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속 정원, 손목 위의 열쇠, 라퀴진 이소영 대표의 직관의 힘, 한바탕의 봄 꿈
유리 속 정원
플라워 스튜디오 콤마 Com,ma에서 테라리움 브랜드 보타 라보 Bota Labo를 론칭했다. 보타 라보는 ‘보태닉 라버토리 Botanic Laboratory’의 줄임말로 유리병 안에서 작은 식물을 재배하는 일을 일컫는 테라리움 전문 브랜드다. 사람에 따라 제각각 개성 있게 만들 수 있는데 돌과 모래, 이끼, 다육식물 등을 활용해 유리병 안에 다양한 풍경을 연출할 수 있다. 테라리움이 고루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을 위해 세련되고 모던한 테라리움을 제안하는 보타 라보는 혼자서도 설명서를 따라서 테라리움을 완성할 수 있는 Diy 테라리움 키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1L, 1.25L 그리고 큼직한 5L 크기의 완성품으로도 만나볼 수 있다. 보타 라보의 테라리움은 4월 25일 아나운서 박지윤이 주최하는 바자회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문의 02-792-0318 www.instagram.com/bota_labo
에디터 신진수
손목 위의 열쇠
정사각형 모양의 ‘산토스’, 직사각형 모양의 ‘탱크’ 등 인상적인 형태의 시계를 선보여온 까르띠에가 새로운 워치 컬렉션 ‘끌레 드 까르띠에’를 선보인다. 불필요한 요소를 모두 제거하고 정밀성, 균형, 비례의 법칙을 따른 심플한 시계다. 프랑스어로 열쇠를 뜻하는 ‘끌레 CLe’라는 이름처럼 벽시계나 탁상시계의 태엽을 감듯 돌려서 조작하는 크라운이 특징. 또한 스위스 까르띠에 매뉴팩처에서 개발한 새로운 무브먼트인 1847 MC를 탑재해 기능 면에서도 손색이 없다.
문의 1566-7277
에디터 최영은
LIFE IN DESIGN
라퀴진 이소영 대표의 직관의 힘
레몬색 스퀴저는 노만코펜하겐 제품으로 2004년쯤 미국 여행을 갔다가 뉴욕 현대미술관 MoMA 스토어에서 산 것이다. 청량감 있는 색감과 독특한 형태감에 매료되어 구입했다. 콜랜더와 세트인데 집에서 레모네이드와 자몽 에이드를 만들어 먹을 때 주로 사용한다. 이 스퀴저는 매우 편리해 쓰면 쓸수록 기능적으로 철저히 계산된 제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존 스퀴저는 너무 얕아서 불편했지만 이 제품은 깊이가 있어서 레몬이나 오렌지 등을 한번에 많이 짜낼 수 있었다. 또 엉덩이처럼 들어간 부분은 즙을 짤 때 제품을 붙잡거나 그릇을 들고 이동할 때 안정감 있게 잡기 좋다. 뾰족한 삼각형 모양의 손잡이에는 약간의 틈이 있는데 다른 병에 즙을 옮기고 싶을 때 이 부분을 이용해 스퀴저를 기울이면 아주 편리하다. 이 모든 과정이 너무 직관적이라 특별한 설명 없이도 잘 사용할 수 있었고 그러고 나니 개성 있게만 보였던 이 스퀴저가 왜 이렇게 생겼는지 이해하게 되었다. 역시 모든 일에는 다 이유가 있는 법일까? 이 물건을 통해 새삼스레 다시 느낀다.
에디터 최고은 | 포토그래퍼 신국범
한바탕의 봄 꿈
대형 폴라로이드 필름으로 모란, 작약 등 꽃을 촬영해온 사진작가 한홍일의 꽃 시리즈를 챕터원에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한홍일 작가는 꿈에서 마주했던 순간의 기억을 담아 꽃 시리즈를 작업했고 그래서 시리즈도 ‘일장춘몽’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일장춘몽 시리즈는 챕터원의 안목으로 고른 작가의 작품을 합리적인 가격대로 소개해 예술의 문턱을 낮추기 위한 스틸라이프 라인의 첫 작품이다. 챕터원은 앞으로도 꾸준히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의 작품이나 현대 공간에 잘 어울릴 작품들을 꾸준히 소개할 예정이다. 한홍일 작가의 쓸쓸하고 몽환적인 분위기의 일장춘몽 시리즈는 6점을 100개의 에디션으로 제작했으며 프린트만 구입하거나 액자로 맞춰서 구입할 수도 있다.
문의 챕터원 02-517-8001
에디터 신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