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Man Part.2 5피트 8인치

Single Man Part.2 5피트 8인치

Single Man Part.2 5피트 8인치

자신의 가치관과 철학은 때론 집을 디자인하는 좋은 재료가 된다. 공간 디자이너 김관수의 첫 집은 ‘나’를 표현하는 것들로 채워져 있다.

↑ 아트월을 사이에 두고 나뉘는 2개의 거실.

↑ 뉴욕 지하철 역에 장식된 레터링을 본떠 만든 액자들.

인테리어 디자인 그룹 이든 아이디의 김관수 대표의 집을 찾았다. 현관이 열리자 귀족적인 외모의 아프간 하운드종 애견 ‘쿠퍼’가 겅중겅중 뛰어나와 촬영팀을 반겼다. 회색과 하얀색이 조화를 이룬 지극히 남성적인 공간에 은빛 갈기털을 휘날리는 쿠퍼는 이 집을 상징하는 오브제 같았다. 들어서자마자 인테리어에서 한 가지 눈길을 끌었던 것은 거실 천장에 두른 회색 띠였다. 이 작은 요소 하나가 평범했던 집을 개성 넘치는 공간으로 반전시키는 열쇠가 되고 있었다.
그는 이 집에 ‘5피트 8인치’라는 애칭을 붙였다. “제 생애 첫 집이기도 하고 당장 결혼할 계획도 없는지라 나를 표현할 수 있는 집을 만들고 싶었어요. 그러던 중 바뀌지 않는 내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죠. 외모는 헤어스타일이나 의상에 따라 바뀔 수 있지만 다 자란 키는 바뀌지 않죠. 174cm인 제 키를 피트로 환산해 이를 이미지화시키는 작업을 했어요. 우리 집에서는 제 머리까지가 벽이고 그 위로 천장이에요.” 거실 천장을 타고 흐르는 회색 띠는 하얀색 벽에 포인트인 동시에 마치 천장과 분리된 가벽처럼 공간에 입체감을 선사한다. 단순한 색의 조합과 발상의 전환만으로 집주인의 주장과 철학이 드러난다는 사실이 재미있었다.

↑ 김관수 대표와 애견 쿠퍼의 모습.

김관수 대표는 스물아홉 되던 해 지금의 회사를 설립했다. 지난 7년간 다음 커뮤니케이션을 비롯해 티몬, 삼성생명, 모츠 등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기업의 사무실 인테리어와 상업 공간을 디자인해왔다. 본가가 지방인 탓에 고등학교 때 서울로 상경해 서른여섯인 지금까지 혼자 살고 있는 그는 혼자서도 잘 먹고 잘 사는 법이라면 득도의 경지에 이르렀을 정도. 스스로 오늘까지 삶을 이끌어온 자신감이 팽팽하게 느껴지는 청춘이다. 김관수 대표는 이 집에 오롯이 자신만을 위한 것들로 채워 넣었다. 그런 이유로 이 집은 그를 관조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학교나 회사 근처에 있는 오피스텔이나 아파트에 살다 보니 제 집에는 그 공간들이 가지고 있었던 특징을 모두 덜어내고 싶었어요.” 낡고 15년 된 79㎡의 아파트는 그의 바람대로 아파트라는 단서가 전혀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 망입 간유리를 통해 방안의 불빛이 새어나오면 카페보다 그윽한 분위기가 완성된다.

↑ 싱크대를 철거하고 바 형태의 수납 공간을 만든 식사 공간.

↑ TV를 놓은 거실에는 주조색과는 다른 원목 가구와 카페트를 매치해 색다른 공간을 만들었다.

집 전체에 부여한 주조색은 평소 좋아하는 짙은 회색과 흰색. 자칫 평범해 보일 수 있는 색상의 조화지만 마감재의 질감을 조화시켜 원했던 미니멀한 스타일은 완성하되, 밋밋하지 않은 공간을 연출했다. 그 예로 거실의 아트월에 안티스타코 기법으로 스케치한 듯한 질감을, 바닥에는 넓은 사이즈의 폴리싱 타일을 깔아 유리알같이 투명한 반짝임을 입혔다. 기존 부부 침실로 사용되던 방을 트고 가벽을 세워 2개의 거실을 만든 것도 주목할 점. 현관과 맞닿아 있는 거실에는 5.1채널로 영화를 볼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한 공간과 TV 시청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

왼) 검정과 흰색의 대비로 남성미 흐르는 공간을 연출한 욕실. 오) 거울의 배치로 확장감이 느껴지는 드레스 룸.

왼) 주방 한 켠의 홈바. 오) 시안을 찾는 인테리어 관련 서적.

↑ 매일 쓸고 닦아 정성스레 관리한 김관수 대표만의 공간.

기존 베란다는 좁고 기다란 복도로 변신했는데 아파트의 정형화된 창문을 거둬내고 직사각형의 문을 만들어 이국적인 느낌을 더했다. 집에서는 요리를 하지 않는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부엌 싱크 공간을 없앴다. 대신 바 형태의 수납공간을 만들고 그 앞쪽으로 심플한 식탁을 배치했다. 좁고 길게 뻗은 직사각형의 드레스룸에는 실용적인 11자형의 수납장을 만들었고 욕실은 검정과 흰색의 대비로 남성미가 흐르는 공간을 연출했다. 이 집에서 또 하나 눈여겨볼 점은 3개의 방문. 카페의 문처럼 망입 간유리를 달아 밤이 되면 조명 역할을 해준다. 운동을 좋아해서 골프, 자전거, 스키, 스노보드, 웨이크보드 등 다양한 운동을 섭렵할 정도로 다이내믹한 스포츠를 즐긴다는 김관수 대표. 그런 그도 집에서만큼은 호젓이 쉴 수 있는 공간을 꿈꾼다. 5피트 8인치 높이의, 흑과 백으로 나누고 그 안에 섬세한 변주를 불어넣은 79㎡ 넓이의, 기능을 극대화한 거실과 최소화한 부엌으로 구성한 이 집은 주인의 우주로서 충분하다.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1 소원을 말해봐`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3 음악과 산다`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4 나의 제국`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5 비 개인 오후`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6 어느 청년의 독립` 보러가기 >>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임태준

CREDIT
Single Man Part.1 소원을 말해봐

Single Man Part.1 소원을 말해봐

Single Man Part.1 소원을 말해봐

뉴욕에 있는 1700여 개의 아파트 중 유난히 높이 솟은 마천루, 런던 테라스.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인테리어 스타일리스트 마커스 헤이는 이곳에 입주함으로써 간절히 바랐던 자신의 꿈을 실현하게 되었다.

거실 한쪽에는 에로 사리넨 Eero Saarinen이 디자인한 안락의자 ‘움 Womb’이 있고 벤치 위에는 그레타 마그누손 그로스만 Greta Magnusson Grossman이 디자인한 테이블 조명 ‘코브라 Cobra’를 올려놓았다. 벽에는 이다 펠레이 Ida Pellei가 그린 일러스트 작품과 세라믹 타일, 토끼 두상을 함께 걸어놓았다.

<리얼 심플 Real Simple>, <굿 하우스키핑 Good Housekeeping> 등의 잡지와 미국의 대표적인 리빙숍 포터리반 PotteryBarn 등 화려하고 장식적인 미국식 인테리어를 선호하는 고객들과 일해온 인테리어 스타일리스트 마커스 헤이 Marcus Hay.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인 그는 오랫동안 물건 정리라는 난제 앞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직업상 많은 물품을 끊임없이 수집해온 탓에 25㎡ 넓이의 예전 아파트로는 수납을 해결하기가 힘들었다. “벽장이 삐걱거릴 만큼 꽉 찼죠”라며 마커스는 그 당시를 회상한다. 이사가 불가피했던 그는 맨해튼의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인 런던 테라스 London Terrace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다른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지만 같은 건물 1층에 자신의 사무실이 있어 출퇴근이 편리하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그는 운이 좋게도 사무실보다 몇 층 위에 있는 곳에 입주할 수 있었다. 70㎡ 넓이에 방이 2개인 아파트로 이사한 후 그가 가장 먼저 시작한 일은 첼시의 수많은 아파트 중 자신의 집을 유일무이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일이었다. “저는 다양한 색에 둘러싸여 사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 회색과 다양한 색조를 조화시키죠. 그래서 초록색과 파란색도 회색빛이 섞인 것으로 선택했죠.”
집 안에 색을 입히기 시작한 그는 청록색을 주인공 삼아 집 안을 꾸몄다. 부엌의 벽을 칠할 때는 청록색 칠판 페인트를 활용했고 미국 건축가이자 산업디자이너인 에로 사리넨이 디자인한 매력적인 청록색의 안락의자 ‘움’ 등 가구와 소품, 식기류를 고를 때도 청록색을 중심으로 골랐다. 마커스는 전보다 더 넓은 아파트로 이사를 하면서 그동안 해보고 싶었던 다양한 시도를 공간 곳곳에 녹여냈다. 천장에서 바닥까지 영화 포스터와 엽서 컬렉션을 붙이거나 루이 15세 시대의 안락의자, 샌프란시스코에서 찾은 아톰 모양의 조각상, 뉴햄프셔에서 수집한 천장 등과 미니애폴리스에서 구입한 벽 조명을 곳곳에 두어 개성이 넘치는 실내 공간으로 완성시킨 것. “뉴욕 같은 대도시에 살고 있으면서도 좁은 집에 지내기 때문에 좋아하는 물건을 그냥 지나쳐야 하는 안타까운 일이 비일비재했죠.” 초소형 스튜디오에서 몇 년을 지냈던 그는 45㎡의 넓어진 이 공간에서 지내는 지금이 너무나 만족스럽고 행복하다고 말한다.

왼) 금속 펜던트 조명은 뉴햄프셔에서 찾아낸 것으로 1950년 조지 넬슨 George Nelson이 디자인한 식탁 ‘X-레그’ 위에 달아놓았다. 식탁 주위로 찰스&레이 임스가 디자인한 베니어합판 의자를 두었다. 안쪽 벽에는 루이지 케루비니 Luigi Cherubini가 작곡한 오페라 <메데 Médée>의 포스터를 걸었다. 오) 주방 벽 한 켠을 칠판 페인트로 칠해 메모판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앞에는 찰스&레이 임스가 디자인한 ‘CKR 와이어’ 의자를 두었고 오른쪽 벽에 달아놓은 선반에는 1950년대부터 70년대까지의 아라비아 핀란드 société finlandaise Arabia의 세라믹 오브제 수집품이 진열돼 있다.

왼) 소파는 노르만 플러스 쿠에느 Norman+Quaine 제품으로 마커스가 2005년에 모국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뉴욕으로 이사할 때 가져온 가구 중 하나다. 뒤쪽에는 미국 디자이너 존 스튜어트 John Stuart가 디자인한 서랍장이 있고 그 위에 로젠탈 Rosenthal 도자기 화병 컬렉션이 놓여 있다. 소파 앞에 있는 낮은 탁자 ‘튤립’은 에로 사리넨이 디자인한 것. 오_상단) 시비2 CB2에서 구입한 침대 옆 수납장 위에 1964년에 나온 영화 <판토마 Fantômas>의 포스터를 올려놓았다. 파란색 말 오브제는 1960년대 이탈리아 세라믹 브랜드 비토시 Bitossi에서 제작한 것이며 새는 노르웨이산 빈티지 도자기이다. 러그는 마들린 바인리브 Madeline Weinrib가 디자인한 것. 오_하단) 마커스는 오스트레일리아 달력, 리본 견본들, 한스 베그너가 디자인한 가구 데생들이 인쇄된 엽서를 빼곡히 붙여놓아 자신의 영감이 숨 쉬는 벽으로 만들었다. 책상은 크레이트 앤 배럴 Crate and Barrel 제품이고 스탠드 조명은 웨스트 엘름 West Elm 제품이다.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2 5피트 8인치`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3 음악과 산다`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4 나의 제국`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5 비 개인 오후` 보러가기 >>
관련기사 `Single Man Part.6 어느 청년의 독립` 보러가기 >>

에디터 이안 필립스 Ian Phillips | 포토그래퍼 스테판 줄리어드 Stephan Julliard

CREDIT
스무 살의 신선함과 스무 해의 관록이 교차한 M&O Part.4

스무 살의 신선함과 스무 해의 관록이 교차한 M&O Part.4

스무 살의 신선함과 스무 해의 관록이 교차한 M&O Part.4

지난 1월 23일부터 열린 메종&오브제 파리를 다녀왔다. 테러와 불황이 겹쳐 어느 때보다 차분하게 가라앉은 파리였지만 박람회장만큼은 20주년을 맞이한 자부심과 흥겨움으로 가득했다.

1 문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납장 ‘루나’. 2 과감한 홍학 패턴을 선보인 무아쏘니에의 코모도.

13 아름답게 가리기
각종 잡동사니와 소품을 보관하는 수납장 디자인도 나날이 새로워지고 있다.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는 코에디션을 통해 2개의 슬라이딩 도어가 달린 원형 수납장 ‘루나’ 를 2가지 색상으로 소개했다. 서랍 문을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어서 마치 달이 기우는 모습처럼 보인다. 무아쏘니에는 보다 과감한 패턴을 적용한 코모도를 출시했다. 분홍색 홍학과 푸른빛의 배경이 어우러져 고전적인 디자인에 특유의 상큼함을 더했다.

↑ 로로피아나의 뉴 컬렉션 ‘레반테’.

14 지중해의 멋
로로피아나는 파리 시내의 작은 갤러리에서 ‘윈드 로즈’ 컬렉션을 소개했다. 지중해의 에너지를 집 안으로 들일 수 있는 커튼과 장식, 타이백, 밴드, 태슬 등으로 구성된 윈드 로즈 컬렉션은 로로피아나의 전통적인 천연섬유로 제작됐으며 함께 출시한 푸른색 원단을 곁들여 지중해 풍경을 연출할 수 있다. 리넨과 면사 자수가 대비를 이루는 ‘켈리도니오’, 자카드 직기로 생산되는 리넨과 면으로 된 줄무늬 섬유 ‘알리제’, 우아하고 투명한 자수 섬유의 ‘레반테’ 등 지중해의 평화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완벽한 컬렉션이었다.

↑ 팔레 드 도쿄에서 선보인 에르메스 뉴 컬렉션.

15 이카트로의 여행
매해 색다른 장소에서 컬렉션을 선보이는 에르메스는 팔레 드 도쿄에서 ‘이카트로의 여행’을 소개했다. 휘황찬란한 패브릭을 늘어뜨리고 눈부시게 화려한 식기를 원단과 연출해 마치 인도네시아의 어디쯤에 와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이카트는 인도네시아어로 ‘묶다’는 뜻으로 아티스트 세일라 힉스는 전통적인 홀치기염색 기법을 프린트에 적용한 포슬린 테이블웨어 컬렉션을 선보였다. 컬렉션의 세노그라피는 에르메스 윈도 디스플레이로 전설적인 이름을 남긴 라일라 멘샤리가 맡았는데 90세에 가까운 나이에도 컬렉션과 너무도 잘 어울리는 화려한 연출을 보여주었다. 프랑스 최고급 브랜드인 에르메스 식기에 염색을 한 것처럼 자연스럽고 이국적인 프린트를 입힌 이카트는 동서양의 만남을 영민하게 연결한 컬렉션이었다.

↑ 카르텔이 처음 선보인 홈 프래그런스.

왼) 바오밥의 파이톤 시리즈. 오) 마틸드 엠의 리넨 퍼퓸.

16 실내의 향기
홈 프래그런스 제품이 밀집해 있는 5B관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운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카르텔에서는 처음으로 홈 프래그런스 제품을 발표했는데 향초와 디퓨저, 홈 스프레이 제품을 8가지 향으로 만나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카르텔 가구처럼 반투명한 용기로 제작된 패키지는 페루치오 라비아니가 디렉팅을 맡았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방향제 브랜드 마틸드 엠에서도 향의 농도를 높인 방향제와 리넨 퍼퓸,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드레스 모양의 석고 방향제 등의 신제품을 출시했으며 국내에서는 5월부터 만나볼 수 있다. 바오밥은 시원한 ‘코시 베이 향’과 파이톤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해 다가올 여름을 위한 방향제를 선보였다.

1 프티 프리처의 ‘마스크’. 2 수납을 겸할 수 있는 ‘섀시스’. 3 작품 같은 월&데코의 벽지. 4 카림 라시드의 거울 ‘스쿠피’.

17 벽에 붙어요
벽을 장식하는 방법은 무궁무진하다. 벽지, 거울, 조명 등 벽에 생기를 부여할 아이템은 메종&오브제의 단골손님이다. 감각적인 벽지를 선보여온 월&데코는 한 폭의 그림처럼 연출할 수 있는 예술적인 벽지 신제품을 부스에서 소개했다. 벽에 바로 페인트칠을 하거나 그림 작품을 건 듯한 벽지가 최신 트렌드다. 프티 프리처에서는 이탈리아 남부 지방에서 영감을 받은 이국적인 거울 ‘마스크’를 소개했고 리플렉트+에서도 카림 라시드가 디자인한 거울 ‘스쿱’, ‘스쿠피’와 함께 뒤쪽에 수납공간이 숨어 있는 거울 ‘섀시스’를 선보였다.

1 셀레티의 ‘모레스크’ 조명. 2 구름을 형상화한 보치의 조명 ‘72’. 3 자연적인 소재의 조명을 선보인 아이 일루미네이트.

18 빛의 향연
올해 조명 컬렉션에서는 수작업 또는 색다른 소재를 사용해 제작한 조명이 눈길을 끌었다. 오직 수작업으로만 조명을 만드는 아이 일루미네이트는 대나무, 사이잘 소재 등을 사용해 자연스러움이 묻어나는 조명을 제작한다. 에스닉한 디자인이지만 현대적인 가구나 공간과도 잘 어우러지는 매력적인 제품. 보치는 녹인 액상 유리를 패브릭과 결합시켜 하늘에 떠 있는 구름 같은 펜던트 조명 ‘72’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셀레티에서도 알함브라 궁전의 아라베스크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은 조명 ‘모레스크’를 선보였는데 다양한 사이즈의 원형 세라믹 모듈을 다채롭게 이어붙여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1 엘리자베스 르리슈의 ‘시크릿 다틀리에’. 2 탈렁 알 라 카르트. 3 그린 아이티너리에 선정된 머스케인의 러그.

ETC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올해의 ‘탈렁 알 라 카르트’는 멕시코 디자이너들이 장식했다. 6명의 멕시코 디자이너들은 조명부터 가구, 그릇 등 그동안 갈고닦은 자신들의 작품을 전시해 관람객을 맞이했다. 눈길을 끌었던 디자이너는 나무 패널을 이어붙여 펜던트 조명을 만든 폴 로코와 멕시코에서 흙으로 그릇을 만드는 펄라 발티에라.
또 메종&오브제에서는 2011년부터 그린 아이티너리 캠페인을 매년 두 번씩 진행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선보인 제품을 선정해서 발표하는 캠페인으로 올해도 총 9개의 제품이 선정됐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선정해 버려지는 디자인에 대한 경각심을 깨우는 그린 아이티너리 캠페인은 올 9월에도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메종&오브제 20주년을 맞이해 엘리자베스 르리슈는 목수, 도예가, 패브릭 디자이너 등 다양한 직업군의 아틀리에 ‘시크릿 다틀리에’를 선보였는데 비밀스럽게 자리한 각 부스마다 각각의 아틀리에를 들여다보는 재미가 쏠쏠했던 전시였다.

***
관련기사 `스무 살의 신선함과 스무 해의 관록이 교차한 M&O Part.1` 보러가기 >>
관련기사 `스무 살의 신선함과 스무 해의 관록이 교차한 M&O Part.2` 보러가기 >>
관련기사 `스무 살의 신선함과 스무 해의 관록이 교차한 M&O Part.3` 보러가기 >>

에디터 신진수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