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케이션을 위한 집밥 요리

스테이케이션을 위한 집밥 요리

스테이케이션을 위한 집밥 요리

집에서 보내는 휴가인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진정한 스테이케이션은 집에서 옴싹달싹 못하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공원을 산책 하거나 수영장을 가는 것, 박물관이나 전시,
영화관람을 하는 등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이다.
스테이케이션과 어울리는 요리와 레시피를 소개한다.

오징어 버터볶음

오징어 3마리, 버터 1큰술, 식용유 1큰술, 다진 마늘•간장 1큰술씩, 레몬즙•소금•후춧가루•다진 파슬리 조금씩, 감자 퓨레(감자 3개, 생크림 1/3컵, 소금•후춧가루•버터 조금씩)

테이블 가운데에 한창 단맛이 오른 천도복숭아와 자두를 쌇아 센터피스로 활용했다.

시원한 느낌을 주는 글라스와 화이트 세라믹 소재의 그릇. 

로제 와인 

아보카도 닭 안심무침  

아보카도 1개, 닭 안심 8장, 적양파 1개, 올리브 오일 3큰술, 화이트 와인 비네거 4큰술, 마요네즈 2큰술, 시 머스터드 2큰술, 레몬즙•소금•후춧가루•파슬리 조금씩

1 닭 안심은 팔팔 끓는 물에 넣어 절반 정도만 익힌 다음 얼음물에 잠시 담갔다가 물기를 빼고 0.5cm 두께로 썬다.
2 적양파는 얇게 슬라이스해서 찬물에 잠시 담갔다가 물기를 뺀다.
3 아보카도는 중간에 칼집을 넣고 비틀어 껍질을 벗긴 다음 1cm 크기로 깍둑썬다.
4 물에 1,2,3과 나머지 양념 재료를 모두 넣고 숟가락으로 가볍게 섞어 버무려서 접시에 담고 올리브 오일을 가볍게 뿌려 낸다.

그린 갈릭 샐러드

베이비 야채•고수•어린순 적당량씩, 마늘 8쪽, 베이컨 5장, 식빵 2장, 버터 1/2큰술, 다진 파슬리 약간, 식용유•파르메산 치즈가루 적당량씩, 올리브 오일 2~3큰술, 화이트 와인 비네거 1큰술, 피시 소스 1큰술, 후춧가루 조금

1 마늘은 얇게 슬라이스해서 작은 팬에 식용유를 자작하게 두르고, 약한 불에서 나무젓가락으로 흩어가면서 노릇하게 튀긴다.
2 식빵은 1cm 길이의 주사위 모양으로 썰어 버터를 녹인 팬에 넣어 다진 파슬리를 뿌리면서 노릇하게 구워 크루통을 만든다.
3 모든 야채는 얼음물에 담가 차게 한다.
4 베이컨은 한입 크기로 썰어 달군 팬에 바싹 구워 기름기를 뺀다.
5 볼에 물기를 완전히 뺀 3의 야채와 올리브 오일, 와인 비네거, 피시 소스, 후춧가루를 넣어 가볍게 뒤적거린 다음 접시에 담는다.
6 5의 위에 베이컨, 1의 갈릭 플레이크, 크루통을 고루 담고 파르메산 치즈가루를 듬뿍 뿌린다.

돼지고기 고추장찌개

돼지 목살 400g, 애호박 2/3개, 양파 1/2개, 쌀뜨물 3컵, 대파 1대, 홍고추•청양고추 1개씩, 고추장 3큰술, 다진마늘•된장•고춧가루 1큰술씩, 다진 생강 1작은술, 청주2큰술, 소금•후춧가루 조금씩

1 돼지고기는 도톰하게 썰고, 애호박은 0.5cm 두께로 반달썰기한다.
2 양파는 굵게 채썰고 대파와 고추는 어슷 썬다.
3 냄비에 돼지고기, 청주, 다진 생강, 후춧가루를 넣고 가볍게 볶다가 쌀뜨물을 부어 끓인다.
4 3의 거품을 걷어내고 고추장, 된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을 넣어 계속해서 끓인다.
5 4에 애호박, 양파를 넣고 익히면서 소금으로 간을 조절하고 야채가 익으면 대파, 고추를 넣어 마무리한다.

 삶은 완두콩

껍질 완두콩 300g, 굵은 소금 1/2큰술, 가는소금 약간
1 껍질 완두콩에 굵은 소금을 넣고 문질러 섞은 뒤 넉넉한양의 물을 끓여 그대로 넣는다.
2 그 상태로 3분 정도 삶아서 넓은 체에밭친 다음 가는소금을 뿌려 뒤섞어 식힌다.

연근칩과 우엉칩

연근 2개, 우엉 2대, 카놀라오일 적당량, 가는소금 약간

1 연근은 껍질을 벗겨 가능한 한 얇게 슬라이스하고, 우엉도 껍질을 벗겨 10cm 길이로 썰고 감자 필러로 얇게 슬라이스한다.
2 1을 키친타월로 눌러 물기를 제거한다.
3 카놀라 오일을 넉넉히 부어 170° C로 달군 다음 2를 적당량씩 넣어서 나무젓가락으로 흩어가면서 노릇하게 튀긴다.
4 3을 키친타월에 올려 기름을 뺀 뒤 뜨거울 때 소금을 뿌려 간한다.

당근 건포도무침

당근•사과 1/2개씩, 건포도 3큰술, 청포도 1/2송이, 올리브 오일 2~3큰술, 화이트 와인 비네거 3큰술, 설탕 1/2작은술, 소금•후춧가루•깨소금 조금씩

1 당근은 깨끗이 씻어 곱게 채썰고, 사과는 껍질째 씻어서 반달 모양으로 얇게 슬라이스한다.
2 청포도는 씻어서 알을 떼고 반으로 썰어 시를 빼고, 건포도는 화이트 와인이나 설탕물에 잠시 불렸다가 물기를 짠다.
3 볼에 1,2와 나머지 재료를 모두 넣고 가볍게 무친다.

꽈리고추튀김

꽈리고추 30개, 식용유 • 올리브 오일 적당량씩,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1 꽈리고추는 씻어서 물기를 잘 닦은 뒤 이쑤시개로 군데군데 구멍을 내거나 작은 칼집을 낸다. 이렇게 해야 꽈리고추를 튀길 때 기름이 튀지 않는다.
2 식용유와 올리브 오일을 반반씩 섞은 기름을 170° C로 달군 뒤 1의 꽈리고추를 넣고 재빨리 튀긴다.
3 2를 키친타월에 올려 기름기를 제거한 다음 소금, 후춧가루를 뿌려 간한다.

CREDIT

에디터

TAGS
입맛 돌아오는 새콤달콤 에피타이저

입맛 돌아오는 새콤달콤 에피타이저

입맛 돌아오는 새콤달콤 에피타이저

신선한 재료와 새콤달콤한 소스가 어우러진 애피타이저.
식전에 한입 베어 물면 잃었던 입맛이 돌아오는 묘약과도 같은 에피타이저 레시피를 소개한다.

콩으로 만든 파프리카 살사(20분)

모둠콩(작두콩, 울타리콩, 완두콩, 강낭콩 등) 200g, 양파 1/4개, 빨강 • 노랑 파프리카1/4개씩, 이탈리아 파슬리 적당량, 살사 소스(올리브 오일 3큰술, 화이트 와인 비네거 2큰술, 설탕 • 데킬라(기호에 따라) 1큰술,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COOKING TIP
콩을 삶을 때 익히는 속도를 비슷하게 하려면 크기를 맞추는 것이 좋다. 또 살사 소스를 만들 때는 식초의 산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 용기는 피하고 유리 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금속은 식초의 산도를 낮춰 소스의 풍미를 떨어뜨린다.

1 모둠콩은 흐르는 물에 씻어 찬물을 넣어 살캉하게 삶는다.
2 양파와 파프리카는 콩과 같은 크기로 썬다.
3 이탈리아 파슬리는 다진다.
4 믹싱 볼에 분량의 살사 소스 재료를 모두 섞는다.
5 4에 모둠콩과 양파, 파프리카를 넣고 섞어 오목한 접시에 담아낸다.
6 다진 이탈리아 파슬리를 뿌려 장식한다.

가리비 망고 토마토 부르스게타(30분)

관자살 4개, 가지 1/4개, 베이비 야채 적당량, 바게트 4조각, 소금 • 후룻가루 조금씩, 망고 토마토 소스(파인애플 • 망고 20g씩, 방울토마토 2개, 적양파 10g, 씨겨자 1/4작은술, 올리브 오일 • 이탈리아 파슬리 다진 것 1/2작은술, 레몬즙 1/2~1작은술,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COOKING TIP
관자를 손질할 때는 옆의 흰 실을 제거하는데 힘줄이라서 질긴 부위이기 때문이다. 또 관자 대신 새우를 사용해도 좋다. 가지는 찬 성질로 열을 식히거나 다이어트를 할 때 좋다.

1 가리비는 손질하여 물기를 빼고 소금, 후춧가루를 뿌려 밑간을 한 다음 팬을 달구어 올리브 오일을 두르고 앞뒤로 굽는다.
2 바게트는 어슷 썰어 달군 팬에 노릇하게 굽는다.
3 가지는 슬라이스하여 소금, 후춧가루로 간을 하고 팬을 달구어 올리브 오일을 두르고 굽는다.
4 파인애플, 망고, 방울토마토는 0.5 x 0.5cm의 주사위 모양으로 자르고 나머지 소스 재료와 함께 섞는다.
5 바게트 위에 구운 가지, 관자 순으로 올리고 소스를 뿌린 후 베이비 야채를 올려 완성한다.

우메보시 드레싱 문어 카프레제(10분)

자숙 문어 100g, 매실청 2큰술, 크레송 적당량, 우메보시 드레싱(우메보시 과육 • 화이트 와인 비네거 1큰술씩, 레몬 껍질(기호에 따라) 1/6개분, 레드 페퍼 플레이크(기호에 따라) 1/2작은술,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COOKING TIP
감자는 매실청에 재우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다만 사용 전에 찬물에 담가 전분기를 빼야 배탈이 나지 않는다. 레드페퍼 플레이크는 매운맛을 내는데, 기호에 따라 사용하고 없을 경우에는 청양고추를 다져 사용해도 된다.

1 우메보시는 과육만 발라내 곱게 다지고 볼에 올리브 오일을 제외한 모든 재료를 넣어 섞는다.
2 1에 올리브 오일을 조금씩 넣어가며 여러 번 섞어 소스를 완성한다. 우메보시 소스에 재운다.
3 자숙 문어는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빼고 우메보시 소스에 재운다.
4 감자는 껍질을 벗겨 얇게 슬라이스하고 물에 여러 번 헹군 다음 5분 가량 매실청에 재운다.
5 크레송은 찬물에 담갔다가 물기를 뺀다.
6 접시에 감자, 문어 순으로 켜켜이 올리고 우메보시 소스를 끼얹는다. 크레송을 올려 장식한다.

CREDIT

에디터

TAGS
우아하고 독창적인 핀란드 디자인의 정수, 알바 알토

우아하고 독창적인 핀란드 디자인의 정수, 알바 알토

우아하고 독창적인 핀란드 디자인의 정수, 알바 알토

우아하고 독창적인 핀란드 디자인의 정수, 알바 알토의 베이스 컬렉션을 이야기해볼까.

알바 알토 Alvar Aalto (1898~1976년)

핀란드 쿠오르타네(Kuortane) 출신의 건축가로 가구 디자이너이자 공예가인 알바 알토는 가장 스칸디나비아적인 디자이너이자 가장 세계적인 디자이너이다. 1921년 헬싱키 기술대학 건축과를 졸업하고 이후 개인 건축사무소를 설립해 운영하며 건축가인 아이노 마르시오(Aino Marsio)와 결혼, 1935년 아내를 비롯한 동료들과 함께 가구회사 아르텍(Artek)을 설립해 본격적인 가구 디자인을 시작한다. 다양한 목재 성형 기법 실험을 거치면서 특유의 유기적 가구를 탄생시킨 그의 대표작으로는 파이미오 의자를 비롯한 아르텍의 다양한 암체어 컬렉션이 있으며 세계적인 건축가로 활동한 그의 대표 건축 작품으로는 ‘파이미오(1928~1933년)’, ‘핀란드 파빌리온(1967년)’, 주택 빌라 마이레아(1938~39년)’, 헬싱키의 ‘핀란디아 홀(1962/1967~75년)’ 등이 있다. 기계화와 함께 획일화돼 가는 모더니즘의 국제주의 양식을 뛰어넘고 자신만의 유기적인 모더니즘 세계를 구축한 디자이너 알바 알토는 핀란드를 비롯한 북유럽뿐 아니라 전 세계의 모던 디자인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거론해야 할 전통적인 그리고 가장 미래지향적인 디자이너다.

“아름다움은 기능과 형태의 조화가 만든다”는 알바 알토의 정의를 두고 평가하자면, 그를 대표하는 아이콘이 돼버린 이 유리병 컬렉션은 완벽한 아름다움 자체다! 이 알바 알토 베이스 컬렉션은 세계적인 건축가였던 그가 대중에게 보다 가깝게 다가갈 수 있던 시작이 된 작품이자 알바 알토라는 흥미로운 유리 공예가의 탄생을 알리는 청신호였다. 1936년 파리 세계 박람회에 출품하기 위해 열렸던 핀란드 국제 유리 예술 공모전에 최종 선정된 이 작품의 초안은 ‘에스키모 여인의 가죽 바지(Eskimo-Woman’s Leather Trousers)’ 라는 다소 장난스러운 제목의 자유로운 스케치였다. 종이와 판지 위에 연필과 잉크, 크레용으로 표현한 알바 알토의 유리병 컬렉션은 균형 잡힌 형태의 전통적인 유리 공예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끌었다. 실험적인 방식의 제작 방법과 신선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은 출시와 동시에 핀란드는 물론 유럽 대륙 전체를 무대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오늘날까지도 핀란드를 대표하는 디자인 아이콘이자 알바 알토의 대표작이다. 물론 뉴욕 모마(MoMA)의 영구 소장된 디자인 컬렉션이기도 하고.

핀란드인과 그들의 생활 양식, 호수, 계절을 담았다고 평가되는 이 병의 디자인은 실제로도 지도 제작자였던 그의 부친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핀란드의 호수와 해안선에서 모티프를 따왔다는 이야기가 알려져 있다. 게다가 그의 이름이자 제품의 이름이기도 한 ‘알토’는 핀란드어로 파도를 뜻하는데, 이 화병이 갖는 유려한 곡선과 투명한 컬러는 제품의 자유로운 형태를 더욱더 부각시키는 요소가 됐다. 컬렉션의 메인 아이템은 꽃병이지만, 이후 초 받침, 볼, 서빙 플레이트 등 다양한 크기와 소재로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며 그중 유리 컬렉션은 숙련된 장인의 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전통 3중의 마우스 블로잉 기법으로 여전히 제작하고 있어 덕분에 그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한결같이 유지할 수 있다. 이 작품이 무엇보다 의미가 있는 이유는 바로 “모든 디자인 대상은 매일 일상의 한 부분을 모티프로 해야 한다”라는 알바 알토의 정의에 완벽히 부합하는 작품이란 점이다. 이 말은 삶의 모든 대상으로부터 디자인 영감을 얻고 그 디자인이 일상에 또 다른 디자인 모티프가 될 수 있어야 한다는 알바 알토식 디자인 사고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자신의 디자인이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발상을 불러일으키는 도구가 되길 바랐던 알바 알토는 공산품 하나로도 일상생활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탁월함을 인정받은 디자이너였다. 꽃병이 되기도 하고 어항이 되기도 하고 오브제가 되기도 하며, 자유로운 배치만으로도 숲을 연상하게 하는 그의 유리병 컬렉션처럼 말이다. 핀란드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따온 곡선, 많은 연못과 울창한 숲에서 얻은 모티프는 그의 작품 곳곳에서 담겨 있다. 인간과 자연, 삶과 환경을 연결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던 그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핀란드, 나아가 스칸디나비아의 정신을 대표하는 디자인 이상의 예술가적 마인드로 기억되고 있다. 알바 알토의 유리 컬렉션은 1백20여 년 전 유리 공방으로 시작한 핀란드의 대표 브랜드 이딸라(Iittala 1881년 설립)를 통해 꾸준히 소개되고 있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