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페인트 브랜드와 컬러 전문가들이 선정한 ‘올해의 컬러’는 다가오는 해의 분위기를 예고한다. 2025년을 이끌 컬러 트렌드를 통해 우리 공간이 어떻게 변화할지 미리 엿보자.
루모스 Rumors
미국의 대표적인 페인트 회사 베어 Behr는 관능적인 레드 컬러 루모스를 통해 자신감 넘치고 에너제틱한 동시대 사람들의 태도를 강조했다. 역동적인 루비 레드는 작은 오브제라도 강력한 포인트를 더해줄 것이다.
1 폴스포튼 Polspotten, 지그재그 스툴 Zigzag Stool 역동적이면서도 대칭적인 안정감을 주는 지그재그 모양의 스툴. 글로시한 루비 레드 컬러가 공간에 생동감을 더해준다.
2 비앤비 이탈리아 B&B Italia, 아시알레 Assiale 미니멀리즘을 대표하는 피에로 리소니 Pierro Lissoni가 디자인한 테이블. 현대적이면서도 단순한 구조에 레반토 레드 마블 Levanto Red Marble을 사용해 조각적인 느낌을 더했다.
3 구찌 Gucc×아체르비스 Acerbis, 스토렛 캐비닛 Storet Cabinet 모던 이탤리언의 상징적 디자인을 재해석한 구찌의 디자인 앙코라 컬렉션. 구찌의 아이코닉한 레드 컬러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사바토 데 사르노 Sabato de Sarno가 ‘로소 앙코라 Rosso Ancora’ 색상으로 재해석했다.
4 까시나 Cassina, 두뎃 소파와 암체어 Dudet Sofa&Armchair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가 디자인한 두뎃 컬렉션. 1970년대 레트로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은 둥근 곡선 형태의 등받이가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5 CC타피스, 마마 논 마마 M’ama non m’ama 이탈리아어로 ‘날 사랑해, 사랑하지 않아?’를 의미하는 이름은 꽃의 꽃잎을 하나씩 따면서 질문을 던지는 오래된 놀이에 차용했다. 꽃의 유기적인 모양이 로맨틱한 느낌을 더한다.
앙코르 Encore
1806년 설립된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페인트 브랜드 발스파 Valspar는 즐거움과 자신감이 넘치는 풍부한 색감의 블루를 내세웠다. 이 색상은 선명하고 시원한 톤으로 현대적인 디자인과 고풍스러운 스타일 모두에 다채롭게 어울리며, 공간에 신선한 에너지와 세련된 느낌을 불어 넣는다.
1 CC타피스, 티들리빗츠 Tiddlybits 추상적인 드로잉과 입체적인 질감이 돋보이는 러그. 독특한 컷 아웃 형태로 벽에 걸어 장식하기 좋다.
2 피에르 요바노비치 모빌러 Pierre Yovanovitch Mobilier×크리스찬 루부탱 Christian Louboutin, 사이렌 Syrena 프랑스 디자이너 루부탱의 아이코닉한 누드 슈즈를 의자 다리에 적용해 우아한 실루엣을 완성했다. 블루 컬러의 패브릭 커버에는 인어의 비늘과 파도의 물결을 섬세한 스티칭으로 새겨넣었다.
3 프라마 Frama, 우마 왕 룸 디바이더 Uma Wang Room Divider 천연 참나무와 캔버스로 제작한 룸 디바이더. 독립된 패널들을 강렬한 자석으로 고정시켜 단순한 미학과 이동의 실용성을 더했다.
4 폴스포튼, 베이스 퀼 다크 블루 Vase Quille Dark Blue 레이스를 두른 듯 입구 주위의 유려한 곡선 장식이 돋보이는 세라믹 베이스. 풍부한 광택을 살린 유약으로 더욱 화려하게 마감했다.
5 뽀로 Porro, 오리가타 Origata 미니멀하고 기하학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는 나오 타무라 Nao Tamura가 디자인한 벤치. 기모노를 만들 때 사용하는 오리가타 기법을 차용해 6mm 두께의 알루미늄 시트를 자르고 각지게 조립했다.
에이지드 위스키 Aged Wiskey
던 에드워드 Dunn Edwards는 과거와 미래의 조화를 이룬 컬러 트렌드를 발표했다. 그중 브라운 컬러는 차분한 뉴트럴 컬러와 어우러지며 전통적 느낌과 현대적인 세련됨을 동시에 보여주는 색조로, 다양한 공간에 따뜻하고 우아한 분위기를 더해준다.
1 101 코펜하겐 101 Copenhagen, 트라이블 베이스 Tribal Vase 전통 부족의 마스크에서 형태를 가져온 볼드한 실루엣으로, 화병으로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오브제로 활용할 수 있다.
2 까시나, 벤탈리오 테이블 Ventaglio Table 까시나를 위해 샬롯 페리앙 Charlotte Perriand이 디자인한 테이블. 너비가 동일한 14개의 우드 판자를 정교하게 배열해 다면체적 상판을 완성한 것이 특징이다. 각 판자가 모여 만드는 입체적인 디자인은 간결하면서도 구조적 미학을 보여준다.
3 펌리빙 Fermliving, 포즈 터프티드 러그 Pose Tufted Rug 인간의 연결과 창의성을 상징하는 고대 타악기 ‘클래퍼’에서 영감을 얻어, 팔 모티브가 돋보이는 독특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100% 울로 수작업 터프팅되어 깊고 포근한 질감을 자랑하며, 공간에 따뜻함과 편안함을 더해준다.
4 소호 홈 Soho Home, 히로 사이드 테이블 Hiro Side Table 두꺼운 원형 대리석 기둥에 섬세한 목공 기술이 돋보이는 상판을 조합해 청키한 실루엣을 완성했다. 블랙 컬러 미켈란젤로 대리석 상판은 클래식한 소호 하우스의 인테리어에서 영감을 얻었다.
5 타치니 Tacchini, 애디셔널 시스템 데이베드 Additional System Daybed 1960년대 인체공학적 연구에 발맞춰 1967년 조 콜롬보 Joe Colombo가 선보인 컬렉션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해 선보인다. 6가지 크기의 쿠션은 요소의 수와 배치 방식을 변화시켜 유연한 조합을 완성했다.
6 까시나, 섬웨어 엘스 오토만 Somewhere El-S Ottoman 필립 스탁 Philippe Starck이 까시나와의 협업 30주년을 기념해 선보인 컬렉션. 슈트 케이스에서 영감을 받은 각진 쿠션과 메탈 클로저 디테일이 돋보이며, 필립 스탁의 유려한 디자인 언어를 잘 보여주는 컬렉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