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은 ‘Patterns from Figures’로 노기쁨 작가의 작품. 세라믹 스프링 체어, 플래티늄 캐비닛은 김무열 작가의 작품. 페보 소파는 막살토. 세라믹 테이블은 모오이. 캐비닛 속 세라믹 오브제들은 디비케이디, 쿠이 디자인.
01 내 취향을 매일 경험하는 즐거움
나의 취향을 디자인한 공간에서 생활하며 남들과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즐긴다. 좋아하는 세라믹 소재의 오브제, 그림 등을 들여 완성한 디테일하고 안락한 공간은 정물화 같기도 하다. 인테리어로 개성을 표현하는 건 나의 세련된 안목을 스스로 존중하는 의미와 연결된다.

책 선반은 스펙트럼 퍼니처. 암체어는 무어만. 데이베드는 바쌈펠로우. 커피 테이블은 아티산. 플로어 조명은 아르떼미데. 러그는 헨젤 스튜디오. 벽 아트는 ‘증식’으로 신한철 작가의 작품.
02 슬기로운 여가 생활을 위해
집 밖의 생활에 제약이 있다면 집 안의 생활에 더 공을 들이면 될 것이다. 디제잉, 독서 등 취미에 집중하거나 앉거나 누워서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든다. 독서광이라면 나만의 작은 책방을 마련해보자. 번듯한 공간이 아니어도 조명, 책장이 결합된 의자 하나면 충분하다. 좋아하는 것을 하기 위해 일상의 놀이터와 같은 공간을 직접 설계하는 것. 나를 표현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주방 가구는 에거스만. 주방 타일은 이탈그라니티 그룹. 수전은 주세티. 페퍼밀과 그레이터는 라이프 매너스트룀. 와인 오프너는 알레시. 세면대 가구는 발다마.
03 생활 공간에서 벗어나는 방법
사회적 긴장감에서 벗어나 와인 한잔하며 친밀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프라이빗 커뮤니티룸을 원하는가? 식재료를 씻고, 썰고, 끓이는 생활 느낌이 물씬 나는 주방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버밀리언 남산은 주방 가구에 차별화를 두었다. 고급 소재의 색과 질감에서 오는 미묘한 차이는 주방을 홈바로 변신시킬 것이다. 53㎡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면대를 욕실에서 분리해 럭셔리 호텔 무드가 물씬 나는 독립적인 공간으로 만들었다.

알루미늄 소재의 큐브는 몬스트럭쳐. 폴딩 자전거 그루는 루트코리아. 헬멧은 번.
04 스타일을 드러내는 수납
수납에도 스타일을 담는다. 집에 있는 물건이 나의 개성이나 아름다움을 담고 있어 숨기고 싶지 않다면 오픈 수납형 가구는 어떨까. 자전거를 접어 보관할 수 있어 다소 좁을 수 있는 43㎡의 현관 입구도 여유있게 활용 가능하다. 집 안에서 쇼룸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드는 건 단지 기분 탓만은 아닐 것이다.

침구는 소사이어티 리몬타. 스툴은 ‘Crest and Trough Series’로 최동욱 작가의 작품.
05 라이프스타일을 녹여내는 공간
낮은 벽, 낮은 가구는 좁은 공간을 보다 넓어 보이게 하고, 공간 분리가 가능한 벽은 좁은 공간을 흥미롭게 활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공간에 다양한 쓰임새를 부여하는 건 거주자의 몫. 내가 원하면 그곳이 침실, 피트니스룸, 영화관이 될 수 있다. 나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동선을 머릿속으로 그려 공간을 구성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