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루체플랜의 호프 조명이 화사한 거실. 3m에 달하는 긴 식탁을 두어 커뮤니티 공간으로 꾸몄다. 격자무늬의 베란다 문에서 집주인이 좋아하는 프렌치 스타일을 느낄 수 있다.
집보다는 잘 꾸며진 카페처럼 느껴지는 40대 싱글녀의 집은 주방의 면적과 방의 개수를 줄인 것이 특징이다. 혼자 사는 집이기 때문에 침실과 다른 방 하나만 있으면 충분했고, 대신 거실과 주방을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했다. 거실에 들어서면 저층이어서 볼 수 있는 창밖의 우거진 나무와 3m에 달하는 원목 테이블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손님이 놀러 오거나 혼자 일을 하거나 식사를 하는 등 다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이 거실의 중심이 됐다. 이 집을 설계한 스튜디오 알드 Studio ALD의 박재우 소장은 “소파나 TV를 둔 평범한 거실 대신 집주인의 스타일에 맞게 긴 테이블을 거실에 두었어요. 주방은 아일랜드 형태로 두었고 가전 외에는 전부 수납할 수 있도록 가구를 짜서 마치 바 Bar처럼 보이기도 하죠. 주방에서는 최소한의 작업을 할 수 있고, 다이닝이 된 거실은 커뮤니티 성격의 공간이 됐어요”라며 달라진 거실의 역할을 언급했다. 주방과 거실을 대면 형태로 만들어 손님이 왔을 때는 호스트로 편하게 응대할 수 있고, 각각 다용도실과 세탁실로 이어지는 주방 양쪽 문은 닫았을 때는 벽처럼 보여 깔끔하다.

베란다에 만든 동양적인 작은 정원. 물을 많이 주지 않고도 관리한 편한 식물을 식재했다.

독특한 배치의 잉고 마우러 조명이 달린 현관 입구. 라운지 방에는 투명한 미닫이문을 달아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깔끔한 수납이 돋보이는 아일랜드 형태의 주방. 양쪽에 문이 있어 각각 다용도실과 세탁실로 이어진다.
작은 정원을 만든 베란다는 이 집의 특색 있는 요소 중 하나다. 창문으로 자연풍경을 차경처럼 감상할 수도 있지만 작은 원형의 정원을 만들어 사계절 내내 푸른 식물을 바라볼 수 있다. 최소한의 물만으로도 관리가 쉬운 난이나 이끼 등을 식재해 동양적인 느낌이 물씬 풍긴다. 과하지 않은 프렌치 스타일의 클래식을 좋아하는 집주인의 스타일도 반영했다. 현관 중문과 베란다에는 금속 소재의 격자무늬 미닫이문을 달았고 침실 벽에는 웨인스코팅 몰딩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거실 테이블 위에 달린 루체플랜의 호프 Hope 조명 또한 화려한 샹들리에처럼 보인다. 싱글녀의 집답게 부드러운 요소도 엿볼 수 있다. 화이트 컬러를 기본으로 곳곳에 포인트 색상을 사용했고, 특히 현관과 거실 사이에 있는 벽을 라운드 형태로 만들어 독특한 분위기를 준다. 벽의 끝 부분을 둥글게 굴렸을 뿐인데 색다른 인테리어가 됐다며 집주인을 비롯해 이 집에 놀러 온 이들에게도 가장 반응이 좋은 부분이다.

넓은 침실을 라운지 공간으로 바꾸었다. 서재처럼 책이나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는 혼자만의 휴식 공간이다.

컬러 포인트를 느낄 수 있는 두 개의 화장실. 두 곳 모두 레트로 스타일로 연출했는데, 특히 게스트 화장실은 세면대를 밖으로 빼서 누구나 편하게 손을 씻을 수 있다.
박재우 소장은 “색상을 많이 사용하진 않았지만 화장실 두 곳을 레트로 스타일로 컨셉트를 잡아 핑크색과 올리브 그린색을 넣었고 조명도 레트로한 디자인으로 골랐어요. 특이한 점은 게스트 화장실의 세면대를 바깥으로 빼서 외출 후 옷만 벗고 바로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한 거예요. 요즘은 특히 위생이 중요하니까요”라며 언뜻 보면 놓치기 쉬울 수 있지만 의미를 담은 부분을 설명했다. 방의 용도도 달라졌다. 보통 안방으로 사용하는 방을 프라이빗한 라운지 공간으로 꾸몄는데,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의자에 앉아 책을 본다. 거실이 여러 사람들과 함께하는 곳으로 변신했다면 안방은 오직 혼자만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이처럼 혼자 사는 이들의 집을 들여다보는 재미가 있는 이유는 일반적인 집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났기 때문이지 않을까. 무엇보다 함께하는 공간과 사적인 공간을 모두 가질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나 혼자 사는 이들이 누릴 수 있는 진정한 특권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