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티지 제품을 하나, 둘 모으며 살림하는 재미를 알게 되었다는 김현정 씨. 아들과 남편까지 세 식구가 오손도손 살고 있는 아파트를 <메종>이 찾아갔다.
↑ 아이방
“하늘색으로 한쪽 벽면에 포인트를 주고 아이가 마음껏 책을 꺼낼 수 있게 낮은 책장을 뒀어요.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그림도 걸어놓았습니다. 아이의 장난감으로 가득 찬 보물 창고이니만큼 마음껏 놀 수 있도록 두툼한 놀이 매트를 깔아놓고 아이가 좋아하는 미니 텐트를 두었죠.”
9년 차 주부 김현정 씨와 남편, 4살 난 아들 우주까지 세 식구는 광명시의 112㎡ 넓이의 아파트에 살고 있다. 결혼하고 네 번째 집이다 보니 이것저것 하고 싶은 게 많았지만 비용 때문에 꼭 필요한 주방 공사와 벽지만 새로 시공하고 이사를 왔다는 그녀. 결혼 후에도 직장 생활을 이어가다가 출산을 계기로 전업주부의 길로 들어섰는데 한동안은 답답하고 무기력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아라비아 핀란드의 1960년대 찻잔을 구입했고 빈티지의 매력에 빠지면서 새로운 삶의 활력소를 얻게 되었다.
그 뒤 루이스폴센 조명, 모벨랩 가구 등 빈티지 제품으로 집 안을 채우기 시작했다. 그렇다고 새로 사서 모으는 것만 좋아하는 쇼핑 중독은 아니었다. 신혼 때 구입한 가구와 시계 등의 소품을 지금까지도 고이 잘 사용하는 김현정 씨는 자신의 삶에서 무엇이 소중한지, 무엇을 간직해야 하는지 알고 있었다. “집을 꾸미는 데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제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깨달았고 진정한 행복을 찾게 되었어요.”
↑ 침실
“해외 사이트에서 직구한 비트라의 조명이 침실의 포인트예요. 빛이 은은해서 안방용으로 제격이죠. 벽면에는 선반을 달아 좋아하는 물건을 진열했어요.”
“침실 문 앞의 수납장에는 찻잔과 그릇을 보관하고 있어요. 혹시 아이가 무심결에 열었다가 다치지 않도록 투명한 고무 끈으로 문고리를 묶어놓았습니다.”
↑ 왼) 거실
“가죽 소파 옆에는 모벨랩에서 구입한 캐비닛을 두었어요. 좋은 가구 하나만 놓아도 분위기가 달라지는 것을 경험하고 나서부터 빈티지 가구나 멋진 소품에 더욱 관심이 많아졌어요.”
오) 서재
“패턴 벽지를 포인트로 바르고 선반을 달았어요. 저는 계절마다 선반의 소품을 바꾸는 것을 즐기는데 작은 소품만 달리해도 데코 효과가 커서 만족스러워요.”
↑ 주방
“신혼 때부터 쓰던 6인용 식탁을 두자니 통로가 좁아져서 고민하다가 본래 냉장고를 두던 주방 벽 일부를 텄어요. 그 자리가 지저분했는데 칠판 시트지를 붙여서 가리고 메모판으로 사용하고 있죠. 주로 아이가 그린 그림을 붙여두고 있습니다.”
*<메종> 홈페이지 내의 오픈하우스 게시판에 독자 여러분의 감각으로 꾸민 집을 자랑해주세요. 채택된 집은 <메종>에 실어드립니다.
에디터 최고은 | 포토그래퍼 신국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