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을 견디며 더욱 깊어진 향과, 새롭게 피어난 봄의 싱그러움을 품은 우리 술.

주방장 양조장, 쑥크레 봄에 채취한 신선한 쑥을 활용해 빚은 크래프트 막걸리. 은은한 쑥향과 크리미한 질감이 특징인 이 술의 이름은 쑥에 달콤함을 뜻하는 프랑스 단어 ‘수크레 Sucre’을 합성해 만들어졌다. 전통적인 쑥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부드러운 목넘김과 적당한 단맛이 어우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첫 잔은 침전물을 섞기 전의 맑은 약주로 마셔보길. 페어링 안주로는 쑥의 향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담백한 국물 요리나 발효 향을 증폭시킬 수 있는 사워도우를 추천한다.

술샘, 이화주 배꽃이 개화하는 4월 봄 즈음 술을 빚어 붙여진 이름, 이화주. 조선시대 궁중에서 즐겨 마시던 전통 발효주로, 부드러운 크림 같은 텍스처와 은은한 단맛이 특징이다. 쌀로 만든 구멍떡이나 백설기에 물을 거의 넣지 않고 만든 덕에 걸쭉한 질감을 가지며, 잼병 형태의 용기에 담겨 숟가락으로 떠먹는 방식으로 즐긴다. 쫀득한 요거트를 연상시키는 술로, 새콤한 감칠맛과 함께 달콤한 여운이 남아 어떤 음식에 곁들여도 좋은 무첨가 탁주다.

솔송주 양조장, 솔송주 봄이면 돋아나는 소나무의 송순을 넣어 빚은 전통주로서, 산뜻한 솔향과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 400여 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술로, 하동 정씨 집안 대대로 이어지던 가양주의 비법을 박흥선 식품명인이 전수해 오늘날까지 만들고 있다. 발효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소나무의 청량한 향 덕분에 마신 후에는 개운한 느낌이 남는다. 도수는 13%로 비교적 높지 않은 편이며, 달지 않고 부드러운 맛을 자랑한다.

좋은술 양조장, 찐골드 경기도 평택의 양조장 좋은술에서 황금향을 넣어 빚은 삼양주 막걸리. 양조장이 위치한 평택에서 재배한 황금향으로 만든 신제품으로, 새콤달콤한 과육 맛과 껍질에서 우러나는 향미가 돋보인다. 쌀누룩과 밀누룩을 사용해 3개월간 발효 및 숙성 과정을 거치는데, 쌀누룩은 황금향의 풍미를 극대화하고 누룩 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탄산감이 적고 부드러운 질감이 특징이며, 과일의 자연스러운 단맛과 은은한 산미가 균형을 이룬다.

면쳔두견주보존회, 면천두견주 충남 당진의 면천 지역에서 유래한 전통주로, 봄에 피는 진달래 꽃을 넣어 빚는다. 고려시대부터 전해지는 유서 깊은 술로, 고려 개국 공신 복지겸이 면천두견주를 마시고 병을 고쳤다는 설이 있다. 아미산에서 직접 채취한 진달래에 찹쌀과 누룩을 넣고 100일간 발효, 숙성시켜 은은한 꽃향과 부드러운 단맛이 특징이다. 한국 전통주 문화의 가치를 그대로 간직한 술로 평가받아 198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댄싱사이더컴퍼니, 스프링 블라썸 국내 최초 크래프트 사이더리 댄싱사이더컴퍼니에서 봄 시즌을 맞아 한정 출시한 과실주. 리치와 라즈베리의 맛이 섬세하게 조화를 이룬다. 약하게 가미된 벚꽃 향이 은은하게 퍼지며, 달콤하면서도 경쾌한 탄산감으로 한 모금에 봄의 감성을 느낄 수 있다. 과일의 산미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부드러운 피니시 덕분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술로, 도수가 낮아 가볍게 마시기 좋아 봄날 야외 피크닉에 제격이다.

술아원, 술아 매화주 전통주 브랜드 술아에서 만든 매화주는 매화 꽃의 향긋한 향과 부드러운 단맛이 조화를 이루는 과하주다. 과하주는 발효주와 증류주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술로, 조선시대 대표 명주 중 하나로 취급된다. 매화를 빚어 산뜻한 풍미와 은은한 꽃향이 입안을 감싸는 것이 특징으로, 낮은 도수의 부드러운 질감이라 탄산수와 섞어 마시기도 한다. 적당한 산미와 달콤한 마무리 덕분에 부담 없이 마실 수 있으며, 특히 치즈가 들어간 샐러드나 레몬 파운드 케이크처럼 상큼하면서 달콤한 음식과 궁합이 좋다.

회곡양조장, 안동국화주 우리나라 대표 전통주 중 하나인 안동소주에 국화 향을 더했다. 안동국화주는 가을에 채취한 국화를 넣어 빚지만, 그 향과 맛이 봄 정취와도 자연스럽게 맞닿아 있다. 가을 햇살을 머금고 자란 국화는 겨울을 지나면서 깊은 풍미를 더하고, 봄이 오면 은은한 꽃향과 함께 부드러운 단맛을 품은 국화주로 완성된다. 전통적인 제조 방식을 고수해 한국 전통주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냉이나 미나리 같은 제철 봄나물과 함께 즐기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