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트리 투어] 프랑스 셰프가 집밥이 그리울 땐?

[팬트리 투어] 프랑스 셰프가 집밥이 그리울 땐?

[팬트리 투어] 프랑스 셰프가 집밥이 그리울 땐?

그의 요리는 어디서 시작될까?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페메종
미카엘 로빈 총괄 셰프의 팬트리 속 이야기.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페메종

서울에서 정통 프렌치를 맛본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의 ‘페메종 Fait Maison’은 이름 그대로 집에서 만든 요리를 모토로 내세우는 시크 비스트로다. 모던한 플레이팅 안에 늘 자리하는 건 본질에 충실한 프랑스 요리의 풍미. 이곳을 이끄는 미카엘 로빈 Mikael Robin 총괄 셰프는 브르타뉴에서 자라며 익힌 바다의 기억과 프렌치 문화의 깊이를 매일같이 접시에 담아낸다.

“프랑스 요리는 소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죠.” 아시아 요리가 시판 소스를 응용하는 경우가 많다면 프랑스는 대부분 처음부터 직접 만든다. 다만 예외가 있다면 프렌치 머스터드. “좋은 마요네즈를 만들려면 훌륭한 머스터드가 꼭 필요합니다. 저는 매일 머스터드를 쓰고 있어요. 랍스터, 비네그레트, 마요네즈까지 머스터드는 제 부엌에서 빠질 수 없는 친구입니다.”

머스터드와 다양한 식초, 올리브 오일, 후추, 게랑드 소금. 단출하지만 이 팬트리 속 재료들이 페메종의 요리를 지탱하는 기본이 된다.

로빈 셰프가 또 하나의 ‘비밀 무기’로 꼽는 것은 식초다. 샴페인 비니거, 레드 와인 비니거, 사과 식초, 현미 식초까지… 요리의 균형을 완성하는 건 언제나 이 섬세한 산미다. “단맛, 짠맛, 쓴맛이 과해지지 않도록 식초는 맛을 잡아주는 균형추 역할을 합니다. 아주 소량으로도 소스의 풍미를 확 살려주죠.”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페메종

셰프의 정체성은 고향 브르타뉴에서 출발한다. “저는 생 나제르에서 태어나 게랑드 옆 라불에서 자랐습니다. 저에게 게랑드 소금은 세계 최고의 소금이에요. 없으면 불안할 정도죠.” 그의 부엌에는 늘 ‘게랑드 꽃소금(Fleur de Sel de Guerande)’이 놓여 있다. 미네랄이 풍부한 이 소금은 자극적이지 않고 부드럽게 녹아내리며 요리의 마지막을 책임진다. 여기에 캄보디아산 후추, 제주산 감귤, 해조류를 더해 직접 만든 스파이스 믹스는 페메종만의 독창적 시그니처. “이건 저만의 비밀 무기죠. 테린 위에 살짝 뿌려 풍미를 완성합니다.”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페메종

페메종의 대표 메뉴 중 하나는 ‘오리 푸아그라 파테 앙 크루트(Pâté en croûte de canard et Foie gras)’. 프랑스를 상징하는 이 요리는 게리동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테이블 앞에서 직접 커팅해 낸다. “파테는 중세 시대에 고기를 파이 크러스트에 싸서 보관하던 방식에서 유래했어요. 요즘은 전 세계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에서 다시 주목받고 있죠.” 그의 디너 코스에서 랍스터 요리 또한 빠질 수 없다. 겨자와 소금, 후추, 랍스터 오일로 완성한 마요네즈와 함께 선보이는 랍스터 디시는 그에게 브르타뉴 고향의 맛을 떠올리게 하는 요리이자, 손님들에게 가장 자랑스럽게 내놓는 메뉴다.

“맛은 타협할 수 없습니다. 식감이나 비주얼은 셰프의 기술로 얼마든지 조율할 수 있죠. 하지만 본연의 맛만은 바꿀 수 없습니다.” 미카엘 로빈 셰프가 강조하는 건 ‘재료를 과하게 변형하지 않는다’는 원칙이다. 계절이 바뀔 때마다 달라지는 원재료의 풍미, 그 고유한 맛에 집중하는 것이야말로 페메종이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다.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페메종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페메종

재료 본연의 풍미를 존중하는
셰프의 팬트리를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CREDIT

에디터

TAGS
이수미 작가 개인전, <비어있는 온전함>

이수미 작가 개인전,

이수미 작가 개인전,

온전함을 찾아가는 반쪽들의 여정을 두손갤러리에서 확인해 보세요.

©두손갤러리

이수미 작가의 개인전 《비어있는 온전함 – Hollow and Whole》이 두손갤러리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주얼리와 조각을 넘나들며 작업을 이어온 ‘이수미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깨진 도자기, 금속, 고재, 미러 등 다양한 매체를 결합해 ‘불완전함 속의 아름다움’을 탐구하는데요.

©두손갤러리

전시 중심에 있는 ‘Half’ 시리즈는 미러에 비친 형상과 실재의 오브제가 반씩 만나 하나의 형체를 완성하는 구조입니다. 거울 속 반쪽은 드러나지 않은 자아를 상징하며, 보이지 않는 것이 점점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동시대의 상황을 반영했죠. 전시실의 조명이 꺼지면, 금빛 혹은 은빛 스탠드에 불이 켜지며 부드러운 빛이 퍼져 나옵니다. 환상적인 순간을 선사하며, 관람객들은 깊은 몰입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두손갤러리

©두손갤러리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대부분의 작품들은 파손된 물건에서 출발해 금속으로 보완하거나 새, 벌레, 꽃 등 작은 생명체를 더해 새롭게 태어납니다. 전시장 한 켠에는 ‘고재古材’를 이용해 만든 의자, 은으로 보완된 도자기 뚜껑, 금속 레이스로 틈을 채운 나무들이 있습니다. 오래되고 기능을 잃어버린 것들이 작가의 손길을 통해 다시 살아난 것이죠.

<비어있는 온전함>이라는 전시 제목처럼, 작가는 균열과 결핍을 감추지 않고, 드러내고, 치유하며 조형적 완성을 향해 나아갑니다. 전시는 10월21일까지 두손갤러리에서 진행되며, 작가와의 인터뷰를 메종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REDIT

에디터

TAGS
서울부터 파리까지, 현실판 ‘셰프의 테이블’ 투어

서울부터 파리까지, 현실판 셰프의 테이블 투어

서울부터 파리까지, 현실판 셰프의 테이블 투어

파리 디너부터 서울 디저트까지,
현실에서 만나는 ‘셰프의 테이블’.

 

여행이 맛있어졌다. 에어비앤비가 넷플릭스 에미상 수상작 ‘셰프의 테이블’과 협업해 전 세계에서 70여 개가 넘는 미식 체험을 선보인다. 단순히 음식을 맛보는 것이 아닌 셰프와 함께 그 철학과 과정을 온전히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스틴 리 셰프와의 디저트 마스터클래스부터 다나카 아츠시 셰프와 함께 하는 다섯 코스 디너 식사까지, 각 도시의 미식 문화가 기다린다.

셰프 저스틴 리의 디저트 맛보기 in 서울

디저트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저스틴 리 셰프와의 클래스. 샴페인(혹은 무알콜 스파클링 티)으로 시작해 그의 시그니처 기법을 배우고 주방 비하인드 투어로 이어진다. 마지막은 직접 플레이팅을 시연하며 셰프의 독창적인 세계를 몸소 경험하는 시간.

예약 http://bit.ly/46DUNGC

제이미 올리버와 파스타 만들기 in 런던

제이미 올리버 셰프가 직접 진행하는 파스타 클래스. 손으로 빚는 파스타와 신선한 페스토 소스를 배우며 와인과 함께 파스타의 역사와 이야기를 곁들인다. 이후 TV 스튜디오 투어와 세트에서의 인증샷으로 하루를 마무리한다.

예약 http://bit.ly/46oWLJQ

크리스 비앙코의 피자 투어 in 로스앤젤레스

피제리아 비앙코의 비하인드 투어로 시작하는 체험. 레스토랑의 전통과 이야기를 담아낸 네 가지 코스 메뉴를 맛보고 피자의 전설이라 불리는 크리스 비앙코 셰프의 철학을 가까이에서 듣는다.

예약 http://bit.ly/4nydVeN

엘레나 레이가다스의 베이킹 클래스 in 멕시코시티

멕시코 제빵계의 아이콘, 엘레나 레이가다스 셰프와 함께하는 수업. 제과실에서 세 가지 시그니처 요리인 핀올레 폴보로네스와 옥수수 머핀, 초콜릿 무스를 직접 만들어본다. 체험을 마무리하고 돌아가는 게스트들에게는 작은 기념품이 선물로 제공된다.

예약 http://bit.ly/4gs7NlS

다나카 아츠시와 함께하는 저녁 식사 in 파리

프랑스와 일본의 미학을 잇는 다나카 아츠시 셰프의 레스토랑 A.T에서 열리는 다섯 코스 디너. 장인의 도자기와 섬세한 플레이팅이 어우러지는 과정은 하나의 미술 퍼포먼스처럼 펼쳐진다. 디너 후에는 테이블 앞에서 직접 진행되는 라이브 시연이 이어진다.

예약 http://bit.ly/4pss2nM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