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칸이여, 부활하라

마지막 칸이여, 부활하라

마지막 칸이여, 부활하라

우즈베키스탄의 중세 도시 히바 Khiva의 변방에 세워진 누룰라 바이 Nurulla Bay 궁. 19세기 말, 칸이 자신의 아들과 게스트들을 위해 건축한 이곳은 볼셰비키 혁명에 의해 전복되는 운명을 맞았다. 현재 복원 공사가 진행 중인 이곳은 러시아 황제가 선물한 샹들리에가 여전히 빛나는 가운데 한때 퇴색했던 웅장함과 영광을 조금씩 되찾고 있다.

화려하게 장식된 살롱과 리셉션 홀에는 서로 다른 문화가 섞여 있다. 서양의 정신과 우즈베키스탄 아트, 러시아 기술로 완성된 장식이 공존한다. 

 

무함마드 라힘 칸 Muhammad Rahim Khan은 1896년, 그의 후계인 아들 스펜디야르 칸 Sfendiyar-Khan을 위해 중세 요새 도시 히바 변방에 누룰라 바이 궁을 짓기 시작했다. 그 당시 칸이 지배한 히바는 카라코움 Karakoum과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의 사막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자리한 실크로드 교역지면서 융성한 오아시스였다. 따라서 명성 높은 외국 손님들을 맞아들이기에 이보다 더 좋은 곳은 없었다. 이 궁은 동양과 서양의 스타일이 결합된 전대미문의 독특한 건축양식과 우즈베키스탄 아트를 가미한 기묘한 장식 기법, 특히 금색과 다양한 컬러를 넣은 아라베스크 문양의 회반죽 장식으로 지어졌다. 궁 내부에는 네 개의 안뜰이 있고 이를 중심으로 메인 건물과 이슬람교 신학교, 100여 개의 방을 갖춘 건물, 하렘, 마구간 등이 지어졌다. 메인 건물에는 적어도 7개의 호화로운 살롱이 갖춰져 있다. 

 

누룰라 바이 궁을 짓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동원됐다. 독일에서 온 장인과 기술자가 궁의 천장과 창, 바닥을 만들었고 리셉션 홀에 있는 나무 벽난로를 장식하기 위해 생페테르부르크에서 파이앙스 타일을 가져왔다.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가 앞으로 이곳을 방문할 손님을 위해 호화로운 크리스털 샹들리에 두 개를 증정했는데 이를 밝히기 위해 히바에는 없던 전기선을 새로 설치해야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렇지만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면서 러시아 황제가 이 ‘위대한 모더니티의 선물’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다. 현재 복원 공사가 진행되면서 궁은 원래의 웅장함을 되찾고 있다. 도시를 한 바퀴 도는 전형적인 여행 말고 이 독특한 건축물 안에 있는 화려한 방들을 방문해보자. 히바의 다른 궁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복구가 진행되고 있는 텅 빈 궁 안. 생페테르부르크에서 가져온 웅장한 샹들리에가 깊은 인상을 준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가 이곳을 공식적으로 방문하기 전에 샹들리에를 증정했다고 한다.

 

 

 


여러 가지 스타일과 다양한 미학적 효과의 공존. 벽난로를 장식한 파이앙스 타일은 러시아의 전통적인 스타일로 생페테르부르크의 장인들이 만들었다. 여전히 아름다운 컬러를 지니고 있다.  

 

 

 

특별히 모스크바에서 온 건축가가 작업 과정을 지켜봤다. 다양한 컬러로 그린 그림과 파이앙스 타일, 금박으로 장식한 리센셥 홀의 완벽한 디테일이 눈길을 끈다. 

 

 


샹들리에가 제자리를 잡기 전까지 전기 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았다. 전기 발전기는 러시아 황제의 방문을 대비해 설치됐다. 그렇지만 볼셰비키 혁명은 황제의 방문을 허락하지 않았다. 벽에 있는 두 개의 큰 거울이 햇빛을 실내로 끌어들인다. 천장은 공사를 돕기 위해 독일에서 온 장인들의 손길로 완성됐다. 카펫과 태피스트리를 덮은 나무 바닥은 원래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화려하고 컬러풀한 회반죽 장식은 우즈베키스탄의 전통 기법으로 벽에 유니크한 입체감을 부여한다. 금박으로 작업한 부분도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벵상 르루 Vincent Leroux/Temps Machine

writer

카트린 데이디에 Catherine Deydier

네 식구가 함께 꾸민 그림 걸린 집

네 식구가 함께 꾸민 그림 걸린 집

네 식구가 함께 꾸민 그림 걸린 집

갤러리처럼 그림 작품이 걸려 있는 이 집에서 눈여겨봐야 할 또 하나는 컬러 매치다. 섬세한 컬러 감각으로 꾸민 네 식구의 집은 그래서 하얗기만 한 갤러리와는 다르다.


리 브룸의 금색 조명과 데미안 허스트의 작품이 어우러진 화려한 다이닝 공간. 

 

그림이 걸려 있는 집은 많지만 온 가족이 그림을 좋아하고, 거기에 더해 벽 색깔까지 신경 쓴 사례는 흔치 않을 것이다. 동부이촌동에 위치한 80평대의 이 집은 가족 모두가 예술 작품에 조예가 깊다. 특히 그림을 모으고 있는 안주인 덕에 집 안에는 많은 그림이 걸려 있다. 한강이 바라보이는 넓은 창문이 백미인 이 집은 부부와 딸, 아들이 사는 네 식구의 보금자리다. 이사를 하면서 인테리어를 새롭게 했는데 구조를 완전히 뒤집기보다 가벽을 세우거나 공간 구획을 나누는 정도로만 구조 변경을 했고 대신 벽 도장이라든지 컬러 매치 등 디테일한 부분에 더욱 신경을 썼다. 집주인은 에스엘 디자인 이준현 대표와 임지영 실장에게 각각 인테리어 설계와 패브릭을 포함한 스타일링 컨설팅을 의뢰했다. 하지만 예민한 안목을 지닌 안주인은 소품 하나를 고르는 것까지 직접 관여해 집 안 곳곳에 그녀의 애정이 묻어 있다.

 

딸과 아들도 자신들의 방에 원하는 바를 직접 제안했다. 딸은 엄마처럼 민트 그린 컬러에 푹 빠져 있었기에 이를 중심으로 한 방을 원했고 아들은 빨간색을 좋아해 포인트 색깔로 활용했다. “같은 색깔이라도 공간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분위기가 확 달라져요. 엄마와 딸 모두 민트 그린 컬러를 좋아해서 각자의 방에 적용했는데 딸의 방과 부부 침실의 느낌이 전혀 다르거든요. 딸의 방은 민트 그린 컬러를 기본으로 했고 쿠션 커버나 커튼 등의 색상도 비슷한 톤으로 맞춰서 생기가 느껴지고요, 부부 침실은 좀 더 은은하고 깊이가 있어요.” 임지영 실장의 말처럼 이 집은 각 공간마다 적용한 색깔이 명확한 것이 특징이다. 거실은 기존에 사용하던 베이지색 가죽 소파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애초에 원했던 젊은 분위기에서 멀어졌지만 줄리언 오피의 작품 ‘Maria.4.’와 벽에 설치한 몬타나 시스템 가구가 어우러져 고급스러운 라운지 같다. 짙은 그린 컬러의 줄리언 오피 그림을 벽의 중앙이 아닌 한쪽 벽에 치우치게 걸어서 약간의 긴장감도 느낄 수 있다. 한강이 바라보이는 창문이 마치 액자처럼 배경 역할을 하는 거실은 해가 잘 들 때는 주방까지 햇빛이 들어와 공간을 밝히고 눈이 오는 날에는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ㄷ자 형태로 배치한 이탈리안 모던 스타일의 거실.

 

 


줄리언 오피의 그림을 한쪽 거실 벽에 걸어 포인트를 주었다.


 


1 거실의 넓은 창문은 액자처럼 풍경에 따라 모습을 달리한다. 2 다이닝 공간에서 바라본 거실. 3 글래머러스한 디자인의 게스트 욕실. 4 빨간색으로 포인트를 준 아들 방. 가벽을 세워 책상 공간과 분리했다. 

 

거실 맞은편인 다이닝 공간은 금색이 지배한다. 천장에 리듬감 있게 단 금색 펜던트 조명은 최근 가장 떠오르는 영국 디자이너인 리 브룸의 작품이다. 조각을 한 듯한 크리스털 전구와 금색 보디가 만난 제품으로 불을 켰을 때 하나의 샹들리에처럼 강한 인상을 남긴다. 다이닝 공간에는 최근 엄마와 함께 그림을 고르는 딸의 손길이 닿아 있다. 주방에 건 데미안 허스트의 작품  ‘She Walks in Beauty’는 딸이 선택한 것. 금색 조명과 식탁 위의 오브제와 데미안 허스트의 강렬한 나비 그림이 만난 다이닝 공간은 화려하다. 그림을 모아온 엄마와 이제 막 그림을 직접 고르기 시작한 딸이 함께 의견을 나누고 공간에 어울리는 그림을 건다는 건 상상만으로도 흐뭇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그림이 많은 집은 대부분 ‘갤러리 스타일’로 꾸며 하얀 벽과 스팟 조명을 밝힌 정적인 분위기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집은 그림 작품이 많이 걸려 있지만 딱딱한 갤러리 느낌은 아니다. 임지영 실장은 지금의 벽 색깔이 한 번의 도장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아무래도 그림을 모으는 가족이다 보니 그림이 걸리는 벽이 중요했어요. 일반적인 흰색으로 도장하면 새하얗기만 해서 차가워 보일 수 있거든요. 도브 컬러처럼 미묘한 색을 내기 위해 여러 번 도장을 했죠. 보기에는 그냥 흰색처럼 보여도 아주 미세한 색을 띠고 있어요. 그래서 그림만 걸어둔 복도도 차갑지 않고 따뜻함을 느낄 수 있어요.” 

 

 


1 민트 컬러를 주로 사용한 딸의 방. 포근하고 여성스러운 분위기다. 2 리히텐 슈타인의 그림이 걸려 있는 아들의 방.

 

부부 침실은 화려함은 없지만 단아하다. 조지 나카시마의 책상을 주문하려고 했는데 방의 크기와 맞지 않아서 특별히 제작 주문을 해둔 상태다. 멋스러운 원목 가구를 한개 정도 두고 싶었던 안주인의 바람대로 책상이 오면 부부 침실은 제대로 모습을 갖출 예정이다. 침실 안쪽에는 욕실과 드레스룸이 이어진다. 건식 스타일의 욕실은 대리석을 사용해 바닥과 벽을 마감했고 욕조 맞은편에도 그림 작품을 두어 가족들의 작품에 대한 애정을 엿볼 수 있었다. 현관 쪽의 욕실은 골드 컬러 거울과 어두운 색깔의 타일이 어우러져 글래머러스한 스타일이고 딸아이 방에 딸린 욕실은 파란색 테두리가 포인트인 타일을 깔아 캐주얼하다. 이에 반해 대리석으로 마감한 부부 욕실은 환하고 고급스러워 용도가 같은 공간이어도 누가 주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스타일이 달라진다는 점이 재미있다. 보통 집을 공사하면 대부분 안주인의 입김이 가장 세기 마련이다. 가족들은 암묵적으로 엄마의 선택과 취향에 따르곤 한다. 하지만 이 집은 네 식구가 합심해서 집을 꾸몄다는 게 느껴졌다. 부부 침실의 암막 커튼 색깔 하나도 남편이 골랐을 만큼 보금자리를 위해 식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인테리어 업체에 그냥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살 집에 가족들이 애정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이 집을 특별하게 만들었다. 앞으로 더 많은 그림이 벽에 걸릴 것이고, 가족들에겐 그만큼 집에 대한 이야깃거리와 추억도 늘어날 것이다.

 

 


1 호텔처럼 고급스럽고 단정한 분위기의 부부 침실. 안주인이 좋아하는 민트 컬러와 짙은 푸른색을 매치했다. 2 대리석으로 마감한 안방 욕실. 욕조 옆 선반에도 작품을 올려두었다.

 

 


조지 나카시마의 책상을 둘 안방의 창가 공간. 암체어도 민트색으로 선택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과용

TAGS
God Save the Bling

God Save the Bling

God Save the Bling

15년 전 영불 해협을 건너 파리에 홍보 에이전시를 설립한 알렉산드라 포스터 버네임은 지극히 영국적인 스타일 대신 다양하고 솔직한 인테리어를 좋아한다. 반짝이는 오브제와 디자인 작품, XXL 크기의 거울로 꾸민 그녀의 집은 컬러풀한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릭 레비의 조각품에 기댄 알렉산드라. 그녀 뒤로 벤 Ben의 작품이 눈에 띈다. 이 작품에는 작가가 끊임없이 탐구하는 주제인 ‘또 다른 생각 Une Autre Idee’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홍보 에이전시 APR을 운영하는 알렉산드라 포스터 버네임 Alexandra Poster Bennaim은 좋은 취향이 종종 코드화되는 세상에서 ‘어떤 것을 좋아해야 한다’ 또는 ‘좋아하지 말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신선한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저는 반짝이는 건 뭐든 좋아해요.” 그녀는 블링블링한 취향을 밝히는 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두 아들과 살고 있는 파리 서쪽의 아파트에 대해 이야기한다. “얼마 전 이사 간 새집에는 소품과 오브제를 많이 늘어놓아 따뜻하면서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고 싶었어요. 물론 아름다운 디자인 작품도 빼놓을 수 없지요. 오래전부터 디자인 작품을 정말 좋아했는데 이제는 제 일과도 떼어놓을 수 없게 되었죠.” 알렉산드라는 인테리어 디자이너 니콜라 트루셀 Nicolas Trousselle과 함께 집 안을 다시 꾸미면서 두 아이들의 의견도 수용했다. “물론 아이들이 내가 좋아하는 디자인 거장에 대해 말하면 알아듣고 내 세계를 이해해주었으면 하지만, 아이들이 집을 편안하게 느끼기를 바랐죠.” 그렇지만 타고난 천성은 어쩔 수 없는 법. 알렉산드라는 자신의 독창적인 세계를 맘껏 펼치지 못하고 자제해야만 하는 것이 정말 힘들다. 눈썰미가 날카로운 사람이라면 가구 위에 조용히 앉아 있는 개구리들을 진작 발견했을 것이다. ‘개구리 frog’는 영국 사람들이 개구리 뒷다리를 먹는 프랑스인들을 낮춰 부르는 말이기도 한데, 이것이 그녀에게는 어떤 의미일까? “어렸을 때부터 개구리를 모았어요. 개구리는 나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동물이죠. 그래서 집 안 곳곳에 개구리를 풀어놓았어요.” 온통 거울로 된 화장대는 어려서부터 정말 갖고 싶었던 것으로 그녀의 취향을 저격한 물건이다. 이 화장대는 트리 프로그 Tree Frog 제품으로 온라인으로 구입했다. 집 안 곳곳에 놓인 거울까지 블링블링하게 꾸민 이 집은 여러 가지 스타일을 뒤섞고 색상을 가미하는 그녀의 확고한 취향과 개성을 엿볼 수 있다.



거실 바닥에 깔아놓은 카펫은
라 매뉴팩처 드 코골린 La Manufacture de Cogolin의 코르델 Cordelles 컬렉션 중 ‘에피 Epi’ 제품. 플로어 조명 ‘플루트 매그넘 Flute Magnum’은 폰타나 아르테 Fontana Arte 제품으로 노바루체 Novaluce에서 구입했다. 벽에 건 나무 판화는 조에 우브리에 Zoe Ouvrier의 작품. 한 쌍의 암체어 ‘팔콘 Falcon’은 1970년 시구르드 로셀 Sigurd Rosell이 디자인한 제품이다. 쿠션 ‘프레셔스 Precious’는 크리스찬 라크르와 메종 Christian Lacroix Maison이 디자인했다. 소파 앞쪽에 있는 낮은 테이블 ‘넴페아 Nymphea’는 해밀턴 콩트 파리 Hamilton Conte Paris 제품이다. 테이블 위에 놓은 작은 세라믹 그릇 ‘시칠리아 Sicilia’는 사라 라부안 Sarah Lavoine. 암체어 옆에 놓고 탁자로 활용하는 스툴 ‘봉봉 Bonbon’은 루카 니케토 Luca Nichetto가 베레움 Verreum을 위해 디자인한 것이다. 촛대는 조이 드 로한 샤보 Joy de Rohan Chabot 제품. 왼쪽에 있는
‘문 테이블 Moon Table’은 오크르 Ochre 제품이며 그 위에 아릭 레비가 디자인한 ‘솔리드리퀴드 SolidLiquid’가 놓여 있다.



“거실에는 거울이 많아요. 내가 꾸민 데커레이션을 비추고 공간을 더 넓어 보이게 하죠.” 

 

오른쪽 벽에 걸어놓은 거울은 트리 프로그 제품. 앞쪽에는 해밀턴 콩트 파리에서 구입한 낮은 테이블 ‘넴페아’가 있고 그 위에는 사라 라부안의 세라믹 그릇 두 개가 놓여 있다. 소파 ‘루이스 업 Lewis up’은 메리디아니 Meridiani 제품. ‘퀴리티바 Curitiba’ 쿠션은 디자이너스 길드 Designers Guild 제품이다. 퍼 담요는 조프리츠 Zoeppritz, 커튼 ‘라이트 Light’는 마두라 Madura, 왼쪽의 낮은 테이블 ‘붐 Boom’은 메리디아니 제품. 꽃병 ‘아리아 아쿠아 Aria Aqua’는 켈리 호펜 Kelly Hoppen, 파란색 래커를 칠한 트레이는 콤파니 프랑세즈 드 로리앙 에 드 라 신 Compagnie francaise de l’Orient et de la Chine 제품이다. 소파 위에 있는 파란 담요는 콩파니 프랑세즈 드 로리앙 에 드 라 신 제품이며 그 앞에 놓은 쿠션은 르 마나슈 Le Manach의 ’플레슈 Fleche’와 디자이너스 길드의 ‘카리브 Caribe’다.



HMD 인테리어스 HMD Interiors의 수납장 위에는 해밀턴 콩트 파리에서 구입한 테이블 조명 ‘생 마르탱 Saint Martin’이 있다. 꽃병은 켈리 호펜, 금색 촛대는 카르텔 제품. 유리 상판을 올린 테이블에는 HMD 인테리어스의 빨간색 의자를 매치했다. 그릇 ‘젤리스 패밀리 Jellies Family’는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가 디자인한 것으로 카르텔. 벽에 걸어놓은 컬러풀한 그림은 존 원 Jon One의 작품이다.



식탁은 피터 존스 UK Peter Jones UK, 파란 의자 ‘C1715’는 22 에디시옹 디자인 22 Edition Design 제품. 파란색 래커를 칠한 사각 트레이와 원형 테이블 매트는 콤파니 프랑세즈 드 로리앙 에 드 라 신 제품이다. 쌓아놓은 그릇은 사라 라부안의 시칠리아 컬렉션이며 키친 클로스는 노엘 Noel 제품. 창밖에 보이는 차양 ‘포멘테라 Formentera’는 마두라에서 구입한 것. 식탁 옆쪽 벽에 걸어놓은 필립 스탁의 거울 ‘프랑수아 고스트 Francois Ghost’가 조리대까지 비추며 공간을 더 넓어 보이게 한다. 조리대 위의 꽃병 ‘시부야 Shibuya’는 크리스토페 필레트 Christophe Pillet가 디자인한 것으로 카르텔 Kartell 제품.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디디에 델마 Didier Delmas

writer

카린 케이방 Carine Keyvan photograp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