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쾌한 여름과 셸터 아일랜드 그리스 하우스

경쾌한 여름과 셸터 아일랜드 그리스 하우스

경쾌한 여름과 셸터 아일랜드 그리스 하우스

대칭적인 구조와 절제된 미감, 그 위에 얹은 경쾌한 스트라이프와 여유로운 여름의 무드.
고전적인 그리스 리바이벌 양식으로 리노베이션한 셰인먼 가족의 집.

넓은 화이트 패널과 대칭적인 구조로 지은, 클래식한 미감의 집. 그리스 리바이벌 양식의 건축 외관은 처음 집을 지은 1990년대 말 모습을 거의 유지했다.

화이트와 블루, 빈티지 가구와 예술 작품이 한데 어우러진 거실. 소파는 제이슨 밀러 디자인으로 더 퓨처 퍼펙트 제품. 커피 테이블은 맞춤 제작한 것.

정원에 나란히 선 딸 알렉시아 셰인먼과 아버지 앤드류 셰인먼.

수십 년을 함께 살아온 집을 다시 설계하는 일은 단순한 리노베이션이 아니다. 기억을 되짚고, 잊고 있던 감정과 마주하며, 무엇을 남기고 덜어낼지 결정해야 하는 섬세한 과정이다. 셸터 아일랜드에 있는 이 집은 셰인먼 가족에게 그런 시간의 결정체다. 이 섬과의 인연은 198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뉴욕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회사 펨브룩 & 아이브스 Pembrooke & Ives를 설립하기 전, 앤드류 셰인먼은 그의 아내와 처음 이 섬을 찾았다. 숨겨진 보석처럼 여겨진 이곳에서 두 사람은 주말을 보내며 자연을 만끽했고, 결혼식도 이곳에서 치렀다. 그러고 나서 1999년에 숲길 끝 조용한 대지를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는다. 당시에는 평범한 목조 랜치하우스가 있었지만, 셰인먼은 수영장을 먼저 조성한 뒤 고전적인 그리스 리바이벌 양식(18세기 말~19세기 초 유행한 고대 그리스 건축을 모티프로 한 건축 양식)에서 영감을 받아 주택을 새로 지었다. 건축 경험이 없는 지역의 배 제작자에게 시공을 맡기고, 설계는 부부가 직접 도맡았다. 그러다 몇 년 전, 다락방의 파이프가 터져 집 전체가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예기치 못한 사고는 3년에 걸친 리노베이션으로 이어졌고, 작업은 복구를 넘어 이 집을 처음 지었을 때의 아쉬움을 되짚고 완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무엇보다 이번에는 딸 알렉시아 셰인먼과 함께한 프로젝트이기에 더욱 의미가 깊었다. 펨브룩 & 아이브스의 최고 전략 및 브랜드 책임자로서, 현재 아테네에 거주 중인 알렉시아는 부녀가 함께한 이번 작업이 자연스럽고 특별한 협업이었다고 말한다. “오히려 자신의 집을 디자인하는 일이 클라이언트 프로젝트보다 더 어렵다고 느꼈어요. 결정할 것이 너무 많거든요!”

브릭 타일과 녹색 대리석, 템버보드 원목으로 맞춤 제작한 주방 아일랜드와 캐비닛.

유쾌한 색감의 커피 테이블은 션 거슬리 Sean Gerstley.

다이닝 테이블 위에 오리 오브제를 두어 유머를 더했다. 의자는 허먼 밀러, 천장의 ‘인비저블 샹들리에 Invisible Chandelier’는 캐스터.

이번 리노베이션은 그동안 쌓은 경험과 변화된 미감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였다. 그렇게 완성된 주택은 약 330㎡ 규모로 침실 다섯 개와 욕실 다섯 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복도를 따라 방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된 구조는 고전적인 그리스 리바이벌 건축의 특징을 잘 드러낸다. 각각의 방은 철도처럼 길게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큰 공간처럼 느껴지고, 거실과 다이닝 룸, 패밀리 룸은 오픈 플랜으로 설계되어 슬라이딩 포켓 도어로 필요시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리노베이션의 핵심은 구조와 마감재의 개선이었다. 기존 대칭성과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기능성과 분위기를 조율하는 데 집중했다. 알렉시아는 기존 욕실을 공유하던 침실 구조를 독립형 욕실로 바꾸고, 홈 오피스와 운동 공간을 새롭게 더했다. 문 높이를 높여 더 많은 자연광이 들어올 수 있게 하고, 집의 방향 역시 정원 뒤로 흐르는 하천을 향하게 조정해 탁 트인 조망을 완성했다. 소재 외에 디테일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앤드류는 와이드 플랭크 원목 바닥재, 하이글로시 페인트 마감, 주방과 욕실에 들어간 고급 석재 등 집의 질감을 업그레이드했다. 이러한 재료의 선택은 공간의 깊이와 대비를 살리고, 전체적인 품격을 높여준다. 조경 역시 새롭게 단장되어, 집과 자연이 더욱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했 다. 가족이 가장 애정을 쏟은 공간은 주방과 거실이다. 주방은 클래식한 미감을 유지하되, 개방형 선반과 같은 실용적인 요소를 더해 현대적인 감각을 살렸다. 거실은 구조 자체를 유지하면서도 가구와 오브제를 좀 더 과감하고 다채롭게 구성했다. 고전적인 외관과 대비되는 조각적인 현대 가구는 시각적 긴장감을 더하고, 수집한 예술품과 함께 공간의 내러티브를 완성한다. 계단 난간과 커피 테이블 같은 일부 요소는 지역 장인에게 의뢰해 특별 제작해 조형적이고 예술적인 디테일을 더했다.

아트숍 같은 서재. 블루 그러데이션이 돋보이는 유리 테이블은 데이비드 길 갤러리 제품. 다리는 나무처럼 보이지만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이 집을 위해 특별 제작한 침대와 알루미늄 테이블. 테이블 위 나무 흉상은 빈티지 제품. 벽에 걸린 예술 작품은 데릭 애덤스

데이비드 보위의 사진을 크게 걸어둔 욕실.

가족의 사진이 벽면 가득 걸려 있는 복도.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에 대해 알렉시아는 “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을 때”라는 의외의 답을 전했다. “단순히 새로운 공간을 짓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역사가 깃든 공간을 보존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이 들었거든요. 그 후로 이어진 모든 결정들이 과거와 현재 사이의 대화처럼 느껴졌습니다.” 수십 년간 가족과 함께한 이 집은 단순한 여름 별장이 아니라 사계절 내내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이다. “늘 그래왔듯이, 의미 있는 대화와 식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길 바랍니다. 따뜻하고 여유롭고 자연과 맞닿아 있는 집, 그것이 우리가 이 집을 지으며 바라던 모든 것입니다.”

이번 리노베이션에서 구조 변경을 통해 새롭게 만든 오피스 공간. 빈티지 게임 테이블을 책상으로 배치했다. 의자는 스텔라 웍스. 선반은 비초에.

그린 컬러의 게스트 침실. 광택이 있는 래커 칠 마감으로 자연의 빛을 더욱 극대화한다.

새하얀 카라라 대리석과 브릭 타일이 우아하게 어우러진 게스트 욕실.

이 집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수영장. 물 위에서 정원과 하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블레인 데이비스 Blaine Davis

TAGS
와셀로가 완성한 맞춤 가구와 공간 이야기

와셀로가 완성한 맞춤 가구와 공간 이야기

와셀로가 완성한 맞춤 가구와 공간 이야기

정해진 틀을 넘어 나만의 방식으로 살아가는 집.
와셀로는 삶의 작은 순간까지 세심히 관찰해,
그 흐름을 닮은 맞춤 가구와 공간으로 이야기를 완성한다.

넓은 통창 아래 묵직하게 자리한 다이닝 테이블과 아일랜드는 와셀로에서 디자인과 제작을 했다.

다이닝 테이블 옆에 선 와셀로 이병관 대표.

집은 살아가는 방식만큼이나 제각각이다. 수납 방법, 동선 흐름, 가족 간 관계 등 삶의 디테일은 생각보다 섬세하고 구체적이다. 그런데 우리 가구는 왜 늘 비슷할까? 이 집은 이런 질문에서 출발했다. 경사진 대지 위에 지어진 이 집은 고층 아파트에 익숙했던 가족이 일상에서 벗어나기로 결심하며 시작됐다. 절벽처럼 가파른 땅이었지만 탁 트인 풍경과 빛, 그리고 오롯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이들을 사로잡았다. 그렇게 새로운 삶의 무대가 마련되었고, 그 중심에는 맞춤형 가구 브랜드 와셀로가 있었다. 공간을 어떻게 채울 것인지에 앞서, 삶의 구조를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지를 고민해온 와셀로는 건축 설계 초기부터 참여해 거주자의 생활 방식을 면밀히 관찰했다.

자연석의 느낌을 살리고자 무게감 있는 블랙으로 마감한 주방 아일랜드.

벽면 캐비닛은 아일랜드와 어우러지도록 진한 우드 톤의 무늬목으로 마감했다.

나뭇결이 돋보이는 3.6m 길이의 다이닝 테이블.

수납이 많이 필요한 집주인을 위해 서랍 내부도 꼼꼼히 신경 썼다.

다이닝 테이블 뒤의 작은 아일랜드는 와인과 치즈를 위해 마련한 것. 손님 초대를 자주 하는 집주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했다.

집에서 가장 공들인 공간은 2층, 집의 중심이 되는 주방이다. 가족이 함께 요리하고 대화하며 손님을 맞는 일상은, 단순한 기능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만큼 주방은 이 집에서 ‘가장 먼저, 가장 깊이’ 설계되어야 할 공간이었다. 처음 방문한 와셀로 쇼룸에서 마주한 자연석 아일랜드는 이집의 방향을 단숨에 정해줬다. “자연 그대로를 실내로 들여놓은 듯했어요. 존재감이 강하지만 공간과 잘 어우러지는 점이 인상 깊었죠.” 원래 돌을 좋아한 집주인은 순간, ‘이곳과 함께해야겠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한다. 실제로 입구 정원과 중앙 테라스에는 큼직한 석재가 놓여 있고, 실내에는 작은 자갈을 모아 만든 석정원이 자리한다. 모두 집주인이 손수 가꾼 공간이다. 주방은 그런 감각을 실내로 이어온 공간이다. 그 미감을 함께 공유한 디자이너는 주방 전체를 하나의 ‘덩어리감 있는’ 오브제로 바라봤다. 블랙 세라믹과 짙은 무늬목으로 마감된 주방은 어둡고 단단한 질감을 지니며, 실내에 자연의 깊이를 불어넣는다. 다이닝 테이블도 마찬가지다. 집주인이 쇼룸에서 인상 깊게 본 미팅 테이블을 기억한 디자이너는, 같은 감도의 맞춤형 테이블을 설계했다. “길게 만들고 싶다는 요청이 있었어요. 하지만 길이 3.6m에 테이블 다리를 설치하면 앉을 때 옆 사람과 부딪치게 되거든요. 그래서 다리 없이 구조적으로 버티게 하는 방법을 고민했어요.” 커다란 축을 활용해 중간 다리 없이 설계된 테이블은, 전면 창 앞에 놓여 앉아서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지하층에는 차를 즐길 수 있도록 작은 주방을 마련했다. 강렬한 패턴이 돋보이는 벽마감으로 포인트를 줬다.

야외 테라스와 연결되는 거실.

자연석을 좋아해 집 내부에도 작은 석정원을 만들었다.

2층에서 내려오는 계단 앞에 붙박이 수납장을 만들었다. 답답하지 않도록 바닥을 띄어 변주를 준 것이 특징.

나뭇결이 돋보이는 블랙 우드 소재의 테이블.

와셀로와의 협업은 단순히 가구 제작을 넘어, 집의 구조와 흐름을 함께 설계해가는 일이었다. “저 최대한 괴롭혀주세요. 그래야 좋은 가구가 나옵니다.” 이병관 대표가 말했다. 그는 농담처럼 말하지만, 그 안엔 고객의 삶을 깊이 들여다보겠다는 브랜드의 태도가 담겨 있다. 한 개였던 아일랜드는 가족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와인과 치즈를 즐길 수 있는 보조 아일랜드가 추가되며 둘로 늘었고, 이에 따라 동선과 수납 구조도 새롭게 설계되었다. 특히 건축 현장은 변수가 많은데 와셀로는 초기 설계를 고집하기보다 오히려 과감하게 돌출을 선택했고, 벽과 일체형으로 숨기기보다 가구의 존재감을 드러내며 공간에 리듬감을 부여했다. 이런 유연한 반응은 이들이 말하는 ‘맞춤’ 철학과도 닿아 있다. 맞춤이라는 말의 진짜 의미를 어디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지, 그들은 늘 고민한다. 단순히 사이즈나 형태 조절을 넘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각까지 정밀하게 조율하는 것. 이 집에서도 ‘따뜻하다’, ‘붉다’ 등 추상적인 감각을 구체화하기 위해 다양한 마감 샘플을 현장에서 비교했고, 원하는 감도를 위해 착색 무늬목을 맞춤 제작했다. 대부분의 브랜드가 시도하지 않는 디테일이지만, 와셀로는 이를 가능케 하는 자체 기술력과 미감의 기준을 갖추고 있다. 와셀로와 나눈 대화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가구를 단순한 ‘물건’이 아닌 공간의 일부로 바라보는 태도였다. 설계 초기부터 함께하며, 거주자의 삶을 바탕으로 공간을 조율해나가는 일. 비워진 공간에 가구를 채우는 것이 아닌, 삶에 맞는 공간 자체를 다시 그리는 일. 이 집은 바로 그런 철학의 결과다.

창 너머로 보이는 자연 그 자체가 작품인 집. 욕실과 침실에도 벽면을 모두 통창으로 설계해 사계절 내내 푸른 자연을 감상할 수 있다.

밝은 무늬목을 사용해 단정한 미감으로 완성한 딸의 욕실.

천창을 뚫어 자연광이 드는 게스트 욕실.

커다란 돌이 아정적인 입구정원.

메인 주방과 달리 밝은 우드 톤으로 마감한 1층 주방.

높은 층고 아래 단정한 맞춤형 캐비닛으로 마감한 침실.

WACELLO
와셀로는 2014년 설립된 맞춤 가구 브랜드로, 단순히 빌트인 가구 제작을 넘어 ‘공간을 해석하는 디자인 그룹’을 지향한다. 이병관 대표는 대기업 가구회사에서 10년 넘게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성과 매뉴얼을 넘어 섬세한 제작 방식을 실현하고자 설립했다. 설계 초기부터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공간 구조에 맞춰 제작하는 방식으로 대량생산 시스템과 차별화된 맞춤형 디자인을 선보인다.
WEB wacello.co.kr TEL 02-3443-5700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이비자 섬 숲속에 숨겨진 대가족의 여름 별장

이비자 섬 숲속에 숨겨진 대가족의 여름 별장

이비자 섬 숲속에 숨겨진 대가족의 여름 별장

광물과 식물의 세계. 숲속에 숨겨진 이 대가족의 여름 별장은 이비자 섬의
단순한 우아함을 받들며 이 지역 특유의 감성을 재창조한다.

끈으로 된 의자(앨런 굴드 Allan Gould 디자인, 모렌츠 Morentz)와 테이블(조지 나카시마 George Nakashima 디자인, 피아사 Piasa)을 놓은 테라스. 숲을 배경으로 시선이 수영장으로 떨어진다. 유리잔과 카라페는 카라반 Caravane.

발은 땅을 딛고 눈은 로즈메리, 사이프러스, 코럴 트리가 자라는 정원을 향한다. 조경은 발리애릭 가든스 Balearic Gardens. 테라스에는 부빙가 나무, 로소 베로나 Rosso Verona 대리석으로 된 테이블(모렌츠)과 티크 암체어(킵 스튜어트 Kipp Stewart 디자인, 서밋 퍼니처 Summit Furniture)가 있다. 꽃병과 세라믹 볼은 파올라 파로네토 Paola Paronetto. 샐러드 그릇은 에르메스 Hermes.

밝은 떡갈나무와 석회암을 결합한 주방은 부드러운 뉴트럴 톤으로 꾸미고, 세로로 홈을 낸 선반 시리즈로 변화를 주었다. 식기는 에르메스. 유리잔은 디올 메종과 CFOC. 세라믹 꽃병은 파올라 파로네토

주방을 마주한 다이닝 룸. 브라질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호세 자닌 칼다스가 70년대에 페키 Pequi 나무로 만든 테이블이 자리한다. 꽃병과 접시는 샤를 뷔르넥스 Charles Burnex 디자인, 갈르리 탕비앙 Galerie Tambien. 유리잔은 디올 메종 Dior Maison. 샐러드 그릇은 에르메스.

이 집을 발견하려면 알로에 베라 사이로 구불거리는 길을 따라가야 한다. 지금은 건축이 금지된 이비자 섬에서 가장 고립된 지역의 언덕에 자리한 700㎡의 여름 별장이 소나무와 사비나 향나무에 파묻혀 바다를 굽어본다. “디에테와 얀 부부가 아 이 넷과 함께 살고 있는 암스테르담의 답답한 도시에서 떨어져, 부부가 꿈꾸는 시간을 보내기에 완벽한 정착지”라고 실내건축가 토마스 헤얼링스(네덜란드 실내건축&디자인 사무소 프레임워크 스튜디오 Framework Studio 설립자)가 말했다. “건물을 자연, 그리고 발레아르 군도의 분위기와 연결해야 했어요. 예술 및 디자인 컬렉터인 부부는 이 섬 특유의 건축을 존중해 모래색의 두꺼운 석회암 벽과 계단식 정원, 그리고 물결치는 라인을 적용했습니다.” 반원 형태의 천장이 벽 곡선을 따라 이어지는 계단의 안으로 굽은 메탈 난간과 잘 어우러진다. 건축과 공명하는 가구는 크래프트 스튜디오 무브먼트 Craft Studio Movement를 기념한다. “중요한 것은 재료의 내재된 가치가 아니에요. 그보다는 가공하지 않은 형태에 담긴 오가닉한 아름다움, 가장 순수한 표현법, 그리고 훌륭한 장인만이 구현할 수 있는 디테일들이 중요하죠.” 과도한 숲 개발을 반대하는 브라질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호세 자닌 칼다스 Jose Zanine Caldas가 숲에서 발견한 나무 몸통과, 제재소에 버려진 나무로 만든 조각 같은 다이닝 테이블이 그의 말을 증명한다. 이 집을 ‘감싸는’ 아주 빽빽한 숲이 곳곳에 그 생명력을 각인시킨다. 일단 회전문을 열면 실내와 실외가 하나되고, 각 공간은 풍경으로 이어진다. 계절마다 생명력 넘치는 아름다운 그림이 펼쳐진다.

단을 높인 거실은 여러 개의 기둥으로 구분된다. 기둥은 이 지역의 건축 기법에서 영감을 얻은 천장과 조화를 이룬다. 주문 제작한 카나페는 프레임워크 스튜디오. 꽃병은 샤를 뷔르넥스, 세라믹 조명은 나탈리 리치 Natalie Rich 디자인, 갈르리 탕비앙. 뷔페장과 암체어는 조지 나카시마. 검은색 꽃병은 빌렘 반 호프 Willem van Hooff.

두 개의 높이와 폭으로 디자인한 계단에서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파노라마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카나페 ‘코르나로 Cornaro’는 카를로 스카르파 Carlo Scarpa 디자인, 베통 브뤼 Beton Brut. 쿠션은 마두라 Madura. 낮은 테이블은 서밋 퍼니처. 카라페와 유리잔은 CFOC. 의자는 앨런 굴드 디자인, 모렌츠. 사이드 테이블은 조지 나카시마 디자인, 피아사. 유리잔은 디올. 계단 위에 있는 쿠션은 카사망스 Casamance.

조각한 나무 패널이 카나페의 곡선과 대비를 이룬다. 나무 패널은 이탈리아 듀오 디자이너 네로네 Nerone와 파투치 Patuzzi 디자인, 그루포 NP2 Gruppo NP2. 카나는 노이엔 비너 베어크슈테튼 Neuen Wiener Werkstatten. 낮은 테이블은 빈센초 데 코티이스 Vincenzo de Cotiis디자인. 쿠션은 노빌리스 Nobilis. 떡갈나무 촛대는 마티아스 비브롱 Matthias Biberon 디자인, 갈르리 탕비앙. 조명은 메이 May 갤러리. 입구에 있는 벤치는 타다오 아리모토 Tadao Arimoto 디자인. 벽에 건 아트 작품은 딩 리 Ding Li.

떡갈나무와 석회암으로 만든 세면대가 광물과 조각의 느낌을 주는 욕실. 주방의 절제된 스타일과 이어진다. 도자기는 피터 흐루너펠트 Pieter Groeneveldt 작품, 갈르리 탕비앙. 수건은 아오미 Haomy. 비누는 타미즈 Tameez. 향수는 스투라 스쿠간 Stora Skuggan.

시크한 미니멀리즘으로 꾸민 부부 침실. 침대 헤드보드는 느릅나무와 손으로 꿰맨 텍스타일로 만들었다. 독서등은 PSLab. 침구는 쿨뢰르 샹브르 Couleur Chanvre. 쿠션은 카사망스. 사이드 테이블은 아르노 드클레르크 Arno Declercq.

지중해에 자리한 휴식처. 숲을 감싸는 파노라마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라포니아 Laponia의 녹색 대리석으로 만든 수영장에 풍경이 비친다. 티크 의자와 낮은 테이블은 서밋 퍼니처. 쿠션과 파레오 Pareo는 CFOC. 카라페와 유리잔은 카라반.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프랑시 크리스토가탱 Frenchie Cristogatin

WRITER

이자벨 수앙 Isabelle Soing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