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하는 예술

대화하는 예술

대화하는 예술

‘나’를 돌아다니는 시간 속에서, 대화는 예술이 되고 존재는 형상이 된다.

TTOS 다이얼로그 갤러리는 완성된 작품을 감상하는 곳이 아니다. 이곳에서의 대화는 예술로 전환되고, 관객은 작품의 일부가 된다.

세 개의 스크린에 띄운 사진 작품 <죽은 나무–가장 강력한 생명>은 하얗게 말라 죽은 나무지만 주변의 푸르른 나무와 화려한 꽃보다 더 강한 생명력을 내뿜고 있다. 흐릿한 안개의 형상을 담은 <무념–흐릿하게 잊을 수 없는 길>은 새벽녘 동틀 무렵, 실제 돌무더기 사이 뒤에서 안개가 살짝 흘러 나온 순간을 포착한 작품이다.

지극히 사적인 시리즈의 두 번째 전시 <지극히 사적인–형상>은 해가 지고 늦은 밤 시작되는 전시다. 단 한 명의 관객과 작가가 3시간 동안 자신을 깊이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 TTOS Dialogue Gallery

죽은 나무 사진을 공간 밖으로 확장한 듯, 전시장 내부는 나무 기둥으로 연출했다.

세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갤러리가 존재한다. 고요한 박물관 같은 전시 공간부터 자유롭게 체험하는 인터렉티브 갤러리, AI 기술이 만든 몰입형 전시까지. 예술은 시대와 함께 진화해왔다. 하지만 여기 그 어느 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독특한 공간이 있다. 바로 TTOS(To The Other Side) 다이얼로그 갤러리다. 이곳은 관객이 작가와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그 대화 속에서 작품이 형성된다. TTOS의 디렉터 김성렵과 제아는 브랜드와 공간 기획자로 오랜 경험을 쌓아왔다. 각각 현대카드 디자인 랩과 SK텔레콤 브랜드 리뉴얼, 복합문화 공간 운영 등을 거쳐오며,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느꼈고, 그 결론이 바로 TTOS였다. “우리는 기존의 갤러리처럼 단순히 예술을 보여주는 공간이 아니라,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공이 되는 곳을 만들고 싶었어요.” TTOS가 자리한 공간은 오랜 시간의 흔적을 품고 있다. 원래 한옥이었던 이곳은 한국건축문화대상 신진건축사 부문에서 우수상을 받은 건축물로서, 박공지붕의 실루엣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요소를 더해 재해석되었다. “건축사사무소 LIM과 함께 설계한 이 공간은 과거와 현재가 대화하는 장소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도 그 흔적이 지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어요.” 건물 재료는 콘크리트, 나무, 벽돌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만 구성되었으며, 지나온 한옥의 기억을 현재 속에 스며들게 했다. 내부의 공간 배치는 관객과 작가가 자연스럽게 마주 앉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빛의 흐름과 함께 여백을 품은 공간으로 완성되었다.

대화가 끝난 뒤 주어지는 자유시간 30분 동안, 작가는 작업 테이블에 가서 관객을 위한 작품을 완성한다.

마주 앉은 두 개의 의자.

TTOS는 ‘지극히 사적인’이라는 전시 시리즈를 통해 각 개인이 내면을 탐구하는 여정을 제안한다. 첫 번째 전시 <지극히 사적인–울림>에서는 로봇 공학을 전공한 정우원 작가가 심장 소리를 기반으로 감정의 흔적을 시각화했다. 그리고 이어 두 번째 전시 <지극히 사적인–형상>에서는 ‘형상’을 주제로, 우리가 서로를 바라보며 인식하는 방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번 전시에서 사진작가 김승렬은 관객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고유한 빛을 포착한다. 그리고 그 순간, 관객은 작품이 된다. “뮤지션 한 사람에 관객 한 사람이면, 둘 다 주인공이거든요. TTOS의 전시는 바로 관객이 작품의 주인공이 되는 과정입니다.” 사실 인터뷰 내내 이곳 기획자인 김성렵, 제아 디렉터는 본 전시에 대해 극도로 말을 아꼈다. 꼭 ‘직접 경험’해봐야 한다는 그들의 말은 단호했고, 궁금증을 더욱 자극했다. 그리고 인터뷰가 끝난 후 마주한 전시는 그들이 왜 그렇게 말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다. 이 전시는 하나의 퍼포먼스였다. 본격적인 대화에 앞서 김승렬 작가는 시간과 형상, 그리고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자신의 작품을 소개했고, 이번 전시는 하나의 작은 연극 무대처럼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1시간 30분가량 작가와의 깊은 대화가 이어졌다. 기억과 추억, 소중한 것들, 그리고 ‘사적인’이라는 의미를 탐색하는 시간이 주어졌다. 그 후 작가와 나는 각자의 시간을 가졌다. 그 시간 동안 작가는 나를 위한 작업을 이어갔고, 그 결과는 전시장 속 하나의 형상으로 남겨졌다. 이 전시는 결국 ‘나’를 돌아다니는 과정이자 자신을 새로운 방식으로 발견하는 여정이었다. 하지만 그 여정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진행되는지는 비밀로 남겨두고 싶다. 에디터가 인터뷰 내내 품은 궁금증처럼, 이 전시를 앞둔 이들에게도 정답을 알려주지 않으려 한다. 이곳에서 무엇을 마주하게 될지는 온전히 당신의 경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과거 한옥이었던 공간의 연속성을 위해 기와의 끝 곡선을 닮은 계단 디자인.

박공 지붕의 실루엣을 유지한 건물 외관.

물속에 가라앉은 돌 무리를 촬영한 사진 작품. 멀리서 보면 안개가 낀 산맥처럼 보이기도 하고, 흐릿한 형상이 꿈처럼 부유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TTOS 다이얼로그 갤러리의 기획자 김성렵 디렉터.

이런 전시 방식을 고수하기에 TTOS는 철저하게 프라이빗한 형태로 운영된다. 하루 단 한 명에서 많아야 네 명의 관객만이 전시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깊이 있는 경험을 보장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대형 전시 공간에서는 작품이 중심이지만, 우리는 관객이 중심인 전시를 원했습니다. 그들의 경험이 예술이 되는 과정은 TTOS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우리 전시를 통해 ‘나를 돌아다니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이야기해요. 마치 여행처럼요.” TTOS의 전시는 바로 그 여행을 떠나는 과정이다. 그 여정의 끝에서, 우리는 새로운 나를 발견하게 된다. TTOS는 앞으로 ‘지극히 사적인’ 시리즈를 6개까지 확장한 후, 또 다른 형태의 전시를 기획할 예정이다. “이곳에서 갖는 경험은 결국 당신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가 곧 예술이 됩니다.”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Nowhere Else

Nowhere Else

Nowhere Else

퓌르뵈와 프레데릭은 융합되기 어려운 화려함과 스위스식의 엄격함을 이 집에 조화시켰다.

석회 고부조 장식과 루이 모르강 스튜디오에서 디자인한 꽃 모양 벽 책장, 와우 디자인 Wow Design의 줄무늬 타일로 마감한 굽도리널, 그리고 더 마지 The Masie 벨벳 카나페 등으로 장식해 눈길을 사로잡는 거실. 단색 쿠션은 메종 드 바캉스 Maison de Vacances, 1970년대 패턴이 있는 쿠션은 엘리티스 Elitis, 스트라이프 쿠션은 아오미 Haomy. 왼쪽 바닥의 책장은 더 소셜라이트 패밀리 The Socialite Family. 낮은 테이블은 스클룸 Sklum. 태피스트리는 러그비스타 Rugvista. 펜던트 조명은 헤이 디자인 Hay Design. 호두나무 벽 패널은 에게르 Egger. 레옹틴 퓌르시 Leontine Furcy의 조각은 파리의 갈르리 무부망 모데른 Galerie Mouvements Modernes.

보석 같은 주방. 거실과 연결된 주방은 “특별히 아름다워야 했어요.” 루이 모르강 스튜디오는 거실 벽과 잘 어우러지도록 나무 구슬 모양의 다리에 상판이 붉은 석류색 타일로 된 테이블을 디자인했다. 테이블 위에 있는 나무 조각은 에쥐 × 라 륀 Heju × La Lune. 촛대는 오로 디자인 Oros Design. 의자는 셀랑시 Selency. 수납장은 플럼 Plum. 호두나무 벽 패널은 에게르. 태피스트리는 노르딕 노츠 Nordic Knots. 펜던트 조명은 헤이. 벽등은 콩탱 Contain.

“스위트룸을 찾기 위해 계단을 오르고 싶게 만드는 약간 재미있는 디자인을 해봤어요.” 계단 앞 부분을 마감한 타일은 와우 디자인. 벽지 ‘엠-플라워 아플라 M-Flower Aplat’는 메종 마르탱 모렐 Maison Martin Morel. 페인트 ‘베르 수브니르 Vert Souvenir’는 크로마틱 Chromatic. 물결 모양의 벽거울 ‘스트림 Stream’은 웨스트윙 Westwing. 선인장 ‘퀘베도 Quevedo’는 AMPM.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과감한 인테리어를 하고 싶었어요.” 새로운 세대의 아파트 컨셉트 호텔, 에드가 스위츠 Edgar Suites의 공동 창업자 막심 브누아는 아무 느낌도 나지 않는 이 옛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 두렵지 않았다. 오히려 파리 16구의 막다른 골목에 이런 집이 숨어 있는 것이 얼마나 드문 일인지, 그 희귀성을 높게 보았다. “정말 조용했어요!” 루이 모르강 스튜디오의 건축가 루이 카스파는 우선 벽을 없애서 공간을 훨씬 더 밝게 보이도록 만들었다. “막심은 한 가지 요구만 했어요. 욕실이 각각 딸린 네 개의 침실을 만들어달라고 했죠.” 카스파가 말했다. 패티오로 열려 있는 큰 거실은 1층에 만들었다. 거실에는 원래 없던 응접실과 다이닝 룸, 주방, 그리고 스위트룸과 사우나실도 있다. “아주 바쁜 하루를 보내고 편히 쉴 수 있는 꿈 같은 공간이에요.” 2층과 3층에는 욕실과 각각 개성에 맞는 세상을 품은 세 개의 침실과 욕실이 있다. 루이 카스파는 바닥재로 여러 수 종을 사용했고, 벽에도 회칠과 패턴 벽지로 다양한 색상을 매치했다. 그리고 굽도리널과 계단 앞부분에 줄무늬 타일을 사용했다. “정말 개성이 강한 집이에요. 세상 어디에도 없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요.”

로프트처럼 리노베이션한 꼭대기 층의 침실에는 공간을 물들이는 빛이 드는 벨룩스 Velux의 철장이 있다. 침대 헤드보드는 에게르의 호두나무 패널. 담요와 줄무늬 쿠션은 아오미. 노란 패턴 쿠션과 베이지색 쿠션은 엘리티스. 세라믹 테이블 ‘마마 Matmat’는 라 르두트 앵테리외르 La Redoute Interieurs. 나무 꽃병은 오로 디자인. 태피스트리 ‘스플릿 피 Split Pea’는 러그비스타.

타일 ‘허니 글로스 Honey Gloss’는 ondacer.com. 가구는 대리석으로 맞춤 제작. 세면볼과 수전은 masalledebain.com. 거울은 H&M 홈 H&M Home. 벽등 ‘에골 Egol’은 팍셀 스토어 Paxel Store. 수건은 아오미. 비누는 타미즈 Tameez.

욕조와 수전은 masalledebain.com. 수건은 아오미.

수채화 느낌을 주는 벽지 포토월 Photowall ‘워터컬러 그린 Watercolor Green’이 구름 속으로 이끄는 듯하다. 침대보와 쿠션은 아오미. 벽등 ‘베스퍼 Vesper’는 웨스트윙.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프랑시 크리스토가탱 Frenchie Cristogatin

WRITER

발레리 샤리에Valerie Charier

TAGS
The Brutalist

The Brutalist

The Brutalist

투박한 질감과 대담한 구조, 모더니즘과 브루탈리즘의 경계에서 태어난 강렬한 조형적 유산.

1 샤샤X샤샤 Sashaxsasha, 룩스 에테르나 Lux Æterna 감각적인 컬렉터블 디자인을 선보이는 파리 디자인 듀오의 캔들 홀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의 직선적인 기둥 위로 둥근 재단을 받치고 있는 듯한 형태로, 성경 속 ‘꺼지지 않는 불빛’을 형상화했다.

2 트랜스퍼렌트 Transparent, 브루탈리스트 스피커 Brutalist Speaker 구조적인 실루엣의 브루탈리즘 조각을 연상시키는 스피커가 공간에 강렬한 존재감을 더한다. 재활용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으며, 기하학적 디자인과 대용량 어쿠스틱 설계로 몰입감 있는 사운드를 제공한다.

3 마틴 라포레 Martin Laforêt, V1LC 24 건설 현장의 콘크리트와 산업 소재에서 영감을 받아 조각적 디자인을 선보이는 프랑스 예술가 마틴 라포레. 몰드를 활용해 콘크리트로 유연한 곡선을 만들고, 옆면에는 거친 질감을 노출시켜 산업적 미학을 강조했다.

4 아파라투스 Apparatus, 리프라이스 테이블 램프 Reprise Table Lamp 부드러운 빛과 묵직한 황동이 만들어내는 극적인 대비. 원형 유리 구를 감싼 틀을 스웨이드 가죽으로 감싸 부드러운 질감을 더했다.

5 미스 반 데어 로에 Mies van der Rohe, MR 체이스 라운지 MR Chaise Lounge 바우하우스 마스터 마르셀 브로이어에게서 영향을 받은 튜브형 스틸 소재로 제작한 라운지 체어. 우아한 곡선을 그리는 캔틸레버 구조로서, 19세기 철제 흔들의자의 고전적 형태와 현대적 소재를 결합했다.

6 마리오 벨리니 Mario Bellini, 글리 스카키 Gli Scacchi 체스판의 요소에서 이름을 본따 유머러스한 조합이 가능한 커피 테이블. 폴리우레탄 폼으로 만들어진 정육면체 구조를 조합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부드러운 가죽 커버를 더해 우아한 질감을 더했다.

7 안드레아 토뇨 Andrea Tognon, 갓 벤치 Got Bench 네덜란드 가구 브랜드 반 로섬 Van Rossum을 위해 디자인한 블랙 브러시 오크 소재의 다이닝 테이블. 두 개가 상호 연결된 베치 탑이 있는 견고한 나무 벤치로, 비대칭적 반달 모양의 다리가 묵직한 균형감을 완성한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