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 중심 인테리어

단란한 가족의 리모델링

단란한 가족의 리모델링

 

과감하게 거실을 없애고 주방이 중심이 된 네 식구의 집. 이들 가족은 식탁으로 하나, 둘 모인다.

 

그릇 수집이 취미인 김혜령 씨를 위해 벽면을 전부 수납장으로 만들었다. 와인잔부터 다양한 종류의 그릇에서 깔끔한 화이트 디자인을 선호하는 그녀의 취향을 엿볼 수 있다.

 

어린 자녀의 교육과 가족 간의 소통을 위해 TV 없는 삶을 택한 경우는 더러 있지만 집 안의 중심이 되는 거실을 완전히 배제한 집은 처음이다. 방문하기에 앞서 거실 사진이 없었던 터라 어딘가에 있겠거니 짐작했던 나의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예사롭지 않은 분위기를 풍기는 128㎡의 이 집은 김혜령 씨 부부와 6살, 7살 연년생 아들 그리고 반려견 볼트와 너트의 보금자리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아이들을 위한 건강한 먹거리를 주제로 라이브 방송과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업로드해요. 화학조미료를 지양하는 전국의 업체를 발굴해 상품화하고 판매하며 그 재료를 가지고 쉽고 간편하게 요리하는 방법을 알려 드려요”라며 그녀가 운영하는 채널을 소개했다.

 

거실에 자리하는 다이닝 공간. 이곳에서 김혜령 씨는 콘텐츠 영상 제작과 라이브 방송 등 팔로어와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집이 곧 일터인 그녀에게는 이사를 앞두고 삶에 꼭 맞는 인테리어를 완성해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했다. 평소 친분을 쌓은 공간와이의 한수연 실장이 바로 그 꿈을 이뤄줄 완벽한 파트너였다. “리모델링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이전에 살던 집이 165㎡였는데 그보다 작은 128㎡로 평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할까? 짐을 줄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많았는데, 불필요한 공간을 과감히 덜어내고, 재구성한 한수연 실장님의 실력으로 조금의 불편함도 느끼지 못하는것 같아요.”

 

블랙&화이트로 이뤄진 다이닝은 장식적인 요소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절제된 형태와 디자인을 강조했다.

 

이 집의 꽃이자 중심인 주방과 다이닝 공간은 김혜령 씨가 방송할 때의 동선과 영상미를 고려해 완성되었다. 마치 스튜디오처럼 바닥과 주방 수납장의 벽면을 원목으로 통일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마감했으며, 아일랜드 식탁은 김혜령 씨의 큰 키에 맞춰 높게 제작했다. 거실을 대신하는 다이닝 공간은 식탁 뒤로 보이는 벽이 깔끔하길 원했기에 수납장을 벽처럼 숨기고 색상과 패턴을 맞췄다. 안방으로 들어가는 문 역시 벽면과 하나의 연장선으로 보일 수 있도록 신경 썼다. 화이트&우드 톤으로 자칫 심심해 보일 수 있는 부분은 한국화 감성의 이영지 작가의 그림을 걸어 따스함을 부여했다.

 

간살 유리 도어를 단 현관 입구

 

필요한 가구로 구성된 단출한 아이 방. 이영지 작가의 그림이 더해져 포근하다.

 

원목으로 마감한 부부 침실과 주방. 필요한 것을 모두 수납장에 보관해 깔끔한 상태를 유지한다.

 

구조를 변경해 호텔 같은 욕실을 완성했다.

 

“제 영상을 보는 분들은 어딘가 거실이 따로 있을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해요. 대체 이 집은 몇 평일까 궁금해하는 분도 있어요(웃음).” 벽처럼 숨어 있는 수납장을 열어보니 다양한 그릇이 빼곡했다. 신혼 초부터 하나하나 사 모은 그릇이 벽면을 가득 채울 만큼 쌓여 있고, 최근에는 화려한 디자인보다는 동양적이거나 작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도자 그릇을 모으는 취미가 생겼다. 김혜령 씨는 뭐든 가득 채우고 사는 것이 싫다고 강조했다. 냉장고 역시 비우면서 행복감을 느끼고 밑반찬도 욕심 내지 않고 매일 한번 먹을 수 있는 양만 요리한다. 네 가족이 단란하게 살고 있는 이 집은 비움의 미학을 여실히 보여준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박상국

TAGS
모로소식 테니스 응원

모로소의 컨셉 라운지

모로소의 컨셉 라운지

 

2022 니토 ATP 파이널스 Nitto ATP Finals는 올해 이탈리아 토리노 지역에서 열린다.

 

 

니토 ATP 파이널스는 매년 세계 랭킹 8위만 참가하는 대회로 테니스 팬들이 연말 선물처럼 기다리는 대회다. 경기 결과만큼 재미있는 소식은 이탈리아 가구 브랜드인 모로소가 테니스 연맹의 선수와 게스트를 위한 토리노의 한 극장을 ‘우드 랜드’ 컨셉트로 꾸몄다는 것. 론 아라드의 소파부터 세바스찬 헤르크너의 작은 소파,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의 의자 등과 거대한 자연 연출이 만달라키의 조명과 어우러져 감각적인 라운지를 완성했다.

WEB moroso.it

CREDIT

에디터

TAGS
뻐꾸기 빌라 위로 날아간 새

오래된 빌라 인테리어

오래된 빌라 인테리어

 

건축 설계를 업으로 하는 부부의 손에 30년이 넘어 흰 백지장과 같은 공간이 주어지면 어떻게 변할까?
부부의 취향을 오롯이 반영한 49㎡ 빌라 리모델링 이야기.

 

거실과 주방 사이에 미닫이문을 달아 유동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미국의 유명 건축가 톰 쿤딕은 말했다. “자신의 집을 짓는 사람은 용감하고 삶에 호기심이 많다. 그들은 그저 상품을 사서 작동하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에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생각한다.” 잘 살고 있던 아파트 대신 30년 넘은 다세대 빌라를 매매해 손수 고친 서준혁, 최세진 부부만큼이나 용감한 이들이 또 있을까. 각각 건축사사무소 지랩과 사무소 효자동을 거친 두 사람은 올해부터 만화기획 건축사무소를 함께 운영 중이다. 합심해 고친 홍은동 뻐꾸기 빌라는 만화기획의 프리퀄인 셈. “주말마다 집을 보러 다녔어요. 애매한 새집보다는 전부 뜯어 고칠 수 있는 15평 내외의 구옥을 찾았죠. 이 집의 첫인상은 굉장히 좁고 낡았었는데, 요즘 보기 드문 직사각형 평면에 경사 지붕이더라고요. 꼭대기 층이라 천장을 트면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어 그 자리에서 바로 계약금을 넣었어요. 가능성을 본 거죠. 곧장 빠루(천장을 철거하는 도구)를 사서 쳤는데, 다행히 아주 높고 반듯한 천장이 나왔어요.” 1986년생 다세대 빌라는 그렇게 젊은 새 주인을 맞이했다.

 

1980년대 유행한 건축양식 뻐꾸기창은 당시 다세대 빌라에서 부릴 수 있는 최고의 멋이자 장식이었다.

 

물탱크가 있던 천장 자리를 수납공간으로 만들었다.

 

서준혁, 최세진 부부.

 

 

작지만 너른 집

 

임스 파이버 글라스 체어를 제외한 테이블과 의자는 아이네클라이네에서 주문 제작했다.

 

15평이 채 되지 않는 빌라는 화장실을 제외하면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베란다가 있는 거실 겸 다이닝, 주방 그리고 침실. 법적인 구조를 건들지 않는 선에서 모두 철거하고 새롭게 꾸몄다. 집 안 곳곳에서 부부가 고심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란다의 문턱을 없애고 길게 마루를 시공해 공간이 넓어 보이게 만든다거나, 남향인 거실의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주방 사이에 난 문을 한지로 발랐다거나, 3.7m에 달하는 거실 천장의 공간감을 살리기 위해 갓이 없는 펜던트 조명을 달았다거나 하는 것들이다. 베란다 천장을 과감히 통유리로 마감한 것도 블라인드 개폐 유무와 관계 없이 빛을 온전히 끌어들이기 위한 의도. 절대적인 공간이 부족하다 보니 수납공간 확보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천장 안에 숨어 있던 물탱크 공간은 미닫이문을 달아 계절 가전과 옷을 수납하는 창고로 만들고, 베란다 한쪽에는 이동 가능한 장을 설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인 것.

 

서재 혹은 다이닝 공간이 되기도 하는 거실.

 

소파 대신 이동 가능한 좌식 쿠션을 배치해 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공사 기간은 약 한달 반. 회사 생활로 바쁜 와중 직접 집을 고친 탓에 웃지 못할 추억도 생겼다. “입주 날짜가 안 맞아서 게스트하우스 생활을 한 달 정도 했어요. 나중에는 정말 기본만 갖춰놓고 입주해서 두 달 동안 화장실 문도 없었죠. 덕분에 서로 더 친해졌달까요(웃음).” 우여곡절이 많았던 공사 과정은 인스타그램 계정(@villa_cuckoo)에 차곡차곡 담겼다.

 

 

뻐꾸기 빌라가 된 이유
1970~80년대 지어진 다세대 빌라는 대부분 밖으로 돌출된 ‘뻐꾸기창’이라 불리는 작은 창이 있다. 천편일률적으로 빌라를 찍어내던 그 시절, 빌라가 부릴 수 있는 최고의 멋이자 유행이었던 것. “이 집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뻐꾸기창이었어요. 단열 보수를 하고 괜찮은 창호로 시공하면 안쪽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거든요. 좁은 집에 재미와 깊이감을 더할 수 있는 요소이기도 했고요.”

 

좁지만 갖출 건 다 갖춘 욕실. 목욕을 좋아하는 남편 서준혁 씨를 위해 오른쪽에는 작은 욕조를 두었다.

 

냉장고 옆 틈새에는 그릇 수납장을 짜 넣었다.

 

홍은동으로 이사한 지 2년이 되어가는 지금, 두 사람은 입을 모아 동네에서 느낀 정겨움에 대해 늘어놓았다. “이 집은 정말 우리가 살고 싶은 집에 살기 위해 찾은 집이에요. 아파트에 살 때보다 이웃을 만날 일도 많고, 서울인데도 마치 작은 마을에 살고 있다는 소속감이 들어요. 솔직히 30~40년된 다세대 빌라를 사서 적지 않은 액수를 들여 고치는 것이 요즘 부동산 이치에는 맞지 않잖아요. 아파트가 더 편리했던 것도 사실이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희 몸에 꼭 맞게 고쳐서 편안한 것도 있지만 삶이 한층 풍부해졌거든요.”

 

좋아하는 기물로 채운 주방 모습.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