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의 승마 아카데미에서는 신성한 기운이 뿜어져 나온다.
비밀스럽고 고요한 분위기가 감도는 그곳에서 감동과 감탄이 교차하는 공연이 시작된다.
↑ 푸른 눈과 베이지색 털이 고상한 루시타니아 Lusitania산 백마는 프랑스 왕실의 종마이자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 신의 마차를 끄는 말로 유명하다.
베르사유 성을 등 뒤로 두고 시선을 돌린다. 아르므 광장 place d’Armes과 관광객 행렬을 지나 첫 번째 궁전을 향해 걷다 보면 광장 한가운데에 원형의 모래밭 위로 뛰어오르는 석조 종마상이 자태를 드러낸다. 그 옆에는 큰 마구간으로 들어가는 화려한 입구가 있지만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진 지 오래됐으며 이곳을 찾는 이들의 발걸음도 뜸하다. 이 마구간은 17세기 말, 그러니까 루이 14세가 왕족의 사냥용 말 수백 마리를 관리하는 어린 마부와 마구간을 운영하는 시종을 왕궁으로 불러들이던 시대에 프랑스 고전주의 건축의 기초를 쌓은 건축가 프랑수아 망사르 François Mansart가 지은 건물이다. 그 당시 호화찬란한 자태를 자랑하며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던 마구간은 오늘날 텅 빈 공간으로 남아 있다. 이제 이곳 마구간에는 말의 울음소리와 말발굽 소리만이 흐릿하게 적막을 깨고 여성 합창단의 목소리가 나지막하게 울려퍼진다. 하지만 역사 속에 묻힌 기억을 다시 일깨우려는 이들 덕분에 이곳의 명맥을 근근히 이어가고 있다.
↑ 새롭게 단장한 마구간에는 유니콘의 뿔을 본뜬 조명과 나무 칸막이를 설치했다.
↑ 건축가 패트릭 부섕은 베르사유 궁에 개성과 활력을 동시에 불어넣기 위해 가공되지 않은 나무판자를 사용해 간이 극장을 연상케 하는 구조를 만들었다. 그리고 조명과 거대한 거울을 설치해 마치 거울의 방에 있는 듯한 착각마저 들게 했다.
10년 넘게 베르사유 승마 아카데미의 예술 감독으로 일해온 바르타바스는 생기 넘치고 비범한 성격의 소유자다. 그는 오베르빌리에 Auberviliers에 극단 ‘징가로 Zingaro’를 만들었으며, 옛 왕실 마구간의 승마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학교의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 의견이 수렴되어 춤과 펜싱, 노래, 일본 전통 궁술 등을 배울 수 있는 학교가 이 마구간에 들어서게 되었다. 바르타바스는 가장 먼저 건축가 패트릭 부섕 Patrick Bouchain에게 이 공간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부탁했다. 패트릭은 프랑스 귀족의 전통을 계승할 이곳을 고전의 엄격함과 현대적인 분위기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장소로 재탄생시켰다. 마구간 내부를 나무 판자로 둘러싸고 작은 극장을 연상케 하는 계단식 좌석을 설치했으며 참나무 잎 모양의 조명, 높은 거울 등을 달아 마치 무도회장 같은 화려한 분위기로 완성했다. 베르사유 승마 아카데미는 대중들에게 매주 주말마다 두 번씩 승마 공연을 선보이고 있으며, 공연은 베르사유 궁에 있는 2개의 마구간 중 지붕이 있는 곳에서만 감상할 수 있다.
↑ 이곳 아카데미의 기수들은 발레단처럼 매일 엄격한 훈련을 받고 있으며 마구간은 주말에 2번 공연할 때만 대중들에게 공개된다.
에디터 앙-세실 상셰 Anne-Cécile Sanchez│포토그래퍼 뱅상 티베르 Vincent Thib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