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에 피어난 작은 도시

골목에 피어난 작은 도시

골목에 피어난 작은 도시

도심 속 힐링의 가치를 담아 탄생한 공간, 페즈. 한남동 골목에 자리한 곳으로서
자연, 문화, 공동체가 공존하는 ‘최소 단위의 도시’를 지향하며 지역 커뮤니티를 형성해가고 있다.

지난해 말, 한남동의 한 구석진 골목에 4층 규모의 새로운 커뮤니티 몰이 문을 열었다. 벽돌과 나무라는 건축적 소재의 특징이 어우러진 이곳에는 간판도, 별도의 안내문도 없다. 하지만 취향이 있는 이들의 아지트가 대개 그렇듯 오직 입소문만으로, 어느 순간부터 주민 중심의 커뮤니티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일반적인 상업 공간과는 다른, ‘커뮤니티 몰’이라는 정체성을 지향하는 페즈 FezH의 임종현 대표를 만나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었다.

페즈라는 공간은 어떻게 구상하게 되었나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0년, 불안과 고립감을 벗어날 방법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기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때는 요가나 운동을 하고, 명상 책을 읽고 제주도의 오름,
해변, 숲 등 자연을 매일 찾아다니며 마음을 다스렸죠. 그 뒤 코로나19가 어느정도 수그러들자, ‘나만의 공간’이 더 소중해졌어요. 자연이 아닌 도심, 특히 서울에서도 그런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죠. 발리에서 경험한 보헤미안 분위기, 자유스러움, 혼자서도 전혀 남을 의식하지 않고 오롯이 자신을 찾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갈증이 점점 커졌고, 이것이 페즈에 대해 생각하게 된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갤러리형 매장, 음악&도서 라이브러리, 카페, 바, 리트릿 스페이스 등 여러 공간이 한 건물에 있는 만큼 동선이나 구조 등 고려할 요소가 많았을 것 같습니다. 페즈는 탐험과 발견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미로처럼 이어진 구조, 외부와 내부의 경계가 모호한 계단,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갤러리 공간 등. 지하 광장부터 최상단의 리트릿 스페이스까지 마치 퍼즐을 맞추듯 소용돌이 같은 동선을 따라야 합니다. 그 덕분에 계단을 오르는 동안에도 지루하지 않아요. 건물내부의 수직·수평적 동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공간의 접점마다 또 다른 곳을 마주하게 됩니다. 유이화 건축가는 독특한 동선을 통해 방문객이 새로운 경험을 쌓아가는 여정을 보내기 바랐어요. 호기심에 이끌려 광장을 찾은 사람들은 마치 오래된 도시의 골목을 탐험하듯 각 공간을 경험하면서 정신적 고요함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페즈의 광장.

나무, 유리, 금속의 소재가 어우러졌다.

미로같이 설계된 계단.

페즈의 바 블루캣.

블루캣에서 가끔 디제잉을 한다는 임종현 대표.

특히 벽돌과 나무의 소재가 곳곳에 어우러진 것이 인상적입니다. 공간을 설계한 유이화 건축가가 중요하게 고려한 사항 중 하나는 한남동 골목길에서 느껴지는 친숙함과 편안함을 공간에 담아내는 것이었습니다. 벽돌은 시간이 만든 흔적을 상징하고, 따뜻한 색감과 질감을 통해 페즈를 더욱 차분하고 안정감 있는 분위기로 만들어주어요. 또 오래된 골목길과 자연스럽게 연결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벽돌 자체가 가진 흙의 질감을 그대로 보여주고 싶어 국내 벽돌 공장에서 몇 번의 실험 끝에 지금의 질감과 컬러감을 이끌어냈어요. 또 다른 주 재료인 나무는 부드럽고 따뜻한 표면감과 자연스러운 질감을 더합니다. 표면은 탄화시켜서 나무 자체의 깊이감을 주는 동시에 나무색이 변하는 시간은 조금 천천히 진행하고자 했습니다. 골목을 탐험하며 발견하는 재료의 다양성과 따뜻함은 페즈가 한남동의 맥락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돕는 요소가 될 것입니다.
그 밖에 공간을 위해 특별히 신경 쓴 디테일은 무엇인가요? 광장 계단에 앉아 있으면 시냇물 소리 등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공원 같은 공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건축가 출신의 한원석 작가에게 ‘사운드 포레스트’ 작품을 의뢰했으며, 작품명은 ‘노르웨이의 숲 Norwegian Wood(This Bird has Flown)’ 입니다.

탁 트인 페즈의 내부.

요가 수업을 진행하고 차를 마실 수 있는 리트릿 공간.

페즈에 대한 모티브는 어디서 얻었는지 궁금합니다. 건축적 모티브와 스토리라인은 모로코의 페즈 올드시티 Fes El Bali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승효상 건축가에 의하면 도시 페즈는 열 채의 집이 하나의 단위로 묶여 공동의 빵집과 우물을 공유하는 ‘최소 단위의 도시’인데, 이는 다원적 민주주의의 표본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공간 페즈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커뮤니티의 필수 요소를 한 곳에 모은 최소 단위의 도시가 되고자 했죠. 광장, 갤러리형 매장, 음악&도서 라이브러리, 리트릿 공간, 주말 마켓 등 다양한 공동 시설이 모두 한 곳에 모여 작은 도시를 이룹니다. 페즈의 이름 역시 모로코의 도시 페즈에 힐링과 한남동의 알파벳 H를 합성해 만들었어요.
커뮤니티 몰이라는 공간을 기획하며 참고한 해외 사례가 있나요? 하나를 꼽자면 태국 방콕의 ‘더 커먼스’예요. 그들이 이렇게 말한 적이 있어요. “우리 의도는 먼저 커뮤니티를 구축한 다음, 쇼핑몰을 구축하는 것이다.” 공간 자체에 대한 말이기도 하지만, 그 말 안에는 어떤 콘텐츠를 담아야 할지 방향성까지 담겼다고 생각합니다. 공간을 가치 있게 만드는 건, 그 공간을 꾸준히 이용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커뮤니티 몰은 대형 쇼핑몰에 비해 규모는 작더라도 로컬 브랜드 영입과 다양한 행사 등을 통해 지역민만의 독자적인 문화를 만든다는 데에 의미가 있어요.
서울의 많은 지역 중 한남동 골목에 건물을 세우기로 결정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사람들은 대로변보다는 오히려 이야기가 있는 골목을 좋아하죠. 페즈가 있는 한남동에 대해 언급하자면, 굉장히 다양한 문화가 공존한다는 특성이 있어요. 이태원을 포함한 한남동 일대는 재벌, 외국인, 성소수자 등 섞이지 않을 것 같은 그룹이 오랜 시간 적당한 거리를 두고 유지해온 포용의 도시예요. 커뮤니티가 형성된다면 다양한 사람들이 찾아오는 재미있는 공간이 될 거라 생각했습니다.
오픈한 지 아직 얼마 안 되었지만, 기억나는 방문객의 피드백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개인적으로 오픈 행사 때 기억에 남는 일이 있어요. 처음 뵙는 중년 여성이 저에게 고맙다고 인사를 하시는 거예요. 무슨 일인지 여쭤보니 동네에
20여 년을 살았는데, 주민 위한 공간을 오픈하는 것은 처음 봤다고 하더라고요. 페즈가 가진 의미를 알아봐주신 것 같아 뭉클했습니다.
ADD 서울시 용산구 대사관로11길 41 INSTAGRAM @fezh.hannam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이현실

TAGS
Elevated Harmony

Elevated Harmony

Elevated Harmony

허드슨강의 탁 트인 전망을 배경으로,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담아낸 맨해튼 펜트하우스.
컬렉터블 디자인과 맞춤 가구가 조화를 이루며 가족과 손님을 위한 완벽한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허드슨강이 보이는 패밀리 룸. 소파와 벽면 스틸 책장은 줄리 힐만이 직접 제작한 것. 책장 앞 하프 체어는 요르겐 회벨스코브 Jørgen Høvelskov, 커피 테이블은 휴고 프란카 Hugo Franca.

인테리어 디자이너 줄리 힐만.

맨해튼의 스카이라인은 끊임없이 변화하지만, 그 속에서도 우아함과 실용성을 동시에 갖춘 공간은 단연 돋보인다. 어퍼 웨스트 사이드의 고급 주거 개발 지역인 워터라인 스퀘어 38층에 자리한 이 펜트하우스는 허드슨강의 탁 트인 전망을 배경으로 가족과 손님을 위한 완벽한 안식처로 거듭났다. 이 특별한 공간을 디자인한 인테리어 디자이너 줄리 힐만 Julie Hillman은 컬렉터블 디자인을 강조하며, 실용적이면서도 감각적인 라이프스타일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집의 주인은 에미상 수상 경력이 있는 저널리스트이자 앵커인 캠벨 브라운 Campbell Brown으로, 남편과 십대 두 아들이 함께 이곳에 거주한다. 힐만은 클라이언트의 신뢰를 바탕으로 기존 스타일에서 한발 나아간 새로운 시도를 제안했고, 브라운은 이에 적극적으로 응답하며 열린 마음으로 변화를 받아들였다. 첫눈에 반할 만큼 아름다운 채광이 인상적인 펜트하우스. 4개의 침실과 5개의 욕실을 갖춘 이 집은 전면 개조를 거쳐 새로운 파우더 룸과 홈 바, 두 개의 소형 홈오피스를 추가하면서 실용성과 세련미를 동시에 만족 시키는 공간으로 변신했다. 여기에 수납 공간과 복도, 출입구 위치를 전략적으로 조정해 더욱 효율적인 동선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대규모 모임을 즐기는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개방적인 구조도 최대한 살렸다. 4.9m에 달하는 높은 천장은 공간의 개방감을 극대화하며, 모든 거실 공간 에서 허드슨강의 장엄한 전망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모든 공간에 세심한 디테일을 더했지만 특히 거실, 다이닝 룸, 패밀리 룸, 주방이 하나로 연결되는 오픈 플로어 개념을 강조했어요. 이런 공간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었죠.” 세 개의 거실이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레 연결될 수 있도록 힐만은 맞춤 제작한 패브릭과 경매에서 찾은 특별한 작품들, 그리고 컬렉터블 디자인을 조화롭게 믹스하여 공간을 완성했다. 거실과 가족실에는 맞춤 제작한 4.5m 높이의 스틸 책장을 설치해 시각적으로 연결했으며, 세 개의 거실에는 천장부터 바닥까지 이어지는 동일한 커튼을 사용해 통일감을 주었다. 거실 입구와 다이닝 룸까지 이어지는 벽면에는 우드 패널링을 사용해 시각적 연결성을 높였으며, 각기 다른 스타일의 러그를 배치해 컬러 팔레트를 유지하면서도 변화를 주었다.

집의 중심에 자리한 거대한 다이닝 테이블. 테이블 하부 조각과 의자는 에릭 슈미트. 샹들리에는 나초 카르보넬 디자인으로서 카펜터스 워크숍 갤러리.

소파는 라파엘 나보 디자인으로서 프리드먼 벤다. 데이베드는 릭 오웬스. 피에르 폴랑 암체어는 랄프 푸시.

힐만은 기존의 비정형적 구조를 조화롭게 정리하기 위해 맞춤 제작 가구도 적극 활용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요소는 집의 중심이 되는다이닝 테이블이다. “이 집은 네 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지만, 동시에 많은 손님을 초대하는 공간이기도 했어요. 그래서 단순히 대형 디너 파티를 위한 테이블이 아니라 가족이 함께하는 저녁 식사에도 어울리는 유연한 형태를 원했습니다.” 어두운 복도를 지나 채광이 밝은 거실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맞이해주는 독특한 형태의 테이블이다. 에릭 슈미트 Eric Schmitt가 디자인한 세 개의 독특한 받침대 위로 기하학적 형태의 스톤 상판을 얹은 구조인데,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활용하거나 하나의 대형 테이블로 결합할 수 있다.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책과 오브제를 전시하는 디스플레이 테이블로도 기능한다. 그 위로는 나초 카르보넬 Nacho Carbonell에게 의뢰해 제작한 조명을 설치했다. 강렬한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허드슨강의 멋진 전망과 저녁 노을을 가리지 않도록 아치형으로 설계되었다. 넓은 공간을 채우기 위해 큰 가구가 필요했지만, 건물 규정상 리깅(대형 가구를 들어올려 반입하는 작업)이 금지되어 있어 일부 가구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들여와 현장에서 완성해야 했다. 이러한 제약 속에서도 힐만은 클라이언트의 라이프스타일을 충분히 반영한 맞춤형 공간을 구현해냈다.

주방과 연결되는 패밀리 룸. 주방 가구는 보피. 창가의 레진 테이블은 스튜디오 누클레오.

“집은 가장 편안해야 하는 공간이에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것들로 둘러싸여 있고,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죠.” 힐만은 독창적인 맞춤 디자인과 유연한 가구 배치를 통해 이 가족의 다채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담아냈다. 낮에는 자연광이 가득한 휴식 공간으로, 저녁에는 도시의 야경과 어우러지는 우아한 공간으로 변모하며 그 안에서 다양한 순간이 축적된다. 아름다움과 기능, 개인적인 취향과 개방성이 조화를 이루는 이 펜트하우스는 단 한 주거 공간을 넘어 삶을 담아내는 특별한 무대로 존재한다.

따뜻한 화이트 톤과 부드러운 패브릭으로 꾸민 침실. 침대는 줄리 힐만이 제작한 것. 소파는 블라디미르 카간. 의자는 메종 제라드.

화이트 대리석으로 마감한 욕실. 조명은 루이스폴센.

연두색이 돋보이는 게스트 룸. 창가의 라운지 체어는 피에르 폴랑.

베르너 팬톤과 조 콜롬보의 체어를 둔 아들의 방. 송치를 사용한 침대는 줄리 힐만이 직접 제작한 것.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마놀로 이예라 Manolo Yllera

TAGS
대화하는 예술

대화하는 예술

대화하는 예술

‘나’를 돌아다니는 시간 속에서, 대화는 예술이 되고 존재는 형상이 된다.

TTOS 다이얼로그 갤러리는 완성된 작품을 감상하는 곳이 아니다. 이곳에서의 대화는 예술로 전환되고, 관객은 작품의 일부가 된다.

세 개의 스크린에 띄운 사진 작품 <죽은 나무–가장 강력한 생명>은 하얗게 말라 죽은 나무지만 주변의 푸르른 나무와 화려한 꽃보다 더 강한 생명력을 내뿜고 있다. 흐릿한 안개의 형상을 담은 <무념–흐릿하게 잊을 수 없는 길>은 새벽녘 동틀 무렵, 실제 돌무더기 사이 뒤에서 안개가 살짝 흘러 나온 순간을 포착한 작품이다.

지극히 사적인 시리즈의 두 번째 전시 <지극히 사적인–형상>은 해가 지고 늦은 밤 시작되는 전시다. 단 한 명의 관객과 작가가 3시간 동안 자신을 깊이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 TTOS Dialogue Gallery

죽은 나무 사진을 공간 밖으로 확장한 듯, 전시장 내부는 나무 기둥으로 연출했다.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갤러리가 존재한다. 고요한 박물관 같은 전시 공간부터 자유롭게 체험하는 인터렉티브 갤러리, AI 기술이 만든 몰입형 전시까지. 예술은 시대와 함께 진화해왔다. 하지만 여기 그 어느 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공간이 있다. 바로 TTOS(To The Other Side) 다이얼로그 갤러리다. 이곳은 관객이 작가와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그 대화 속에서 작품이 형성된다. TTOS의 디렉터 김성렵과 제아는 브랜드와 공간 기획자로 오랜 경험을 쌓아왔다. 각각 현대카드 디자인 랩과 SK텔레콤 브랜드 리뉴얼, 복합문화 공간 운영 등을 거쳐오며,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느꼈고, 그 결론이 바로 TTOS였다. “우리는 기존의 갤러리처럼 단순히 예술을 보여주는 공간이 아니라,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공이 되는 곳을 만들고 싶었어요.” TTOS가 자리한 공간은 오랜 시간의 흔적을 품고 있다. 원래 한옥이었던 이곳은 한국건축문화대상 신진건축사 부문에서 우수상을 받은 건축물로서, 박공지붕의 실루엣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요소를 더해 재해석되었다. “건축사사무소 LIM과 함께 설계한 이 공간은 과거와 현재가 대화하는 장소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도 그 흔적이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어요.” 건물 재료는 콘크리트, 나무, 벽돌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만 구성되었으며, 지나온 한옥의 기억을 현재 속에 스며들게 했다. 내부의 공간 배치는 관객과 작가가 자연스럽게 마주 앉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빛의 흐름과 함께 여백을 품은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대화가 끝난 뒤 주어지는 자유시간 30분 동안, 작가는 작업 테이블에 가서 관객을 위한 작품을 완성한다.

마주 앉은 두 개의 의자.

TTOS는 ‘지극히 사적인’이라는 전시 시리즈를 통해 각 개인이 내면을 탐구하는 여정을 제안한다. 첫 번째 전시 <지극히 사적인–울림>에서는 로봇 공학을 전공한 정우원 작가가 심장 소리를 기반으로 감정의 흔적을 시각화했다. 그리고 이어 두 번째 전시 <지극히 사적인–형상>에서는 ‘형상’을 주제로, 우리가 서로를 바라보며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번 전시에서 사진작가 김승렬은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고유한 빛을 포착한다. 그리고 그 순간, 관객은 작품이 된다. “뮤지션 한 사람에 관객 한 사람이면, 둘 다 주인공이거든요. TTOS의 전시는 바로 관객이 작품의 주인공이 되는 과정입니다.” 사실 인터뷰 내내 이곳 기획자인 김성렵, 제아 디렉터는 본 전시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꼈다. 꼭 ‘직접 경험’해봐야 한다는 그들의 말은 단호했고, 궁금증을 더욱 자극했다. 그리고 인터뷰가 끝난 후 마주한 전시는 그들이 왜 그렇게 말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다. 이 전시는 하나의 퍼포먼스였다. 본격적인 대화에 앞서 김승렬 작가는 시간과 형상, 그리고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자신의 작품을 소개했고, 이번 전시는 하나의 작은 연극 무대처럼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1시간 30분가량 작가와의 깊은 대화가 이어졌다. 기억과 추억, 소중한 것들, 그리고 ‘사적인’이라는 의미를 탐색하는 시간이 주어졌다. 그 후 작가와 나는 각자의 시간을 가졌다. 그 시간 동안 작가는 나를 위한 작업을 이어갔고, 그 결과는 전시장 속 하나의 형상으로 남겨졌다. 이 전시는 결국 ‘나’를 돌아다니는 과정이자 자신을 새로운 방식으로 발견하는 여정이었다. 하지만 그 여정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진행되는지는 비밀로 남겨두고 싶다. 에디터가 인터뷰 내내 품은 궁금증처럼, 이 전시를 앞둔 이들에게도 정답을 알려주지 않으려 한다. 이곳에서 무엇을 마주하게 될지는 온전히 당신의 경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과거 한옥이었던 공간의 연속성을 위해 기와의 끝 곡선을 닮은 계단 디자인.

박공 지붕의 실루엣을 유지한 건물 외관.

물속에 가라앉은 돌 무리를 촬영한 사진 작품. 멀리서 보면 안개가 낀 산맥처럼 보이기도 하고, 흐릿한 형상이 꿈처럼 부유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TTOS 다이얼로그 갤러리의 기획자 김성렵 디렉터.

이런 전시 방식을 고수하기에 TTOS는 철저하게 프라이빗한 형태로 운영된다. 하루 단 한 명에서 많아야 네 명의 관객만이 전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깊이 있는 경험을 보장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대형 전시 공간에서는 작품이 중심이지만, 우리는 관객이 중심인 전시를 원했습니다. 그들의 경험이 예술이 되는 과정은 TTOS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우리 전시를 통해 ‘나를 돌아다니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이야기해요. 마치 여행처럼요.” TTOS의 전시는 바로 그 여행을 떠나는 과정이다. 그 여정의 끝에서, 우리는 새로운 나를 발견하게 된다. TTOS는 앞으로 ‘지극히 사적인’ 시리즈를 6개까지 확장한 후, 또 다른 형태의 전시를 기획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갖는 경험은 결국 당신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가 곧 예술이 됩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