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을 실현한 건축, 세계의 새로운 랜드마크

초현실을 실현한 건축, 세계의 새로운 랜드마크

초현실을 실현한 건축, 세계의 새로운 랜드마크

자연과 기술,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사이 서 있는 대담한 건축의 세계.

조경 디자이너 피트 아우돌프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식물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아파트 발코니.

조각을 연상케 하는 비정형 석재 구조로 완성된 밸리의 독창적인 외관.

건물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 통로. © Ossip van Duivenbode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공공 테라스로 이어지는 동선. © Ossip van Duivenbode

상공에서 내려다본 풍경은 마치 초록빛 계곡을 연상시킨다. © Ossip van Duivenbode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인상을 주는 입면 디자인. © Ossip van Duivenbode

건물 사이를 굽이치는 초록 계곡, 밸리
네덜란드의 건축 그룹 MVRDV가 암스테르담 자우다스 Zuidas에 선보인 밸리 Valley. 자연과 도시, 구조와 유기체의 경계를 허문 대담한 실루엣은 공개와 동시에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그 해 엠포리스 Emporis에서 ‘세계 최고 신축 마천루’로 선정되며 지역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밸리는 상업 시설, 오피스, 주거 기능이 결합한 주상복합 건축물로서, 하나의 매스로 묶인 저층부 위로 67m, 81m, 100m 높이의 세 개 타워가 불규칙한 계단식 형태로 솟아오른다. 마치 거대한 암석 덩어리를 층층이 쌓아올린 듯한 독창적인 외형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형태와 패턴을 도출하는 파라메트릭 Parametric 기법의 결과물이다. 외관뿐 아니라 내부 역시 석재로 마감된 바닥, 벽, 천장을 통해 일관된 조형미를 구현했다. IP 기반 빌딩 자동화 시스템과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센서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저탄소 건축의 방향을 제시한다. 4층과 5층 사이에 조성된 공공 테라스는 외부 계단을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건물 전체는 영국의 친환경 건축 인증 제도인 BREEAM 인증을 획득하고, 에너지 성능 계수 –0.30을 달성하는 등 지속 가능한 고성능 건축으로서 기준도 만족시킨다. 건물 외곽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테라스와 발코니, 그리고 5층에 자리한 녹색 정원은 세계적인 조경 디자이너 피트 아우돌프 Piet Oudolf의 섬세한 손길로 완성되었다. 1만3500여 그루의 식물과 나무가 빼곡히 심겨 있어 회색 도시 한복판에 자리한 푸른 오아시스이자 벌, 새, 곤충 등 도시 생태계가 다시 숨 쉴 수 있는 새로운 서식처가 되어준다.

9층 모던 타워 위에 전통 저택을 얹은 메종 헬러의 상징적 외관. 필립 스탁의 초현실적 구상이 도심에 기묘한 풍경을 만든다.

대리석 패널과 노출 콘크리트, 여성스러운 조명이 어우러진 객실 인테리어.

미니멀한 구조 속 아라 스탁의 스테인드글라스 디테일이 만프레드 헬러의 상상 속 세계로 이끈다.

하늘 위로 떠오른 저택, 메종 헬러
프랑스 메츠의 앙피테아트르 지구 한가운데, 9층 높이의 현대적 건물 위 전통 로렌 양식의 저택이 얹혀 있다. 필립 스탁이 설계한 메종 헬러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할 것 같은 장면을 실현하며, ‘하늘로 떠오른 집’이라는 초현실적 상상을 건축으로 옮겨왔다. 이 호텔은 스탁이 직접 구상한 이야기 를 바탕으로 한다. 이야기 속 주인공 만프레드 헬러의 상상력과 사랑, 그리고 그의 집이 공중으로 부양하는 환상을 건물 전체에 녹여냈다. 외관은 현대적 모놀리스를 토대로 해 19세기 로렌 스타일의 저택을 얹은 형태로, 멀리서 바라보면 도시의 스카이라인 위에 한 장의 초현실주의 회화가 떠 있는 듯하다. 104개 객실과 스위트는 대리석 패널, 부드러운 카펫, 천연 가죽 등 ‘기능적 우아함’을 강조한 미니멀한 감각으로 꾸며졌다. 공간 곳곳에는 고대 동전, 시적인 문구, 비밀스러운 알파벳 같은 디테일이 숨겨져 있어, 투숙객이 만프레드의 세계를 탐험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호텔의 중심인 브라세리 ‘라 퀴진 드 로즈’는 만프레드의 사랑, 로즈를 향한 헌사를 담았다. 부드러운 핑크 톤과 짙은 목재 가구가 어우러진 공간에서, 현지 식재료로 만든 창의적인 메뉴를 즐길 수 있다. 최상층에 자리한 ‘라 메종 드 만프레드’는 가족의 집처럼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도시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다이닝 공간이다. 이곳을 수놓은 아라 스탁(필립스탁의 딸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의 스테인드글라스는 빛을 받아 다채로운 색채를 도시 위로 흩뿌린다. 전통과 현대, 현실과 환상을 가로지르는 메종 헬러. 이곳에서 머무는 시간마저 초현실적인 상상의 공간에 들어선 듯하다.

홍해 위에 초승달 모양으로 펼쳐진 셰바라 리조트의 전경. © Red Sea Global 2025

유리처럼 반짝이는 외관과 전용 풀장이 인상적이다. © Red Sea Global 2025

바다 위에 떠 있는 구체형 셰바라 리조트. © Red Sea Global 2025

전용 풀과 바다가 이어지는 빌라의 거실과 유기적인 곡선 벽면이 인상적인 욕실. © Red Sea Global 2025

바다에 착륙한 우주선을 연상케 한다. © Red Sea Global 2025

홍해 위에 뜬 진주, 셰바라 리조트
비행기에서 내려다본 홍해 한가운데, 유리처럼 반짝이는 은빛 구체들이 초승달 모양으로 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미래 관광을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는 ‘비전 2030 프로젝트’ 중 하나인 셰바라 리조트는 두바이를 기반으로 한 건축 스튜디오 킬라 디자인 Killa Design이 설계했다. 이곳은 ‘에코투어리즘의 목적지’라는 말 그대로, 여행이 단순한 소비가 아니라 자연을 보존하고 되살리는 경험이 되도록 설계됐다. 73개의 독립 빌라는 바다 위로 살짝 띄운 듯 설치되어, 발 아래로 산호초가 살아 숨 쉬는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모든 건물은 스테인리스 스틸 외피로 둘러싸여 있어 하늘과 바다를 그대로 비추고, 보는 각도에 따라 색과 빛이 달라진다. 마치 건물이 사라지고 풍경만 남은 듯한 착각이 들 정도다. 시공 과정마저 자연을 위한 배려였다. 섬에서 공사를 벌이지 않고 모든 빌라를 해상에서 완성한 뒤 옮겨 설치해서 산호와 모래 언덕, 야생 서식지를 최대한 건드리지 않았다. 내부에 들어서면 곡선이 부드럽게 흐르는 벽과 창 너머의 바다가 맞닿아, ‘실내’와 ‘실외’의 경계가 무의미해진다.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셰바라는 태양광 발전소,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정수 시설, 100% 전기 운송수단을 갖춘 자급형 시스템으로 운영된다는 사실. 투숙객은 바다거북이 알을 낳는 모래사장을 지키고, 산호를 심고 해안 생태계의 핵심인 맹그로브 숲을 더 넓히는 활동에도 동참할 수 있다. 밤이 되면 바다 위 구체들이 별빛을 받아 은은히 빛나고, 낮에는 수평선과 구분되지 않는 환상의 건축물이 되는 셰바라 리조트. 이곳은 바다 위에서 꿈꾸는 미래를 현실로 만든 한 편의 영화 같다.

CREDIT

에디터

,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가은

TAGS
여행과 일상 사이, 파리 5구의 아파트먼트 호텔

여행과 일상 사이, 파리 5구의 아파트먼트 호텔

여행과 일상 사이, 파리 5구의 아파트먼트 호텔

짧은 여행도, 한 달 살기도 가능하다. 파리지앵처럼 살아볼 수
있는 아파트먼트 호텔인 르 자르댕 드 베르가 문을 열었다.

다채로운 드로잉과 식물이 어우러진 리셉션.

맞춤형 가구와 빈티지 샹들리에가 있는 베고니아 스위트.

바스티유 광장에서 판테온, 소르본까지 이어지는 파리의 고전적인 골목. 그 한가운데에 런던의 감성과 파리지앵의 우아함이 만나는 특별한 아파트먼트 호텔이 문을 열었다. ‘르 자르댕 드 베르 바이 록 Le Jardin de Verre by Locke’은 ‘유리 정원’이라는 뜻으로, 이름처럼 빛이 가득 쏟아지는 중정과 푸릇하게 꾸며진 공간, 그리고 도심 속 숨은 정원 같은 평온함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조용한 라세페드 거리에 자리 잡은 이 호텔은, 20세기 공장 건물과 18세기 저택을 고풍스럽게 합친 건축물에 145개의 아파트먼트형 객실을 갖추고 있다. 각 객실은 세련된 현대미와 프랑스 오스만 양식, 그리고 20세기 산업 시설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있다. 특히 시그니처 스위트룸 ‘베고니아’와 ‘로즈레’는 복층형 구조에 로맨틱한 컬러 팔레트, 대형 창을 갖춰 파리만의 빛과 정취를 한껏 누릴 수 있다.

두 채의 바로크 양식 저택과 19세기 공장을 연결해 클래식한 호텔 외관.

유리 천장 아래 채광이 좋은 루프톱 바.

따뜻한 옐로 톤과 패브릭 조화가 돋보이는 테라스 스위트룸 객실.

영국에서 시작된 아파트 호텔 브랜드답게 부대시설이 화려하다. 피트니스룸, 요가 스튜디오, 코워킹 스페이스, 커피숍과 넓은 테라스가 있는 칵테일 바, 실내 정원 같은 커뮤니티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중정의 커피숍은 오렌지, 핑크, 레드 등 대담한 컬러감과 자연 소재가 조화를 이루어, 마치 영화 속 한 장면 같은 포토제닉한 분위기를 완성한다. 이는 최근 젊은 파리지앵들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이유다. 모든 스튜디오에는 완비된 주방과 독립된 업무, 거주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짧은 여행은 물론 한 달 살기처럼 장기 체류에도 적합하다. 여행을 넘어 파리지앵처럼 살아보고 싶은 이들에게 이보다 더 완벽한 공간은 없을 것이다. 파리 5구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있는 ‘르 자르댕 드 베르’에서 일상과 여행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경험을 만나보기를.
ADD 7 Rue Lacepede, 75005 Paris WEB lockeliving.com

CREDIT

에디터

WRITER

진병관(파리 통신원)

TAGS
멸종위기 식물을 품은 천상의 정원

멸종위기 식물을 품은 천상의 정원

멸종위기 식물을 품은 천상의 정원

프랑스 망통 고지대 위 1만5000㎡ 규모의 계단식 부지에 자리한 발 라메 식물원.
수많은 멸종위기 식물을 품은 이곳이 올해로 150주년을 맞았다.

1926년 퍼시 래드클리프 경이 심은 카나리아제도 종려나무 12그루가 늘어선 오솔길. 래드클리프 경은 20세기 초에 이곳을 구입해 ‘발 라메’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그 의미는 글자 그대로 ‘고요의 골짜기’.

바다가 보이는 빌라 테라스에는 화려한 ‘극락조화’가 피어 있다. 평균 16℃ 기온, 서리와 영하 기온이 없는 기후 덕분에, 이 정원에서는 대담한 식물 재배가 가능하다.

1970년대에 3m 높이의 메탈 기둥 14개를 세워 만든 정자는 2009년 덩굴식물이 기어오르도록 테라코타로 다시 지어졌다.

우리가 잘 아는 동백꽃 여인에 비해, 독말풀 여인의 이야기는 낯설다. 하지만 섬세하면서도 강한 독성을 지닌 남아메리카산 가지과 식물을 사랑한 한 여인 덕분에 발 라메 정원은 코트다쥐르의 보석 같은 존재가 되었고, 지금은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소유가 되었다. 1966년 이탈리아 국경 가까이 있는 작은 천국 같은 마을에 부동산 개발의 포크레인이 다가오자, 식물학을 전공한 부유한 영국인 미스 캠벨은 자신의 아름다운 작품이 콘크리트 아래 사라질까 두려웠다. 그녀는 과감히 정원을 국가에 기증했고, 국가는 곧 이를 대중에 개방했다. 자연이 만든 원형극장 같은 지형에 바다를 마주하고 자리한 이 ‘주목할 만한 정원’은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산맥이 막아주어 겨울엔 온화하고, 여름엔 습한 미기후를 지닌다. 그 덕분에 이곳은 특별한 식물군의 보금자리가 되었다. 지중해성 식물과 열대, 아열대 식물 1800여 종이 자라며, 그중에는 아라비아 커피나무, 칠레 야자수, 자바 삼나무, 카나리아제도 대추야자, 그리고 야생에서 이미 사라진 ‘천사들의 나팔꽃(독말풀)’도 있다. 발 라메의 식물은 박물관의 종자 목록을 꾸준히 채워 희귀종 보존에 기여하고, 전 세계 여러 기관과 종자를 교환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곳을 진정한 살아 있는 성소로 만드는 것은 다채로운 색과 향기, 그리고 숨 막힐 듯한 풍성함이다.

발 라메는 자연 서식지에서 희귀종을 적응시키고 보존하는 정원으로서, 좀 더 전통적인 식물에도 자리를 내주고 있다. 다육식물과 양치식물 위로 솟은 100년 된 올리브나무가 보인다.

다양한 종려나무와 한 그루의 멋진 남양삼나무가 오솔길 모퉁이에서 갑자기 나타나 좀 더 특별한 산책을 즐기게 해준다.

파피루스가 자라는 연못에는 한 그루의 사이프러스가 자리한다. 이 나무의 전설에 따르면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중 하나라고 한다. 6월부터 9월까지 거대한 수련이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브뤼노 쉬에 Bruno Suet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