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얀 헨릭 얀센이 디자인한 덴마크의 유리 집. 세상 끝 낙원 같은 이 집은 다니엘과 앙드레에게 명상의 안식처이다.

땅과 바다 사이. 코펜하겐에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이 집은 한쪽은 바다를, 다른 쪽은 숲을 면해있다. 건축가 얀 헨릭 얀센이 건축한 모던한 집이 풍경 속에 파묻힌다.

양쪽에서 사용하는 거실의 가스 벽난로 덕분에 부엌과 다이닝룸을 동시에 난방할 수 있다. 에일러센 Eilersen 카나페 앞에 있는 가죽 푸프 ‘모노 Mono‘는 비르짓 듀 Birgitte Due와 요나스 트람페다흐 Jonas Trapedach 디자인으로 프레데리시아 퍼니처 Fredericia Furniture. 안쪽에 있는 티크 의자 ‘위시본 Wishbone’은 한스 J. 베그너 Hans J. Wegner 디자인으로 칼 한센 Carl Hansen.
“심플한 집을 원했어요.
야생의 환경에서 자연과 하나를
이루는 집 말이에요.”

커다란 통유리창이 아주 가까운 바다를 주인공으로 만든다. 부엌과 다이닝룸에 있는 테이블은 건축가가 맞춤 제작했다. 테이블 위에 설치한 세 개의 검은색 펜던트 조명 ‘톨드보드 170 Toldbod 170’은 루이스 폴센 Louis Poulsen. 티크 의자 ‘위시본’은 한스 J. 베그너 디자인으로 칼 한센. 꽃병은 디테 피셔 Ditte Fischer. 세라믹 접시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조용하고 느긋한 파티오에서 과일나무와 연못을 바라보며 하루를 보내곤 합니다. 첫 서리가 감싸는 것처럼 포근한 온기가 저를 보호해주죠.” 의사 부부인 다니엘과 앙드레는 바닷가 집에서 살기로 결정한 뒤 이동이 편한 단층집을 찾았다. 가족과 친구들을 초대할 생각이었지만 둘만 있을 때에도 텅 빈 듯한 기분을 느끼고 싶지 않았다. “파티오를 중심으로 연결 되는 직사각형 집을 구상했어요. 이렇게 하면 침실 두 개와 욕실이 있는 ‘날개’ 쪽 공간에 손님들이 머물 수 있거든요. 부부 공간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말이죠.” 건축가 얀 헨릭 얀센이 설명한다. 한쪽에는 숲이, 다른 쪽에는 바다가 있으며, 코펜하겐에서 한 시간 거리에 자리한 이 대지는 부부가 원하는 바와 완벽하게 맞아 떨어졌다. 땅도 길고 위치도 좋았지만 기존에 있던 집은 곧 무너지기 일보직전이라 건축가는 원래의 집을 부수고 단층집을 새로 지었다. 바다를 향하는 거실에는 통유리창을 설치해 끝없이 펼쳐지는 파도를 아주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했다. “바다가 보이는 쪽이 북향이라 서 남쪽에 큰 창을 만들었어요. 태양의 따뜻한 빛을 되찾기 위해서요.” 그 결과 심플하면서도 채광이 좋은 공간이 완성됐다. 이 집은 주변의 자연과 하나로 어우러진다.

바다를 향하는 공간은 건축가가 따뜻한 금빛 나무로 디자인한 벽으로 나뉜다. 바닥은 이탈리아산 트래버틴으로 마감했다. 부엌 끝에 있는 테라스에는 떡갈나무 가구를 놓았다. 루이스 폴센 Louis Poulsen. 티크 의자 ‘위시본’은 한스 J. 베그너 디자인으로 칼 한센. 꽃병은 디테 피셔 Ditte Fischer. 세라믹 접시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거실은 열린 공간이면서
아늑해서 이곳에 있으면
기분이 좋아요.”

주문 제작한 나무 아일랜드에는 바닥과 조화를 이루는 이탈리아산 트래버틴 조리대를 얹었다. 황동 수전은 쿠우커 Quooker. 테이블과 벤치는 건축가가 디자인했다. 꽃병은 디테 피셔. 세라믹 접시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침실은
그림엽서 같은 풍경으로
열려 있어요.”

부부 침실의 침대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마치 천국 같다. 소나무 뒤로 바다가 보인다. 아주 그래픽적인 이 방은 건축가가 나무 상자처럼 디자인했다. 침대 헤드보드 뒤에 책상을 만들고 두 개의 테이블 조명(빕 Vipp)을 설치했다. 가죽으로 된 회전 암체어는 프레데리시아 퍼니처.

이탈리아산 트래버틴으로 마감한 욕실은 숲으로 향하는 정원을 면하고 있다. 러프한 황동 수전은 볼라 Vola.
“자연에 파묻힌 이 집에서는 고요함과
명상을 누릴 수 있어요.”

소나무가 자라는 작은 길은 정원 끝의 해변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