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ural Poetry

Architectural Poetry

Architectural Poetry

보테가 베네타의 밀라노 매장은 브랜드 철학이 깃든 하나의 작품이다. 상업적 공간을 넘어
건축적 감동과 감각적 경험을 선사하는 이곳으로.

커다란 아치형 창을 통해 유입되는 자연광이 공간을 부드럽게 감싼다. 깊은 녹색 가죽을 입은 가구와 골드 포인트 오브제가 세련된 감성을 한층 강화한다.

유리 블록, 월넛 패널, 베르데 생드니 대리석이 조화를 이룬다.

웅장한 월넛 소재의 곡선형 계단이 돋보이는 밀라노 매장.

밀라노의 심장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갤러리아 한가운데 자리한 보테가 베네타의 새로운 매장. 지난해 초 문을 연 이곳은 브랜드의 정체성이 공간으로 확장된 하나의 작품이자, 현대와 전통이 조화를 이루는 장소다. 2층 규모의 매장은 보테가 베네타의 철학과 신념을 담은 공간으로 유리, 이탤리언 월넛 소재의 목재, 그리고 그린 색상의 베르데 생드니 대리석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었다. 매장에 사용된 소재들은 이탈리아의 전통과 모던한 감성을 결합해 혁신적인 장인정신을 기리는 브랜드의 ‘파리 12 애비뉴 몽테뉴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더욱 발전된 미학을 보여준다. 월넛의 따뜻한 결이 유리 블록의 투명한 차가움과 대비를 이루며, 대리석이 주는 견고함이 브랜드의 시간성을 상징한다. 기하학적인 격자 구조의 벽면과 천장은 인더스트리얼 무드를 연출하며, 바닥 역시 대리석과 월넛 패널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매장 곳곳에 배치된 곡선형 계단과 진열대는 구조적 요소를 넘어 손으로 만지고 머무르고 싶은 오브제로 기능한다. 부드러운 가죽 시트와 울 카펫이 놓인 공간에서 갖는 쇼핑은 소비를 넘어 촉각적인 경험으로 이어지는 셈. 정형화된 진열 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감각을 자극하는 모듈식 선반 역시 마치 작은 예술 작품처럼 공간을 풍성하게 채운다. 여기에 커다란 아치형 창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과 그 위를 스치는 인공 조명이 교차하는 순간 공간은 살아 있는 듯한 표정을 짓는다.

화려한 꽃 장식이 달린 까바 백은 보테가 베네타의 2025 여름 컬렉션으로서 브랜드의 대담한 상상력과 장인정신을 엿볼 수 있다.

호보 까바 백.

사르딘 백.

토스카 백.

 

이제 패션 브랜드 매장은 하나의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장소로 확장되고 있다. 제품 구매를 하기 위해 찾는 이들뿐만 아니라, 브랜드가 구축한 공간의 미학과 건축적 요소를 감상하기 위해 방문하는 이들도 상당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보테가 베네타가 몬테 나폴레오네와 산 안드레아 거리에 이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갤러리아에 새로운 매장을 연 것은 단순히 리테일 확장이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을 더욱 깊이 새기는 전략적 행보로 볼 수 있다.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은 예상치 못한 건축적 감동을 경험하게 되고, 브랜드를 처음 접하는 이들조차 공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보테가 베네타의 언어를 체득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이 매장이 남기고자 한 것은 시간을 초월하는 감각적 경험이지 않을까. 이곳을 거니는 순간, 패션 브랜드 매장이 상업적 목적을 넘어 어떤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는지 자연스럽게 깨닫게 될 것이다.

CREDIT

에디터

TAGS
Nature & Nostalgia

Nature & Nostalgia

Nature & Nostalgia

박물관의 서가에 묻혀 있던 오래된 식물 도감, 먼지 쌓인 책 속에서 잊힌 동물 도해들.
그저 과거의 기록으로 남아 있던 것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헨리크 딥달의 예술 세계.

더 딥달 코의 스튜디오에는 잊힌 그림들이 다시금 생동하는 풍경이 펼쳐진다.

1998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시작된 ‘더 딥달 코 The Dybdahl Co.’는 오래된 책과 박물관 아카이브에서 발견한 이미지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프린팅 공방이다. 창립자 헨리크 딥달 Henrik Dybdahl은 왕립 도서관 및 정보 과학을 전공하며 시각 유산의 가치를 연구했고, 이를 바탕으로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예술적 프린트를 제작하고 있다. 그의 손을 거친 바랜 도판들은 다시금 생기를 얻고, 잊혔던 이미지는 새로운 시선을 만나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과거의 아름다움을 오늘날의 감각으로 잇는 그의 작업 철학에 대해 알아봤다.

과거의 유산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이 흥미롭다. 오래된 이미지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첫눈에 강한 끌림을 느껴야 한다. 그것이 주제이든, 색감이든, 구성이든 상관없이 즉각적으로 시각적 매력을 느끼고
작업을 계속하고 싶게 만드는 이미지여야 한다.
역사적 서적을 탐색하면서 특별히 인상 깊었던 이미지가 있는가? 오래전에 야자수 그림이 가득 담긴 책을 우연히 발견한 적이 있다. 처음 접한 수준 높은 식물학 서적이었고, 더 깊이 탐구하고 싶다는 열정을 불러일으켰다. 그때 경험이 계기가 되어 지금까지 50여 종의 아트 프린트를 출시하게 되었고, 여전히 그 책은 꾸준한 영감을 주고 있다.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아트 프린트를 제작하기 위해 독일산 무광 아트지와 일본산 잉크를 사용한다고 들었다. 오랜 세월이 지나도 작품의 가치가 변하지 않도록 고품질 소재에 인쇄한다. 자연스러운 질감을 가진 종이를 사용해 이미지의 깊이를 살리고, 색상의 선명함이 오래 유지되도록 아카이벌(기록 보존용) 잉크를 선택한다.

박물관 아카이브에서 발견한 고서적의 해양 생물 도판이 새로운 형태로 재탄생하는 순간.

오래된 서적에서 또 다른 예술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헨리크 딥달의 모습.

헨리크 딥달의 아름다운 작품들은 마이알레에서 만나볼 수 있다.

그렇게 엄선된 재료가 최종적으로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원본 이미지의 생생한 색감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책이 처음 제작되었을 때의 색상이 지금도 똑같이 빛나도록 디지털로 이미지를 보정하고, 세밀한 색조 조정을 거쳐 본래 아름다움을 재현한다. 또한, 고급 인쇄 공정을 통해 최종 작품에 생동감을 더욱 불어넣는다.
코펜하겐 왕립 도서관 및 정보 과학 학교에서의 학업이 오늘날의 디자인 철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5년 동안 공부하면서 점점 더 고전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다. 우리가 공유하는 시각적 역사와 이를 보존하는 기관들을 연구하면서, 과거의 작품이 단순히 흥미로운 것을 넘어 새롭게 해석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자료 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배우면서 세밀한 연구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이 과정 덕분에 숨겨진 명작을 발굴할 수 있었고, 작업에도 더욱 풍부한 이야기를 담을 수 있었다.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때 어떤 감정이나 생각을 경험하기 바라는가? 경이로움과 향수를 동시에 느끼기 바란다. 작품은 익숙함과 신비로움 사이에 존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감상자들이 세밀한 요소들을 탐색하며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궁극적으로, 작품이 개인적인 깊은 성찰을 불러일으키고, 시대를 초월하는 아름다움을 전달하기 바란다. 또한, 풍부한 자연 이미지를 통해 사람들이 순간적으로라도 자연과 다시 연결되는 경험을 하기 바라며, 이 경험이 더 깊고 지속적인 자연과의 관계로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예술가로서 바라본 한국의 모습은 어땠는가? 비록 짧은 방문이었지만 절대 잊을 수 없는 경험이었다. 자연, 전통, 그리고 현대성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고대 사원이 네온사인이 빛나는 마천루와 공존하는 도시 경관은 마치 여러 개의 층위로 구성된 풍부한 시각적 서사를 제공하는 듯했다. 또한, 야외 조각 작품이 눈에 많이 띄었고, 자연이 실내외 공간에 유기적으로 스며드는 점이 무척 흥미로웠다. 한국은 강한 추진력과 끊임없는 창의적 에너지를 지닌, 매우 역동적이고 영감을 주는 곳이었다.
덴마크 디자인이 사람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식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오늘날 소비자들은 자신의 생활 공간을 좀 더 신중하게 조성하고 있다. 단순히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디자인을 넘어, 평온함과 편안함, 그리고 개인적인 연결성을 제공하는 디자인을 찾고 있다. 고품질의 내구성이 강한 소재,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미학, 그리고 스토리를 담은 작품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덴마크 브랜드는 이러한 가치를 오래전부터 실천해왔으며, 최근에는 지속 가능성, 장인정신, 인간 중심 디자인에 대한 더욱 강한 헌신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역시 고객들이 감성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더욱 선호한다는 점을 느낀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다. 의미 있는 디자인을 창조하고, 그것이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웰빙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앞으로 새롭게 도전해보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는가?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실험을 시도하고 싶다. 특히, 평면을 넘어 입체적인 작품을 제작하는 데 관심이 많다. 조각이나 설치미술 시리즈를 구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시각적 스타일을 물리적 공간으로 확장해보고자 한다. 또한, 오래된 아카이브 이미지와 현대 광고 소재를 결합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도 구상하고 있다. 전통적인 학문적 접근과 현대적인 비즈니스 감각을 융합해, 색다른 방식으로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펼쳐보고 싶다.

CREDIT

에디터

TAGS
The Art of Nature

The Art of Nature

The Art of Nature

보르도의 포도밭 속,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완벽한 휴식처. 레 수스 드 꼬달리는
와인의 본고장에서 경험하는 가장 순수한 웰빙과 테라피를 선사한다.

목가적인 풍경이 펼쳐지는 레 수스 드 꼬달리의 외관.

직접 관리하는 포도밭에서는 투어를 통해 농장에서 생성된 1, 2급 와인을 시음할 수 있다. © L’atelier de style

프랑스 클린 뷰티 브랜드 꼬달리 Caudalie의 핵심 성분인 포도는 보르도 지역의 포도밭 샤토 스미스 오 라피트 Château Smith Haut Lafitte에서 재배된다. 브랜드의 5성급 호텔인 레 수스 드 꼬달리 Les Sources de Caudalie 주소 또한 이곳에 위치한다. 숲과 포도밭 사이, 자연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된 이 공간에서 즐기는 웰빙 라이프는 보르도 지역의 독특한 삶의 방식에 흠뻑 빠져들 수 있도록 유일무이한 라이프스타일 테라피를 선사해준다. 레 수스 드 꼬달리에서만 경험하는 트리트먼트 중 하나는 비노테라피Vinotherapy 트리트먼트다. 이는 포도와 포도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활성 성분을 고급 스킨케어 테라피를 통해 전달하는 페이셜 및 보디 트리트먼트로서, 브랜드 내에서는 ‘리추얼 Ritual’이라 일컫는다. 꼬달리의 창립자 마틸드 토마스 Mathilde Thomas의 철저한 감독 아래 까다로운 과정을 통해 개발된 이 리추얼은 크게 ‘샘의 리추얼’, ‘일요일 리추얼’, ‘바인 리추얼’로 분류된다. 오일 마사지, 페이셜 트리트먼트, 비노테라피스트의 보디 트리트먼트 테라피 등 각각 과정의 시간이 선호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나뉘어 있다. 특히 바인 리추얼은 포도씨, 꿀과 흑설탕이 들어간 으깬 카버네 스크럽, 진흙 보디 랩, 포도씨 오일로 하는 페이셜 마사지 등을 제공하는 특급 트리트먼트다. 보르도 지역의 천연 온천수로 채워진 목욕탕과 실내 자쿠지, 실내외 수영장과 튀르키예의 전통 사우나 하맘Hammam 또한 스파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시설 중 하나다. 레 수스 드 꼬달리는 리추얼 외에도 꼬달리 제품의 항산화, 안티에이징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버블 프로그램 또한 진행한다.

따뜻한 수온을 유지하는 실내 수영장. © MPMorel

천연 소재로 만들어진 하만. © Henriette Soleène

스파 시설 중 하나인 실내 자쿠지. © Tuca

각 룸은 넓은 부지에 위치한 별장처럼 개별적인 건물로 나뉘어 있다. 대서양의 산뜻한 바람을 느낄 수 있는 각 공간에는 희귀한 빈티지 가구와 엄선한 예술 작품이 큐레이팅되어 있으며, 창밖으로는 드넓게 펼쳐진 포도밭의 경치 또한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리노베이션을 거친 시그니처 스위트룸 ‘44헥타르 44Hectares’와 ‘르 방 다르갱 Le Banc d’Arguin’은 각각 소나무 숲 한가운데의 헛간과 프랑스의 수상 오두막인 카반 샹케 Cabanes Tchanquées가 떠오르게 한다. 모두 지역의 자연과 전통에서 영감을 받은 ‘삶의 예술’을 소중히 여기는 레 수스 드 꼬달리의 철학을 반영한 것이다.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 라 그랑 비뉴 La Grand’ Vigne에서 경험하는 미식도 빼놓을 수 없다. 유기농 정원에서 재배한 신선한 작물과 현지 농부가 제공하는 최상의 식재료가 어우러져, 이 지역이 가진 테루아 Terroir, 즉 땅의 특성과 환경이 담긴 맛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백조가 호수 위를 유영하고, 자전거를 타고 한적한 숲과 드넓은 포도밭의 뷰를 만끽할 수 있는 곳. 그리고 이 모든 자연에서의 경험을 극대화해 줄 특별한 스파 테라피가 있는 곳. 클린뷰티를 지향하는 꼬달리의 철학처럼, 레 수스 드 꼬달리는 자연 속에서 정화의 시간을 제공해 완벽한 평온을 찾는 여정을 선사해줄 것이다.

프레스티지 스위트룸의 디자인은 대서양의 고급스러운 오두막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 Gillaume de Laubie

호텔 내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 라 그랑 비뉴의 랑구스틴 요리. © MPMorel

레스토랑 메뉴인 비둘기 요리 또한 일품이다. © MPMorel

수세기 된 공원의 중심부에 자리 잡은 별관, 샤또 르 틸의 내부. © Gillaume de Laubie

푸른 자연과 어우러진 호텔의 풍경. © Gillaume de Laubie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