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CENE OF TRIBÙ

아웃도어 브랜드 트리뷰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트리뷰 하우스

아웃도어 브랜드 트리뷰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트리뷰 하우스

강렬한 색채와 기교 대신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은근함 그리고 거친 자연을 견디는 강인함까지 지닌 아웃도어 가구, 트리뷰를 위한 공간이 열렸다. 마치 유럽의 한 저택을 연상시키는 외관과 용인 외곽의 자연이 어우러지며 브랜드의 정체성을 대폭 담아낸 이곳, 트리뷰 하우스를 찾았다.

리본을 풀어놓은 듯한 스파이럴식 계단은 프렌치 워싱 기법을 가미해 핸드메이드로 제작됐다. 이곳, 트리뷰 하우스 건축의 시그니처와도 같다.

 

토스카 데이베드에서 해사하게 웃고 있는 조민임 감사와 최정원 부사장.

용인 박곡리에는 서울에서 좀체 접하기 힘든 드넓은 규모의 공간 빌라 드 파넬이 몇 년째 굳건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유기적인 구조로 균형을 유지하는 3개의 동과 이국적인 느낌이 감도는 너른 정원까지 다채로운 볼거리에 이것저것 둘러보다 보면 문득 시선의 끝에 새하얀 건축물이 걸린다. 얼핏 건물들과 정원에 가려진 듯하지만, 한번 시선에 걸린 순간 마치 이곳이 백미임을 자처하듯 학처럼 가로로 유연하게 펼쳐진 외관을 자랑하는데, 바로 올해 9월 약 10개월에 걸친 공사 끝에 새로이 모습을 드러낸 트리뷰 Tribú 하우스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2층 규모의 본관과 별관 그리고 그 뒤로 난 뜰은 파넬에서 판매하는 하이엔드 아웃도어 가구 브랜드 트리뷰를 위해 마련된 곳이다. 트리뷰는 파넬에게도 특별한 의미가 있는 브랜드다. 본국 벨기에에서는 물론, 유럽 전역에서도 높은 인기를 구가할 만큼 오랜 역사와 명성을 자랑하지만, 비교적 아웃도어 문화가 활성화되지 않았던 한국 시장에서는 몇몇 호텔이나 프로젝트를 통해서만 트리뷰를 만날 수 있었다. 세계 각국의 디자인 쇼 등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인상이 깊었던 파넬은 과감히 한국에 트리뷰를 소개하기로 했다.

 

빌라 드 파넬 가장 안쪽에 위치한 트리뷰 하우스. 학이 날개를 펼친 듯 가로로 유연하게 확장된 모습이다.

 

“아웃 도어 가구 브랜드가 본격적으로 한국 리빙 시장에 자리를 잡기 전부터 파넬을 들여왔어요. 프로젝트성으로 간간이 트리뷰 가구가 소개된 적은 있었지만, 그럼에도 많은 분들이 이 브랜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턱없이 부족했죠. 저희 말고도 트리뷰를 수입하고 싶어하는 업체가 많았지만, 파넬을 선택한 만큼 제대로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계속 있었어요. 그 일환의 결과물이 바로 여기에 있어요.” 최정원 부사장이 말했다. 파넬의 조경을 담당하며 한 차례 합을 맞춘 바 있는 얼라이브어스가 이곳의 시공을 담당했다. 최정원 부사장의 말을 실감이라도 하듯, 초록이 가득한 주변 환경과는 확연히 대비되는 순백의 외관과 아치 형태로 길게 낸 창문으로 클래식함을 가미한 건물 안으로 한 발 들어서면 이곳의 이름처럼 그야말로 트리뷰의, 트리뷰를 위한, 트리뷰에 의한 공간이 펼쳐진다. 내부 인테리어에서도 충분히 이러한 의지가 엿보이는데, 가구 자체가 돋보일 수 있도록 여타 장식과 오브제는 최대한 배제하고, 가구가 주는 힘을 부각할 수 있도록 뉴트럴한 톤으로 내부를 마감했다. 각 공간을 연결하는 문도 대부분 같은 톤의 슬라이딩 도어 형식으로 설치해 마치 하나의 벽이 쭉 이어지는 느낌을 냈다. “실내에는 모두 트리뷰 가구를 두었어요. 사실 아웃도어 가구지만, 인도어로도 자주 사용할 만큼 디자인적으로 멋스러운 면모를 보여주고자 했죠. 특히 아웃도어 가구에 대한 큰 편견 중 하나가 내구성은 높지만 편안함이 떨어진다는 거예 요. 여기서는 직접 체험할 수 있으니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고 봤어요.” 최정원 부사장은 이를 위해 실내를 레지던스 형식으로 꾸몄다고 밝혔다.

 

편안하게 등을 받쳐주는 짜임이 인상적인 CTR 체어.

 

흰색 외관과 클래식한 아치가 마치 유럽의 저택을 방문한 듯한 느낌을 준다. 입구에서 테라스를 바라볼 수 있다.

 

거실과 다이닝, 바 등 내부는 느슨하게 구획되어 있는데, 각 공간에 맞춰 소파나 체어, 테이블 등을 두어 이곳을 방문하는 고객들로 하여금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게 했다. 물론 가구를 위해 내부에 부가적인 요소를 배제했다지만, 대신 공간을 구성하는 건축적 장치에 확실한 포인트를 가미한 점이 눈에 띈다. 마치 리본을 풀어놓은 듯한 모습의 나선형 계단이 그 주인공. 톤은 공간의 무드에 맞춰 뉴트럴하지만, 외관만큼은 심상치 않은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과정을 알게 된다면 절로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나선형 계단보다 더 길게 풀어놓은 듯한 형태를 원했어요. 길이를 늘리는 만큼 철재로 틀을 짜고 프렌치 워싱 등의 여러 기법을 거쳐 그 위를 덮는 성형 작업을 해야 했는데, 수작업으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었어요.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핸드메이드로 일일이 질감과 형태를 구현하다 보니 일반적인 계단과는 다를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최정원 부사장의 말처럼 중심부에 위치한 나선형 계단은 이곳의 상징과도 같은 장치로 자리했다.

 

본관에서 바로 별관이 보인다. 별관의 내부에도 트리뷰 가구들을 두었다.

 

계단 아래서 바라본 본관의 풍경. 화려한 색채나 기교 대신 가구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은근함이 세련된 인상이다.

 

등받이 특유의 짜임이 인상적인 토스카 체어. 이미 많은 고객들이 선호하는 의자다.

건물 뒤편에는 테라스를 구현했다. 아웃도어 가구의 정체성이 극대화되도록 신경 쓴 부분인 만 큼 다양한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체험할 수 있게끔 꾸렸다. 한 켠에는 수영장과 트리뷰의 선베드를, 또 다른 쪽에는 파라솔과 데이베드를 두어 나른한 휴식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벽돌로 지어올린 벽 안에는 에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화로를 설치해 해가 질 즈음에는 일명 불멍까지 가능하다. 트리뷰 하우스를 바라보며 함께 이야기를 나누던 조민영 감사와 최정원 부 사장은 이곳이 조금 더 열린 공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내비쳤다. “사실 트리뷰라는 브랜드를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둔 공간이긴 하지만 여러 사람과 요소가 함께 할 수 있는 많은 여지를 남겨뒀어요. 이 점은 여태 빌라 드 파넬이 지향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사랑해주시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요.” 최 부사장의 말처럼 이곳은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을 맞이 할 수 있을 때가 오면 소규모의 대관 파티부터 웨딩, 리사이틀이나 연주회, 전시 등 너른 정원과 건축을 활용한 이벤트를 하나 둘씩 선보일 예정이다. 구태여 부각되지 않고 그저 주변의 자연과 조화로움을 추구하는 트리뷰의 지향점처럼 많은 사람들과 이곳을 나누려는 넉넉한 마음은 이곳의 미래를 절로 기대하게 만든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YELLOW FEVER

아티스트 모래그 마이어스코프의 생기 가득한 컬러를 입힌 홈 인테리어

아티스트 모래그 마이어스코프의 생기 가득한 컬러를 입힌 홈 인테리어

아티스트 모래그 마이어스코프는 팝한 컬러를 입힌 런던 집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일상을 즐긴다. 그는 시그너처가 된 팝 컬러 중에서 특히 네온 옐로를 애정한다. 환상적인 만화경 같은 즐거움을 주는 집을 소개한다.

무지개 패치워크. “컬러와 식물의 조합을 좋아해요! 모든 퍼블릭 아트 프로젝트를 이렇게 하기로 마음먹었어요.” 모래그는 테라스에 여러 해 동안 여기저기에서 구한 빈티지 의자와 테이블을 놓았다. 쿠션은 조나단 애들러 Jonathan Adler. 버섯 모양 테이블은 아토믹 앤티크 Atomic Antiques

 

격리 기간 동안 간호사들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칠한 집의 벽 앞에 선 모래그.

 

현대의 메리 포핀스, 영국 아티스트 모래그 마이어스코프 Morag Myerscough는 생기 가득하고 변화무쌍한 설치 조각을 선보인다. 온갖 컬러를 담은 그의 작품은 우리 안에 잠자고 있는 아이를 깨운다. 파리의 생메리 교회 옆에 설치한 컬러풀한 패널로 만든 타워는 코로나19 이후의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A New Now’를 선언했다. 이 매력적인 아티스트가 오래된 런던 펍을 에너지가 진동하는 주거 공간으로 바꾸었다. “이 건물에 들어서자마자 이곳에 살고 싶다는 걸 알았어요. 여기에는 정말 다양한 느낌의 공간이 있어요! 같은 지붕 아래 스튜디오와 부티크 갤러리, 집까지 가질 수 있어요.” 모래그는 흰 캔버스에서 다시 시작하기 위해 가장 먼저 실내를 전부 흰색으로 칠하고 1층 외관은 검은색으로 칠했다. 곳곳에 온갖 색상을 칠했다. 벽이나 문틀은 단색으로 칠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테크니 컬러를 적용한 기하학적인 형태로 장식했다. 특히 서재에는 17가지 컬러나 칠했다! “먼저 한 가지 컬러를 배치한 다음 주변에 어떤 컬러를 더할지 오랫동안 생각해요. 균형과 충돌을 동시에 만들어내야 하거든요.” 이는 단지 개인적인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연대와 공유를 표현하는 도구가 되었다. 그는 게다가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격리돼 있는 동안 간호사들에게 감사함을 전하기 위해 집의 벽 하나를 칠하고 이를 간호사들에게 헌사했다. 모래그의 남편이자 로커인 루크 모건은 이러한 자유분방하고 독창적인 세계를 따르지만 그의 아틀리에만큼은 온통 흰색과 메탈로 된 인더스트리얼 스타일로 꾸몄다. ‘보통의’ 세상과 모래 그의 세상 사이에 있는 ‘감압실’ 같은 공간이다.

 

거실에는 각각의 이야기를 지닌 다양한 오브제로 활기가 넘친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벽에 건 ‘호랑이 가면’은 멕시코 남서쪽 게레로 주의 지트랄라 Zitlala에서 구입, 모래그의 작품 ‘The Temple of Agape’의 부분, 벼룩시장에서 구한 해골 컬렉션, 1968년 바우하우스 엑스포 오리지널 포스터, 모래그의 할아버지 초상화와 그의 그림 ‘Eye See’, 금빛 메탈 사슴, 아토믹 앤티크, 모래그가 코로나19 기금을 모으기 위해 그린 그림 ‘Stay Home’,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누드 그림. 모래그가 노란색 천으로 커버링한 카나페는 트웬티트웬티원 Twentytwentyone. 쿠션과 태피스트리는 모래그가 제품화한 것.

 

모래그는 남편 루크와 함께 부엌 그릇장을 제작했다. 그릇장 앞의 ‘Bastard’는 사회를 향해 날리는 코웃음. 점점 옅어지는 햇빛. 모래그는 따뜻한 느낌을 주는 책장에 소중한 물건을 진열해놓았다. 작은 그림들은 루크가 매해 기념일마다 그려준 것. 현미경 옆에 있는 그림은 그의 여동생 이스벨이 주었다. 바이올린과 다른 악기는 아버지가 만들었다. 왼쪽 아래 있는 포르나세티 Fornasetti와 조나단 애들러(흰색)의 꽃병, 창 아래 선반에 있는 오브제는 어머니가 자수를 놓은 것. 벤치는 베른트 페터슨 Bernt Petersen이 칼한센&선 Carl Hansen&Son을 위해 제작한 것으로 이브 기어트센 Ib Geertsen이 색을 칠했다. 로켓 갤러리 Rocket Gallery에서 구입.

 

모래그는 맨 위층의 침실과 테라스 사이에 여름 거실을 만들었다. 그는 이곳에서 쉬는 걸 좋아한다. 모두 나무로 된 이곳은 컬러가 거의 없어 조용하고 편히 쉴 수 있다.

 

선언 같은 작품. 현관에 들어서면 보는 것을 믿게 하는 단어 게임 모양의 모래그 작품이 방문객을 맞는다.

 

불규칙한 조합. 여러 스타일과 장르가 혼재한 부엌. 왼쪽 그릇장은 모래그와 루크가 함께 제작한 것으로 앞부분에 사회를 향해 코웃음을 날리는 ‘Bastard’라는 문구를 넣어 재미있게 꾸몄다. 다리는 이 지역 장인이 갈퀴처럼 만들었다. 맞춤 제작한 테이블 다리 역시 지역 장인이 만들었다. 오른쪽 그릇장은 스코틀랜드인인 할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앤티크. 펜던트 조명은 해비태트 Habitat. 테이블 위에 있는 노란색 유리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뒤에 있는 노란색 화분은 세락스 Serax. ‘Bastard’ 그릇장 위에 있는 나무통 형태의 꽃병은 아티스트 리처드 우즈 Richard Woods가 헤이 Hay를 위해 디자인했다.

 

모래그와 루크는 침실을 좀 더 아늑한 분위기로 만들기 위해 맨 위층에 마련했다. 흔들의자 ‘RAR’는 찰스&레이 임스 Charles&Ray Eames 디자인으로 벼룩시장에서 구입. 쿠션은 모래그 디자인.

 

눈속임 타일. 욕실 바닥은 타일이 아니라 모래그가 모자이크 타일처럼 그려 넣었다. 욕조 ‘모드 테이트 Mode Tate’는 빅토리아 플럼 Victoria Plum. 수전 ‘에덴 Eden’은 오차드 Orchard.

CREDIT

포토그래퍼

베네딕트 드뤼몽 Benedicte Drummond

reportage

베네딕트 드뤼몽 Benedicte Drummond

TAGS
THE GRAND ART

작품들로 세심하게 연출한 갤러리스트 아멜리 뒤 샬라르의 파리 듀플렉스

작품들로 세심하게 연출한 갤러리스트 아멜리 뒤 샬라르의 파리 듀플렉스

집을 미술관으로 꾸미지 않고 예술에 대한 사랑을 충족시키는 것. 이것이 바로 갤러리스트 아멜리 뒤 샬라르가 자신의 파리 듀플렉스를 꾸미는 방식이다. 바닥부터 천장까지 작품들을 세심하게 연출한 집을 소개한다.

테라코타 현관. 집에 들어서면 아티스트 마놀로 발레스테로스 Manolo Ballesteros의 대작이 맞아준다. 바닥의 테라코타 타일은 포나체 브리오니 Fornace Brioni.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티스트 나딘 드 가람 Nadine de Garam, 브뤼노 감본 Bruno Gambone, 플로랑스 드누 Florence Denou의 조각품

 

화가 프레데릭 외르리에 치몰래 Frederic Heurlier Cimolai의 작품 앞에 선 아멜리 뒤 샬라르.

 

갤러리 아멜리 메종 다르 Amelie Maison d’art의 갤러리스트 아멜리 뒤 샬라르가 관심을 갖는 것은 제곱미터의 축적이 아니다. “저는 바닥 면적보다는 벽 넓이를 봐요. 얼마나 많은 작품을 걸지 결정하기 위해서요.” 천장 높이가 9m나 되는 방과 이를 둘러싼 좁은 통로가 있는 이 옛 도서관 을 발견했을 때 그의 마음은 두근거렸다. 비정형의 공간은 아멜리가 지지하는 컨셉트를 완벽하게 보여준다. 많은 작품이 널찍한 거리두기를 원치 않는다는 것. 작품들은 잘 연출하기만 하면 집 안에 자리하는 걸 좋아 한다. 아멜리는 이 이론을 파리에 있는 그의 갤러리 두 곳에 적용했다. 아파트처럼 꾸민 그의 갤러리에서는 각 작품이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아멜리는 좀 더 나아가 ‘컬렉터의 집’ 두 곳을 만들어 렌트했는데, 이곳에서 아트 작품과 함께 살아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이 듀플렉스에서 예술품과 함께하는 삶은 그에게 일상이다. 이 집은 아멜리의 첫 번째 갤러리를 꾸민 바틱 스튜디오의 레베카 베니슈와 함 께 리노베이션했다. “제가 뭘 원하는지 알고 있었어요. 밝은 색 나무와 등 나무, 테라코타 바닥으로 집 안에 온기를 주고, 이 아름다운 높은 천장과 균형을 이루게 하고 싶었어요.” 아멜리는 이탈리아인 남편 피에르 파올로와 함께 수작업으로 테라코타 타일을 만드는 장인을 찾으러 이탈리아 만 토바까지 갔다. 중앙의 방 벽을 따라 큰 나무 벤치를 놓았는데 그 위에 조각품과 그림, 도서관에 소장된 오래된 책을 올린 벤치는 낮은 곳으로부터 삶을 전해준다. “다락방에서 1930년대 책을 발견해서 얼마나 기뻤는지 몰라요.” 그 책에 담긴 이야기는 이 가족의 막내, 레오니의 밤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줄 것이다.

 

천장 높이가 9m, 바닥 면적이 100㎡가 넘는 웅장한 거실. 왼쪽에 있는 암체어 ‘MG501 쿠바 체어 MG501 Cuba Chair’는 모르텐 괴틀러 Morten Gottler 디자인으로 칼 한센 Carl Hansen. 오른쪽에 있는 암체어는 세르지오 로드리게스 Sergio Rodrigues. 안쪽에 있는 콘크리트 암체어는 빌리 굴 Willy Guhl. 낮은 테이블 ‘갈레 사이드 테이블 Galet Side Table’은 피에르 오귀스탱 로즈 Pierre Augustin Rose. 아멜리의 개인 소장 컬렉션 중 왼쪽 벽에 있는 파란색 큰 그림은 탕귀 톨릴라 Tanguy Tolila의 작품. 오른쪽 계단 위에 있는 그림은 클로드 비알라 Claude Viallat의 작품. 작은 작품들은 라나 베검 Rana Begum의 접힌 스틸 오브제, 김인겸의 수묵화, 알랭 클레망 Alain Clement의 그림, 게오르그 바젤리츠 Georg Baselitz, 델핀 드 뤼페 Delphine de Luppe, 프란시스 리메라 Francis Limerat, 피에레트 블로흐 Pierrette Bloch, 데이비드 내시 David Nash, 프레데릭 외르리에 치몰래 등의 그림. 벽감 안에는 피에르 뷔라글리오 Pierre Buraglio, 장 드고텍스 Jean Degottex, 탕귀 톨릴라, 해롤드 크로네 Harald Kroner, 실비 망고 Sylvie Mangaud, 마크 프티 Marc Petit, 나딘 알마이에 Nadine Altmayer 등의 작품이 있다.

 

흙색이 큰 공간을 따뜻하게 만들어준다. 피에로 리소니 Piero Lissoni가 디자인한 카나페 ‘엑스트라소프트 Extrasoft’는 리빙 디바니 Living Divani 제품으로 실베라 Silvera에서 구입. 둥근 테이블은 필립 위렐 Philippe Hurel. 스피커 시스템 ‘베오사운드 에지 Beosound Edge’는 마이클 아나스타시아드 Michael Anastassiades가 뱅&올룹슨 Bang&Olufsen을 위해 디자인했다. 작은 타부레는 나딘 드 가람의 작품. 나무 벤치 위에 있는 작품은(왼쪽에서 오른쪽) 아르노 라파엘 민키넨 Arno Rafael Minkkinen의 사진, 토마스 뮐러 Thomas Muller의 파란색 그림, 나딘 드 가람의 조각. 대리석 파우더와 안료를 칠한 커튼은 아티스트 장 뒤뤼소 Jean Duruisseau가 제작했다.

 

금빛 나무와 따뜻한 색. 부부 침실의 테라코타 타일이 생기를 준다. 타일은 포나체 브리오니. 침대 헤드보드는 떡갈나무와 등나무로 제작. 그 뒤에 있는 진줏빛 회색의 콘크리트 벽은 욕실을 가려준다. 벽에 걸린 흰색 그림은 나딘 알마이에 작품. 브론즈 커플상은 트리스탕 아우어 Tristan Auer 작품. 침대에는 아티스트 소피 드 가람이 앤티크 리넨으로 만든 침대보를 덮었다. 침대 앞에는 가죽과 스틸로 만든 핸드메이드 타부레를 놓았다.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가벼운 느낌을 주는 유리 펜던트 조명 ‘73’은 보치 Bocci. 부엌의 아일랜드와 식탁은 바틱 스튜디오에서 디자인하고 맞춤 제작했다. 의자 ‘네바 Neva’는 루더 노박-미쿨릭&마리야 루직 Ruder Novak-Mikulic&Marija Ruzic 디자인. 아티잔 Artisan, 모드 Mohd에서 구입. 작은 타부레는 나딘 드 가람의 작품. 벽에 건 그림은 프레데릭 외르리에 치몰래의 작품. 그 위에 있는 작품은 크리스티앙 그를리에 Christian Grelier.

CREDIT

포토그래퍼

디디에 들마 Didier Delmas

stylist

비르지니 뤼시-뒤보스크 Virginie Lucy-Duboscq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