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재 탐험

자재 탐험

자재 탐험

공간이 가진 힘은 자재에서 시작된다. 컬러와 텍스처의 신세계를 열어가는 새로운 머티리얼 쇼룸을 소개한다.

진정성을 담은 시간, 지복득마루

고객과 상담을 진행하는 3층 라운지. 중앙의 가구 서랍을 열면 마루의 컬러와 종류 등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볼 수 있다.

4층 쇼룸에는 마루를 바닥에 펼쳐 비교해볼 수 있도록 넓은 단상을 마련했다.

국내외 프리미엄 원목마루를 선보이는 지복득마루가 지난 30여 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진정성 있는 행보를 이어가고자 새로운 쇼룸을 오픈했다. 이전 쇼룸의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브랜드 철학과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것. 총 4개 층으로 구성된 신사옥에서는 고객을 위한 환대에 집중하고 있다. 고객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3층 지복득마루 라운지는 원목마루를 직접 보기 전 상담을 통해 마루에 대한 이해를 돕고,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이다. 마루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가구도 마루로 제작했으며, 라운지 중앙에는 이전 쇼룸의 빅 테이블 상판을 활용한 서랍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서랍 속에는 마루의 종류와 컬러, 사이즈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다. 4층에서는 지복득마루의 제품을 본격적으로 만나볼 수 있다. 6m 높이의 층고 아래 우뚝 서 있는 다섯 개의 나무 기둥이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는다. 나무 본연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마루의 원재료인 화이트 오크 수종의 통원목 기둥을 세웠다. 넓은 창 앞에는 자연광 아래 자연스러운 원목의 색감을 비교할 수 있도록 단상을 마련한 것도 돋보인다. 2층에는 지복득마루 갤러리가 자리하고 있다. 작가들을 지원한 창립자의 뜻을 이어가고자 마련된 이 공간은 현재 김기대 작가의 전시가 진행 중이며, 앞으로도 꾸준히 전시 및 문화 행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ADD 서울 강남구 언주로133길 25

INTERVIEW
지복득마루 임윤호 대표

지복득마루의 프리미엄 원목마루 브랜드 ‘바람’이 전시되어 있는 4층 쇼룸 벽면.

지복득마루 쇼룸을 새롭게 단장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2024년, 지복득마루가 33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또 같은 해 11월은 지복득 대표님이 돌아가신 지 만 3주기가 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3년이 지난 지금, 대표님을 깊이 기리며 지복득마루의 제2막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공간은 과거의 깊이를 품고, 미래를 향한 열정을 담아낸 공간입니다. 나무의 본질처럼 변하지 않는 가치를 유지하고자 하는 우리의 미래를 향한 의지입니다.

 

타사 자재 쇼룸과는 다른 분위기의 라운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마루 자재를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고객에 대한 따뜻한 환대를 통해 지복득마루가 지닌 진정성과 고유성을 보여드리고자 했습니다. 이것이 지복득마루가 지닌 ‘다름’이기도 합니다. 라운지는 고객에게 우리 감성과 철학을 보여주는 첫 번째 장소입니다. 이곳을 통해 고객은 우리 마음을 먼저 전달받고, 그 이후에 4층 전시장을 둘러보게 됩니다.

자재를 볼 수 있는 4층에서 가장 신경 쓴 점은 무엇인가요? 이전부터 지복득마루는 원목마루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연광이 비치는 바닥에 원목마루를 깔아놓고 각 나무가 지닌 고유의 색상과 질감, 사이즈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드렸습니다. 이를 위해 쇼룸에는 단상을 마련하였습니다. 마루를 바닥에 펼쳐놓는 행위가 마치 하나의 퍼포먼스처럼, 단상은 무대로 표현되며 고객에게 신뢰감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되었습니다.

통원목 기둥을 세워 지복득마루의 정체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지복득마루 제품을 통해 사무 공간 또는 집이 어떤 공간이 되기 바라나요? 단순히 바닥재를 넘어 공간에 생명을 불어넣는 요소가 되기 바랍니다. 사무 공간에는 차가운 효율성에 따뜻한 균형을 더하고, 주거 공간에서는 삶의 이야기와 조화를 이루는 자재를 넘어선 나무의 위로가 함께하기 바랍니다.

 

무한한 색의 가능성, 벤자민무어 컬러스테이션

뉴욕 본사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선보인 컬러 볼트. 서랍 속에 보관된 4000여 가지의 대형 컬러 시트를 직접 꺼내 보며 비교할 수 있다.

넓은 창으로 햇빛이 들어와 밝고 화사한 6층 라운지. 컬러풀한 의자를 배치해 벤자민무어만의 개성을 살렸다.

친환경 프리미엄 페인트 브랜드 벤자민무어가 컬러스테이션을 오픈했다. 이름처럼 모든 컬러가 모이는 정류장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색의 가능성을 보여주려는 포부를 담았다. 지하 1층부터 6층까지 총 7개 층으로 구성된 이 공간은 층마다 다채로운 콘텐츠를 선보인다. 건물에 들어서면 3층까지 탁 트인 높은 층고와 다채로운 색감의 오브제가 한눈에 들어온다. 이는 프랑스 건축가이자 아티스트 엠마누엘 무호 Emmanuelle Moureaux가 특별 제작한 작품 <100 Color Series>로, 화이트를 시작으로 그러데이션된 컬러칩이 모빌처럼 연결되어 있다. 2층은 디자이너와 전문가를 위한 공간으로서, 뉴욕 본사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설치된 컬러 볼트 Color Vault를 만날 수 있다. 이곳에는 4000여 가지 대형 컬러 시트가 준비되어 있어 기존 컬러북의 한계를 넘어 생생한 색상 비교가 가능하다. 지하 1층 쇼룸에서는 주방, 욕실 등 다양한 공간에 페인트를 적용한 사례를 전시하며, 소재별로 페인트가 어떻게 구현되는지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업계 최초로 용도별 페인트를 실제 공간에 구현한 점이 돋보인다. 3층 전시 공간에서는 다양한 기획 전시가 진행되며, 6층 라운지에서도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한 흥미로운 이벤트가 열릴 것이다. ADD 서울 강남구 학동로 151

INTERVIEW
벤자민무어 한명희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욕실에 페인트를 적용한 사례를 볼 수 있는 지하 1층 쇼룸.

오요우 일러스트레이터, 한만오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의 컬래버레이션 작품을 선보이는 3층 전시 공간.

벤자민무어 컬러스테이션을 오픈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벤자민무어는 늘 새로운 도전을 꿈꿉니다. 어디에도 없는 공간을 만들고자 했고, 그 과정에서 컬러의 무한한 가능성을 탐구했습니다. 국내에는 이렇게 다양한 컬러와 자재를 제안하는 공간이 없었죠. 색은 그 자체로도 이야깃거리가 풍부합니다. 컬러스테이션은 색을 오롯이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상된 공간입니다.

이전 공간과 가장 차별화된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페인트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컬러와 자재를 아우르는 공간입니다. 앞으로 국내 시장에 새로운 자재와 브랜드를 제안하고, 영감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계속 발전해나갈 것입니다.

가장 신경 쓴 공간은 어디인가요? 컬러 볼트 공간입니다. ‘볼트’는 금고라는 의미로, 색상을 보관하는 금고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공간의 핵심은 벤자민무어가 특별히 연구 개발한 조명 시스템입니다. 따뜻한 2700K부터 차가운 6500K까지 조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색상의 미묘한 차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인테리어 소재와 매칭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공간이기도 합니다.

엠마누엘 무호의 작품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2층.

벤자민무어 제품을 통해 집 또는 사무 공간이 어떤 공간이 되기 바라나요? 당신만의 컬러로 가득 찬 컬러풀한 공간이 되기 원합니다. 과감한 시도를 통해 자신만의 색을 찾아보세요. 의외의 시작점에서 발상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컬러를 집 안에 들이는 것이 망설여진다면, 작은 공간에서부터 시작해보세요. 드라마틱한 변화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류주엽

TAGS
7 Colors Vitra Loft

7 Colors Vitra Loft

7 Colors Vitra Loft

컬러와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는 비트라하우스 로프트. 디자이너 사빈 마르셀리스가 박공지붕 아래 일곱 색깔로 물들인 공간이 펼쳐진다.

비트라하우스의 최상층에 자리한 로프트.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공간은 민트 그린 톤을 입은 제스퍼 모리슨의 소프트 모듈러 소파로 꾸민 라운지 피트다.

싱그러운 자두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로 새롭게 탄생한 한정판 팬톤 체어.

스위스 바젤 근교의 비트라 캠퍼스는 전 세계적으로 창의적인 건축과 디자인의 허브로 잘 알려져 있다. 디자인에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방문하고 싶은 꿈의 장소일 터. 자하 하디드의 파이어 스테이션과 프랭크 게리의 비트라 뮤지엄 등, 캠퍼스 내 건축물은 명실상부 세계 디자인을 이끄는 이들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이런 공간에 지난여름, 새로운 생명력을 더한 프로젝트가 공개되었다. 바로 네덜란드 디자이너 사빈 마르셀리스 Sabine Marcelis가 참여해 완성한 비트라하우스 로프트 VitraHaus Loft다. 지난해 6월, 비트라하우스 로프트는 디자인과 컬러가 우리 삶을 어떻게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지 톡톡히 보여줬다. “이 공간은 우리 가족의 집을 설계한 철학을 반영합니다. 넓은 오픈 스페이스를 기능별로 나누고, 이를 컬러로 구분해 각 구역이 조화를 이루도록 했죠. 제 디자인과 다른 디자이너, 예술가, 그리고 비트라의 유산을 조화롭게 결합해 하나의 완성된 이야기를 만들었어요.” 마르셀리스가 말했다. 비트라하우스의 최상층에 자리한 이 로프트는 기존 쇼룸의 경계를넘어선다. 컬러중심으로공간을구성했는데, 이는단순한장식이아닌 삶의 이야기를 담은 실험적 무대로 완성되었다. “비트라하우스 로프트는 비트라 가구의 다양성을 보여줄 완벽한 캔버스예요. 여기서는 서로 다른 가구가 마치 한 공간에서 살아가는 캐릭터들의 삶을 보여주는 콜라주처럼 구성되었죠. 색상은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세계에서 영감을 받아 각 공간이 서로 연결되지만,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 매력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비트라의 인테리어 및 시나리오그래피 디렉터 틸 웨버 Till Weber가말했다.

사빈 마르셀리스는 이번 공간 연출과 함께 다양한 제품 컬렉션도 선보였다. 그중 하나인 한정판 조명과 와인 홀더.

자두에서 영감받은 컬러로 꾸민 홈오피스이자 주방. 공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스타일링한 연출이 돋보인다.

건축적 조형미와 아름다운 연핑크빛 대리석이 눈길을 끄는 욕실.

비트라하우스 로프트를 새롭게 변신시킨 주인공 사빈 마르셀리스.

캐러멜 컬러를 입은 조지 넬슨의 코코넛 라운지 체어를 중심으로 꾸민 공간. 차분한 분위기에
식물을 더해 싱그러움을 한층 끌어올렸다.

산뜻한 옐로 컬러가 인상적인 홈오피스 공간.

엘리베이터를 통해 로프트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민트 그린 톤의 넓은 거실 공간과 마주하게 된다. 이곳의 중심에는 재스퍼 모리슨 Jasper Morrison의 소프트 모듈러 소파를 활용해 마르셀리스가 디자인한 독특한 라운지 피트 Lounge Pit가 자리한다. “라운지 피트는 집의 중심이에요. 저도 집에서 라운지 피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가족과 친구들이 모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가장 즐거운 공간이에요. 디자인은 실용적이면서도 따뜻하고 유쾌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로프트는 민트 그린을 시작으로 핑크 톤의 욕실, 캐러멜 컬러의 좌석 공간, 플럼 컬러의 주방 등 각기 다른 색감과 디자인으로 구성된 7개 구역이 펼쳐진다. 다채로운 컬러로 채워진 거대한 팔레트 위를 누비 듯 구역이 나뉘어 있는 모습. 이 공간에 사용된 색상들은 마르셀리스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색으로, 시간이 지나도 질리지 않는 타임리스한 매력을 가졌다. 컬러를 따라 산책하다 보면 자연스레 현대적 디자인의 제품들이 눈에 들어온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비트라의 유산과 현대적 디자인의 조화가 두드러지는데, 마르셀리스는 베르너팬톤 Verner Panton의상징적디자인인팬톤체어와비조나스툴을 새롭게재해석했다. 버블껌, 버터, 허니듀(멜론), 플럼 등 음식에서 영감을 받은 색상으로 새로운 컬렉션을 선보인 것. 이러한 한정판 가구들은 로프트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며 세심한 곳까지 디자인의 영향력을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마르셀리스는 이 로프트 공간을 꾸리기 위해 여러 디자이너와도 손을 맞잡았다. 마리아 프랫츠 Maria Pratts, 조니 메이 하우저 Johnny Mae Hauser, 그리고 폼 FOAM 암스테르담에서 함께 작업한 칼레인 제이콥스 Carlijn Jacobs의작품이공간을더욱풍성하게채우며, 베를린 기반의 아티스트 에산 모르셰드 Ehsan Morshed가 디자인한 특별 제작 프린트 침구도 이번 로프트 프로젝트를 통해 공개했다. “디자인은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에요. 디자인은 우리 삶을 완성하고, 일상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야 합니다.” 공간이 주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의 중요성에 대해 마르셀리스는 강조했다. 지난여름 첫 공개 이후 수많은 방문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 비트라하우스 로프트는 앞으로 2년 동안 연장 운영될 계획이다. 색과 디자인으로 빚어진 이 특별한 공간에서 자신의 삶과 공간에 대해 다시 한번깊이 생각해볼 기회를 얻기 바란다.

기하학적 형태가 돋보이는 조명.

조개 껍데기를 닮아 반짝이는 빛을 내는 오브제.

자둣빛으로 물들인 침실. 패턴 디자이너 에산 모르셰드의 스페셜 에디션 침대 시트도 만나볼 수 있다.

거울에 반사되며 만들어내는 색다른 신 역시 사빈 마르셀리스가 의도한 것이다.

영롱한 빛을 내는 유리 조명.

디자이너 조나스 러츠 Jonas Lutz의 노란 세라믹 꽃병 준 June.

꽈배기처럼 배배 꼬인 형태가 조형적인 테이블 오브제.

조나스 러츠의 대형 나무 조각품 시리즈 ‘숏컷’과 화이트 컬러의 팬톤 체어가 자리한 발코니. 이곳의 최상층에 위치한 만큼 전경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클레멘스 폴록젝 Clemens Poloczek

TAGS
Interior Landscape

Interior Landscape

Interior Landscape

사막 초입부터 풍성한 숲까지, 패브릭과 벽지, 페인트로 그 풍경의 윤곽을 묘사했다. 우리를 바다와 그 너머의 환상까지 데려다줄 세계 지도.

Dune and Sun

1 페인트 ‘Calista Mat CH2 0110 Beige Bongo’. 귀테 Guittet. 1L에 45.78유로.

2 벽지 ‘뒤알리 Dualis’. 나튀르 쉬르 므쥐르 Nature Sur Mesure 컬렉션-텍스튀르 Textures. 까사망스 Casamance. 폭 70cm. 10m 1롤에 163.90유로.

3 아웃도어 폴리프로필렌 패브릭 ‘파티오 04 Patio 04’. 레샤페 L’Echappee 컬렉션. 메타포르 Metaphores. 폭 142cm. 가격 문의.

4 벽지 ‘바나바 03 Barnaba 03’. 텍스추럴 디자인 Textural Design 컬렉션. 인스타빌랩 Instabilelab. 1㎡에 88유로부터.

5 비스코스, 자수를 놓은 리넨, 비스코스 혼방 패브릭 ‘비아지오 Viaggio’. 카멩고 Camengo. 폭 132cm. 1m에 90유로.

6 벽 마감재 ‘칸타 골드 Khanta Gold’. 아마니 Amani 컬렉션. 마쥐렐 Masureel. 10m 1롤에 198유로.

7 면, 비스코스 혼방 패브릭 ‘록 솔레이유 Roc Soleil’. 메타모르포즈 컬렉션. 르리에브르 Lelievre. 폭 143cm. 1m에 182유로.

8 벨벳 효과를 준 벽 마감재 ‘무라트 Murate’. 노빌리스 Nobilis. 폭 133cm. 1m에 185유로.

9 페인트 ‘D-185 Curry’. 나에 Nae, 우니칼로 Unikalo. 3L에 120.82유로.

10 파노라마 벽지 ‘아모니 오르 Ammonis Or’. 레 도미노티에 Les Dominotiers. 가로 140 ×높이 300cm. 시공에 462유로.

11 재활용 폴리에스터 트레비라 Trevira 패브릭 ‘딜문 Dilmun’. 데다르 Dedar. 폭 140cm. 1m에 248유로.

 

The Oasis to Oneself

1 벽지 ‘파보 Pavot’. 르 그랑 시에클 Le Grand Siecle. 1㎡에 110유로.

2 벽지 ‘쇼시 코랄 Shoshi Coral’. 디자이너스 길드 Designers Guild. 폭 70cm. 6m 1롤에 332유로.

3 폴리아미드 패브릭 ‘보라-보라 Bora-Bora’. 마누엘 카노바스 Manuel Canovas. 폭 140cm. 가격 문의.

4 리넨 짜임을 지닌 비닐 벽지 ‘앵 파세 르콩포제 Un Passe Recompose’. 세레 Ceres 컬렉션. 엘리티스 Elitis. 폭 70cm. 10m 1롤에 185유로.

5 페인트 ‘블뢰 앵페리알 Bleu Imperial’. 리폴랭 Ripolin. 2.5L에 49.90유로.

6 페인트 ‘MC92 Rose Soutenu’. 메리게-카레르 Meriguet-Carrere. 1L에 45유로부터.

7 리넨과 면 혼방 패브릭 ‘시나트라 Cynatra’. 오스본 & 리틀 Osborne & Little. 폭 140cm. 1m에 163유로.

8 벽 마감재 ‘모타 튀르쿠아즈 Motas Turquoise’. 팜파 Pampas 컬렉션. 아르트 인터내셔널 Arte International. 폭 100cm. 가격 문의.

 

Backwash and Reflections

1 벽지 ‘체티나드 델프트 Chettinad Delft’. 디자이너스 길드. 폭 70cm. 6m 1롤에 317유로.

2 방수 벽 마감재 ‘어번 지브라 Urban Zebra’. 아쿠아부트 웻 시스템 Aquabout Wet System 컬렉션. 루가 페리시노토 Ruga Perissinotto 디자인. 월 & 데코 Wall & Deco. 1㎡에 200유로.

3 리넨 짜임을 지닌 비닐 파노라마 벽지 ‘르 루아이욤 데 페 Le Royaume des Fees’. 세레 컬렉션. 엘리티스. 가로 560 ×높이 320cm. 시공에 2209유로.

4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 패브릭 ‘리프 라구나 Reef Laguna’. 키퍼 Kieffer. 폭 140cm. 1m에 214유로.

5 골이 진 벨벳 패브릭 ‘보엠 아가트 Boheme Agate’.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 폭 138cm. 1m에 298유로.

6 벽 마감재 ‘오클리 피치 Oackly Peach’. 랩소디 Rhapsody 컬렉션. 마쥐렐 Masureel. 10m 1롤에 191유로.

7 메탈릭한 특징이 가미된 벽지 ‘우수리 미엘 Oussouri Miel’. 피에르 프레이. 폭 134cm. 1m에 219유로.

8 페인트 ‘디르해븐 9819 Dyrehaven 9819’. 패로 & 볼 Farrow & Ball. 2.5L에 107유로부터.

9 비스코스와 실크 혼방 패브릭 ‘킹-지아다 / 리버서블 King-Giada / Reversible’. 루벨리 Rubelli. 폭 135cm. 1m에 214유로.

10 비스코스와 면 혼방 패브릭 ‘카날레토 Canaletto’. 노빌리스 Nobilis. 폭 140cm. 1m에 215유로.

CREDIT

에디터

샤를로트 바이유 Charlotte Bailly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