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TANICAL LIFE ①

매력적인 플랜테리어가 자리한 상업 공간 둘러보기

매력적인 플랜테리어가 자리한 상업 공간 둘러보기

플랜테리어를 통해 주거 공간에도 적용해볼 수 있는 아이디어 첫번째.

문을 열면 마치 숲속에 들어온 듯 상상과는 다른 공간이 펼쳐진다. 수종과 수형, 식재 방법도 각기 다른 식물로 꾸민 상업 공간 플랜테리어를 통해 주거 공간에도 적용해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어보길.

 

 

시선을 압도하는 조경석, 스페이스 독

스페이스 독은 건물 지하 1층부터 4층까지 하나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지하에서 옥상으로 올라갈수록 색다른 공간을 마주할 수 있는데, 우주를 연상시키는 아래층부터 시작해 점차 식물이 늘어나며 옥상으로 올라가는 순간 식물로 둘러싸인 공간을 마주했으면 하는 마음이었다. 1층에는 다양한 조경석을 사용하고 최대한 식재를 배제했으며, 2층도 압도적으로 많은 양의 조경석으로 꾸며 이미지를 극대화했다. 옥상은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자마자 만나는 곳에 단풍나무와 그라스를 이용해 꾸몄으며, 자연이 갑자기 앞으로 쑥 들어온 듯한 느낌을 표현했다.

by 슬로우파마씨 이구름 대표

 

 

돌과 이끼를 활용한 내추럴 플랜테리어, 카페 외교

천안에 자리한 카페 외교 1층은 사람들이 실내에서 외부를 조망할 때 어떤 시선으로 바라볼지 정확하게 계산해서 연출했다. 벽과 가구들이 어두운 블랙 컬러로 마감되어 있고 여백이 있어 나무 한 그루조차 집중해서 바라보고 선이 더욱 도드라질 수 있는 수형을 선택했다. 돌과 이끼를 사용해 고요한 공간을 완성하고자 했다. 마감석 역시 어두운 색으로 전체를 마감해 톤을 다운시켰고, 덕분에 초록의 싱그러움이 더욱 도드라진다.

by 슬로우파마씨 이구름 대표

 

©이현실

©이현실

©이현실

 

선인장 테라리움, 디어스호텔 라운지 바

호텔의 루프톱 바로 사용되는 이곳은 실내에서 남산 타워가 보일 만큼 멋진 뷰를 자랑한다. 자연광이 들어와서 선인장을 키우는 데 적합했고, 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아이디어로 바 테이블을 사막 형태의 테라리움으로 만들었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어느 한 부분을 채웠다면 다른 부분은 과감히 비움으로써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했다. 실제 사막에서 자라는 식물이 어떻게 배치되는지에 대한 자료를 조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최대한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실내를 정돈되게 보여줄 수 있을지 고민했다.

by 수무 장은석 대표

 

©이현실

©이현실

©이현실

 

지하에 펼쳐진 온실, 온실 카페

카페의 첫인상인 계단에 가장 키가 큰 나무를 배치해 계단에서부터 녹색으로 물든 공간을 만날 수 있도록 했다. 지하이지만 마치 자연광이 들어오는 것처럼 연출했고, 식물을 자연스레 들였다. 중앙에 자리한 원형 화단은 상단의 바리솔 조명으로 인해 시선이 집중된다. 때문에 가장 신경 써서 연출했고 수변의 습지 생태를 화단에 담았다. 거울 사이로 식물이 배치된 모서리 화단은 그 자체로 오브제가 될 수 있게 기획했다. 또한 화장실 앞으로 차폐의 기능을 공간과 어우러지도록 만들고 싶어 조적벽을 세우고 프레임을 활용했다. 우리의 산과 들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을 식재해 열대나 지나치게 동양적인 느낌도 아닌 자연스러운 한국의 자연을 실내로 가져오기 위해 노력했다.

by 수무 장은석 대표

CREDIT

에디터

TAGS
MILLY-LA- FORET IN THE EYE OF CYCLOP

MILLY-LA- FORET IN THE EYE OF CYCLOP

MILLY-LA- FORET IN THE EYE OF CYCLOP

장 팅겔리와 니키 드 생 팔이 프랑스 북쪽 밀리 라 포레의 포브르 숲에 설치한 작품 ‘사이클롭’. 높이가 23m나 되는 이 작품 위에 올라가면 무한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꿰뚫는 눈 남쪽을 바라보는 니키 드 생 팔의  ‘거울 얼굴 Face aux Miroirs’은 1987년과 1991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자연과 맞닿아 있는 장 팅겔리의 ‘사이클롭’은 수많은 거울에 자연을 비추며 자신의 골격을 가로지르는 100년 된 떡갈나무 네그루 안에 얽혀있다.

 

창작품이 새로운 시도를 하게 되면 박물관에서 도망치고 갤러리에서 나와 숲길을 걸을지도 모르겠다. 1968년 5월 혁명 이후 장 팅겔리와 니키 드 생 팔은 정치적인 협업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그들이 협업해 만든 ‘사이클롭 Cyclop’은 하나의 거대한 행동이자 근본적인 우정이고, 종합 예술 작품이며 여전히 진행 중인 유토피아예요”라며 이번 프로젝트의 아트 디렉터 프랑수아 타이라드가 주장했다. 이 ‘숲속 거인’은 무게가 350톤이고 25년에 걸쳐 완성된 예술 역사에서 유일무이한 존재다. 10여 명의 예술가들이 참여해 어떠한 기술적인 도움도 받지 않고 재활용 소재인 페르슈 지방에서 가져온 고철과 퐁피두 센터의 여러 굴뚝 중 하나를 활용해 공들여 완성했다. 장 팅겔리는 1969년, 그의 조각가 친구인 베른하르트 루긴뷔일, 리코 웨버, 다니엘 스포에리와 함께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앞쪽에 있는 눈 하나가 거울 얼굴에 붙어 회전하고 혀는 축 늘어져있다. 반대쪽에 있는 뇌는 열려있어 장 팅겔리가 만든 복잡한 기계들이 드러나있다. 쓸모없고 시끄러워 귀를 멍하게 하는 기계는 산업사회의 부조리를 은유한다. 톱니바퀴와 볼 베어링 사이에서 니키 드 생 팔의 ‘라 콜론 La Colonne(기둥)’에 돋아난 수많은 뿔을 어루만지거나 헤수스 라파엘 소토가 만든 파이프오르간의 진동을 느끼면서 이 작품을 경험할 수 있다. ‘사이클롭’ 내부의 꼭대기에는 에바 애플리가 유형수들을 기리며 만든 큰 자동차가 매달려 있고 아르망과 세자르의 작품이 여기저기에서 나타난다. 1987년 국가로 귀속돼 국립조형예술센터의 보호를 받고 있는 이 놀라운 거인은 거대하고 독특한 작품의 정체성을 과시하며 쿠랑스 지역의 여러 정원과 국립 밀리 약초 보존소 그리고 장 콕토의 집에서 그 존재감을 드러냈다. 자르댕 드 쿠랑스 Jardins de Courances부터 장 콕토의 집까지, 이 지역의 다섯 장소에서 ‘사이클롭’에 자리한 아티스트 20명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전시는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이어진다.

web www.lecyclop.com

 

낯선 톱니바퀴 장치 한쪽에는 웅장한 모빌 조각 ‘메타 막시 Meta-Maxi’가 있다.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시적인 기계 장치다.

 

공 空과 허무 장 팅겔리와 니키 드 생 팔의 ‘자살 선동 Incitation au Suicide’. 1991년 장 팅겔리가 사망한 이후 퐁피두 센터의 굴뚝 입구에 죽음의 머리가 더해졌다.

 

‘사이클롭’ 입안의 광채 검은색과 흰색의 바둑판 타일에 거울을 상감한 바닥은 니키 드 생 팔의 작품으로 자동차 경주를 좋아한 장 팅겔리의 열정을 반영한 것이다. 이들은 사랑을 상징하는 거울 심장을 여기에 박아넣었다.

 

대단한 네크로폴리스! 스위스 조각가 리코 웨버는 자신의 몸을 본으로 떠서 석고상 ‘지상 Gisants(꼼짝 않고 누워 있는 사람)’을 만들었다.

 

팝&옵아트 니키 드 생 팔의 ‘콜론 Colonne(기둥)’. 기둥에 돋아난 수많은 뿔은 이탈리아에 있는 타로 정원 Jardin des Tarots을 기리며 그곳에 있는 세라믹으로 제작했다. 오른쪽에는 헤수스 라파엘 소토의 시네틱아트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음 Penetrable Sonore’을 볼 수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벵상티베르VincentThibert

TAGS
색이 숨어 있는 집

색이 숨어 있는 집

색이 숨어 있는 집

흰 크림을 두른 레드 벨벳 케이크의 단면을 고스란히 옮겨온 듯한 붉은 계단과 짙은 녹색의 복도 그리고 푸른색으로 칠한 서재가 시야에 들어온다. 새하얀 집 안 곳곳에 각양각색의 컬러를 품은 김포의 타운하우스를 찾았다.

 

높은 천고와 집안 가득 햇살이 들어오는 화이트 톤의 넓은 거실은 으레 놓는 소파 대신 다이닝 테이블을 두어 리빙과 다이닝 공간을 병합했다. 아이 방도 큰 원형의 창으로 개방감을 부여했다.

 

로망과도 같은 드높은 천고와 볕이 가득 들어오는 큰 창 에 매료된 이예지 씨 가족은 김포의 200m2평 복층형 타운하우스를 새로운 보금자리로 선택했다. 어디서나 으레 볼 수 있는 네모 반듯한 이전 집과 달리 마치 모가 난듯한 모서리 공간을 품은 다각형 구조는 부부의 상상력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쇼 프로그램 프로듀서로 일했던지라 매번 다른 세트를 위한 공간 레퍼런스를 모아온 이예지씨는 남편과 함께 머릿속에 그려온 집을 구현하기 위해 건축 스튜디오 3AB에 리모델링을 의뢰했다. “공연을 위한 무대를 구현하는 세트는 많은 비용을 들여서 만들지만 결국 철거되잖아요. 제 취향에 딱맞는 세트가 나왔어도 결국 해체되고 영상으로만 그 모습이 남아있는게 너무 마음이 아픈 거예요. 그래서 내가 사는 공간만큼은 사라지지 않을테니 정말 취향에 딱 맞게 만들어야겠다 싶었어요.”

 

마치 생크림을 두른 레드 벨벳 케이크의 단면을 보는 듯한 붉은색의 계단은 이 집을 상징하는 스팟이다. 2층에서도 거실과 주방을 한눈에 관망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구조를 완성했다.

 

부부가 고안한 새로운 공간은 원색에 가까운 강렬한 컬러가 집안 곳곳에 자리하는 것. “인테리어를 진행하면서 처음에 지었던 프로젝트명은 점입가경이었어요. 들어올 때만 하더라도 심플한 화이트 톤으로 꾸민 집 같았는데,고개를 돌리면 붉은색이 나오고, 커튼을 걷으면 짙은 녹색이, 붙박이장 안에는 푸른 공간이 나왔는데, 이에 딱 맞는 최적의 단어였죠.” 부부는 지하 공간을 포함해 3개 층으로 이뤄진 컨셉트는 물론, 자재와 모서리마감 같은 디테일한 부분까지 시공업체와 많은 아이디어를 주고받을만큼 집의 변신에 적극 임했다. 현관을 열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각기 다른 비율로 색을 배합한 3개의 모듈스툴, 이집에 펼쳐질 다양한 색의 향연에 대한 작은 스포일러처럼 이곳을 방문하는 이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동그란 무대를 만든 지하공간. 벙커 살롱 컨셉트로 꾸민 이곳은 지인들이 방문했을 때 은밀한 아지트로 변신하는데, 빈백과 소파 베드 등을 두어 편하게 머물 수 있다.

 

현관을 지나면 화이트 톤으로 말끔히 도장한 거실과 주방이 자리한다. 마치 채색화를 그리듯 집안 곳곳에 위치한 강렬한 원색과 드라마틱한 대비를 주기 위한 영리한 밑그림이다. 거실에는 과감히 소파를 두지 않는 대신, 볕이 가득 들어오는 창옆에 넓은 상판의 테이블과 비트라의 마스터  체어를 두어 다이닝과 거실의 역할을 병합하며 가족 모두 둘러앉아 소소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꾸렸다. 거실과 이어지는 주방은 요리를 즐기는 남편을 위한 공간이다. 특히 오마카세처럼 직접 음식을 만들어 대접하기 위해 홈 바 형태로 된 아일랜드를 주문 제작했을만큼 열의를 발휘했다. 또 상부장이 없어 시선을 가리는 요소를 제거하고 주방을 탁트인 면처럼 인식하게 되는 효과를 주었다. 부족한 수납공간은 주방 바로 옆에 팬트리를 별도로 마련해 말끔하게 해결했다.

 

확고한 취향으로 머릿속에 그렸던 집을 완성한 이예지씨 가족.

 

본격적인 색의 향연은 1층에 위치한 아치형 입구에서부터 시작된다. 마치 다른 세계로 인도하는 듯한 느낌을 자아내는 입구에 들어서면 딥 그린 컬러의 짧은 복도가 나타난다. 본래 이곳의 정체는 안방처럼 작은 화장실과 파우더룸이지만, 중앙부에 가벽을 세워 공간을 반으로 분할한 다음 짧은 복도를 낸 것. 입구를 기준으로 복도 오른쪽에는 미닫이문을 달아 프라이빗한 드레스룸으로, 맞은편은 파우더룸과 화장실을 꾸려 지금과 같은 구조를 완성했다. 뭐니뭐니 해도 이 집의 하이라이트는 1층과 2층 그리고 지하를 잇는 붉은 계단이다. “저는 이 계단을 볼때마다 레드벨벳 케이크의 단면같다는 생각을 해요. 사실, 이런 이미지는 세트를 제작할때도 자주 시도했었는데 우리 가족이 사는 집에서도 적용해 볼 수 있기를 오랫동안 바라왔죠. 흰 벽 속에 이렇게 진한 레드톤의 공간이 드러나는 것이 극명한 시각적 대비를 주기도 하고요.” 여기에 집이라는 점을 고려해 바닥에는 부드러운 촉감을 위한 카펫을 깔았고, 천장에는 간접조명을 달아 은은하게 색이 퍼지면서 신비로운 느낌이 감돈다.

 

안방처럼 구획이 나뉘어 있던 공간을 리노베이션한 다음 딥 그린 컬러로 마감했다. 복도를 기준으로 한 켠에는 파우더룸과 화장실이 자리한다.

 

계단을 오르면 아이 방과 부부 침실이 있는 2층으로 연결된다. 가장 처음 마주하는 로비에서 1층과는 사뭇 느낌이 다르다는 것이 왠지 흥미롭게 다가온다. 비현실적인 것을 경험하는 듯한 형형색색의 공간과 달리, 낮은 채도의 무늬목 강마루를 깔아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을 구현했기 때문. 이와 함께 이전 집에서 가져온 비슷한 톤의 모듈식 목제 책장이 벽면을 가득 메우고 있어 한층 온기를 더한다. 라운지 체어는 1층과 2층을 모두 아우르는 큰 창을 바라볼 수 있게 배치했는데, 종종 창 너머 풍경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하는 가족의 습관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어김없이 2층에서도 강렬한 컬러로 채운 공간을 만나 볼수있다. 로열 블루 컬러로 도장한 프라이빗한 서재 겸 작업공간이 그 주인공. 부부 침실에 마련한 이 공간은 기존의 수납장을 개조한 것으로 문을 닫으면 흰벽처럼 숨겨져 있지만, 문을 열면 아늑하지만 강렬한 색이 쏟아지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시공 당시 원하는 색을 여기저기 적용하다 보니 레드, 그린, 블루의 삼원색 톤이 집에 구현되어 있더라고요. 처음 프로젝트명으로 지었던 점입가경 대신 이 집을 RGB 하우스로 명명했어요.”

 

지하실로 향하는 계단. 은은한 불빛과 어우러지는 붉은 계단이 한층 더 비밀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부부는 확고한 취향과 기준으로 완성된 가족의 타운하우스가 많은 이들의 방문을 환영할 수 있는 곳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직은 아니지만 상황이 좀 더 나아지면 이 집이 지인들을 위한 스테이 겸 커뮤니티가 되어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해요. 저희 부부는 당연히 즐겁지만, 아이가 더 많은 사람들을 경험했으면 하거든요. 사회에서 요구하는 정석적인 어른 말고도 그림을 그리는 어른 친구, 노래하는 어른 친구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삶을 꾸려가는 이들이 행복해하는 모습을 보면서 입체적인 어른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셈이죠.”

 

안방처럼 구획이 나뉘어 있던 공간을 리노베이션한 다음 딥 그린 컬러로 마감했다. 복도를 기준으로 한 켠에는 파우더룸과 화장실이 자리한다.

 

천장에 달린 프로젝터와 곳곳에 놓인 LP 등으로 지하실의 정체성을 짐작할 수 있다.

 

침실에 있던 옷장을 작업실로 변신시켰다. 문을 닫으면 평범한 장 같지만 문을 여는 순간 로열 블루 컬러가 펼쳐져 드라마틱한시각효과를 구현했다.

 

격벽에 창을 내 채광을 확보한 아이 방. 이질적으로 보일 법한 격벽 옆의 계단도 아이한테는 재미난 놀이도구가 된다.

 

아치형 입구에 들어서면 짧게 난 복도를 마주한다. 복도 끝에 있는 거울을 바라보는 기준으로 왼쪽은 파우더룸과 욕실 겸 화장실이, 오른쪽은 미닫이문을 달아 프라이빗한 드레스룸이 있다.

 

계단을 올라가면 마주하는 2층 로비는 휴식을 담당하는 장소다. 부부는 거실에 소파를 두지 않은 대신 이곳에서 편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거나 독서를 한다.

 

반려묘가 지나다닐 수 있게 문의 하단에 작은 아치형 입구를 냈다.

 

지하실의 또 다른 뷰 포인트는 계단 밑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미니 벙커다. 아치형 입구가 돋보이는 아이를 위한 은신처 같은 곳이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