로 자른다. 입구와 바닥 부분의 뼈대를 잡아줄 와이어는 22cm, 11cm로 잘라 U자로 만든다. 또 바닥 면을 메울 와이어 3개는 4cm, 화분의 몸통으로 쓸 와이어 9개는 9cm로 자르고 몸통으로 쓸 와이어 9개는 한꺼번에 손에 쥔 다음 S자 모양으로 만든다.2 U자로 모양을 낸 11cm 와이어 사이에 4cm 와이어 하나를 중간에 연결한다. 이때 캔버스 안에 넣을 부분 (약 2cm 정도)을 남겨둔다.
TIP 와이어를 서로 연결할 때는 걸고자 하는 와이어 끝을 펜치로 잡은 후 반원으로 돌리며 U자 모양의 고리를 만든다. 그다음 고리 안에 다른 와이어를 넣고 고리 끝을 돌려 닫는다.3 22cm와 11cm 와이어를 위아래에 놓고 좌우 양 끝과 중앙에 9cm 와이어 3개를 연결해 큰 틀을 잡는다.4 화분 모양의 뼈대를 잡았으면 몸통과 바닥에 나머지 와이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한다.5 완성한 와이어 화분은 끝에 2cm 남겨둔 부분을 이용해 캔버스에 고정한다. 먼저 부착할 자리를 표시하고 와이어를 꽂는다.6 캔버스 뒷면에 튀어나온 와이어를 펜치로 잡아 아래쪽으로 구부려 고정시킨다. 아래 방향으로 와이어를 구부려야 캔버스에 완전히 걸리며, 와이어 안에 유리병을 넣고 물과 꽃을 담았을 때 빠지는 일이 없다.7 고정한 와이어 화병에 미니 유리병이나 시약병을 넣고 식물로 장식한다.
플로리스트 정혜원
일본 마미플라워디자인스쿨을 수료한 정혜원은 와이어 워크와 그린 인테리어를 결합한 플라워 어레인지먼트를 선보인다. 현재 마포구 동교동에서 플라워 숍 ‘숲울림’을 운영하고 있으며 취미반과 원데이 클래스를 진행한다. 자세한 소식은 숲울림 블로그(www.blog.naver.com/tsubaki3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김대형
출처 〈MAISON〉 2014년 4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