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넨 사용설명서

리넨 사용설명서

리넨 사용설명서

인테리어 패브릭계의 대표적인 고급 소재 ‘리넨’
패브릭 전문가를 통해 리넨에 대한 꼼꼼한 정보를 들어보고 똑똑하게 활용해보자.

ⒸMaisonkorea

Q. 리넨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면처럼 ‘수’에 따른 등급이 있나요?

면에는 ‘Thread Count’라고 해서 100~300~600T/C 등의면적대비 퀄리티 수치가 있지만 리넨은 규격화된 수치는 없습니다. 대신 생육수확 횟수, 기후, 환경에 의해 퀄리티가 달라집니다. 리넨은 1년생 아마의 줄기에서 채취하는 섬유를 말합니다. 이 원료를 플렉스(Flax)라고 부르며 이를 원료로 한 실과 직물 등의 최종 제품을 리넨이라고 합니다. 리넨은 면보다 생산 과정이 까다롭고 가격도 높습니다. 리넨은 크게 리넨을 포함한 마섬유로 대표적인 식물 4가지 황마(Jute), 대마(Hemp), 저마(Ramie), 아마(Linen)가 있습니다.

Q. 원산지별로 리넨 퀄리티에 차이가 있나요?

한국에서 정상적으로 수입 유통되는 고급 리넨 원단은 유럽산이 대부분인데 그중 가장 많은 제품이 벨기에와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며 퀄리티도 유럽에서 가장 좋습니다. 유명한 브랜드는 없지만 2~3대에 걸친 생산 공장이 많죠.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원사를 생산하진 않지만 소재를 개발하고 디자인을 가미해 상품성을 높여 세계 각국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Q. 좋은 리넨과 그렇지 않은 리넨을 구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자세히 원단을 들여다보면 원사 옆에 털이 길게 붙어 있거나, 살짝 흔들었을 때 푸석푸석하고 먼지가 많이 나는 것이 저렴한 리넨입니다. 후가공을 하지 않은 원단일수록 구김이 많이 생기고시간이 지나도 쉽게 펴지지 않으며 수축이 심합니다. 작은 원단 샘플로는 알 수 없으므로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브랜드 인지도를 갖고 세계 여러 나라에 원단을 판매하는 회사의 리넨은 대부분 유럽에서 생산하는데 간혹 저렴한 국가에 아웃소싱, OEM으로 생산할 경우 퀄리티 체크로 품질을 유지하고 있죠.

Q. 리넨은 약한 소재란 편견이 있는데 배당이나 가구에 적용해도 별 무리가 없을까요?

리넨은 생각보다 강한 소재입니다. 면 소재보다도 훨씬 강하죠. 특히 물에 젖었을 때 강해지는 성질이 있는데 약하다는 선입견은 아마도 천연 소재라 무조건 드라이클리닝을 권하는 데에 있는 것 같습니다. 모든 옷에 드라이 클리닝 표시를 하듯이 후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는 태도인 것 같습니다. 특히 인테리어용 수입 리넨은 워싱 처리 후 들여와서 좀더 부드럽고 수축의 단점을 보완하죠. 가벼운 두께감의 워싱한 리넨은 듀벳커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쿠션 커버는 리넨의 두께에 구애받지 않습니다. 가구 커버링 원단은 두께감있고 성글지만 않다면 어떤 리넨이라도 가능하죠.

Q. 리넨 전용 세제나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리넨 관리 혹은 수명에 얼마나 도움이 되나요?

리넨은 중성세제, 울샴푸로 30도 이하에서 세탁하면 됩니다. 하지만 특별히 피부에 닿는 베딩 제품은 식물성 베이스를 사용하는 세제를 사용하면 좋겠죠. 특히 메탈릭프린트 리넨은 잉크가 없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니 꼭 물세탁을 해야 합니다. 액체를 발라서 열처리한 리넨은 자주 세탁하면 광택이 옅어지므로 커튼에 적합합니다. 세탁기에 넣을 때는 꽉 차게 넣지 말고 몇 회에 나눠 분리 세탁하면 주름도 덜 생깁니다. 리넨을 다림질할 때는 물을 많이 필요로 하니 마르기 전에 다림질하면 시간과 수고스러움도 덜 수 있겠죠. 특히 젖은 상태에서 늘어났던 리넨은 마르면 다시 줄어드는 특징이 있으니 당황하지 마세요.

Q. 리넨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일반적인 장점은 면보다 장력이 강하고 젖으면 더 강해지는 성질. 우수한 흡습성과 방습성. 좋은 세탁성입니다. 하지만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장점은 사람의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유일한 패브릭이란 점이죠! 자연 채광 아래서 리넨의 텍스처는 나뭇잎과 돌멩이가 모두 다르듯이 항상 달라 보이죠. 그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커튼감으로 쓸 때는 안감을 겹쳐서 쓰지 말고 되도록 얇은 것을 선택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CREDIT

에디터

TAGS
DDP를 덮친 분홍 구름과 거대한 풍선 캐릭터 정체는?

DDP를 덮친 분홍 구름과 거대한 풍선 캐릭터 정체는?

DDP를 덮친 분홍 구름과 거대한 풍선 캐릭터 정체는?

도심 한복판에 상상력이 내려앉는다.
DDP에 대형 설치 작품 상륙!

‘2025 DDP 디자인&아트’ 포스터

가을의 문턱에서 ‘서울 동대문 디자인플라자 (DDP)’가 야외 미술관으로 변신한다. 오는 8월 28일부터 9월 14일까지 야외 ‘DDP 디자인&아트’가 열리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프랑스 아티스트 ‘빈센트 르로이(Vincent Leroy)’와 호주 뉴미디어 아트 그룹 ‘이너스(ENESS)’가 선보이는 초대형 작품을 주목해 보자.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러 벌룬 <Molecular Cloud>과 감정에 반응하는 거대 풍선 캐릭터 <Pool Teacher>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도심 속 공간에서 새로운 디자인 경험을 초대한다.

〈Molecular Cloud〉 렌더링(시뮬레이션 이미지) ©빈센트 르로이 Vincent Leroy

도시를 품은 움직이는 구름

프랑스 작가 ‘르로이’의 키네틱 설치물 <Molecular Cloud>. 분자의 구조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은 다양한 크기의 미러 구체로 구성해 주변 환경과 하늘, 관람객의 모습을 반사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DDP 야외 공간의 조형성과 도시의 빛을 고려해 재구성됐다. 색과 형태가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리듬은 무채색 건축물 사이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몽환적이고 유동적인 시각 경험 속에서 잠시 멈춰 사유하는 명상의 순간과 도심 속 꿈같은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

〈Pool Teacher〉 렌더링(시뮬레이션 이미지)
©이너스 ENESS

거대 풍선과의 유쾌한 교감

호주의 인터랙티브 아트 그룹 ‘이너스’가 제작한 물과 빛이 어우러진 공공 놀이형 예술 작품 <Pool Teacher>. 높이 10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풍선 캐릭터는 도시 공간 속에서 사람들과 ‘감정으로 대화하는’ 특별한 캐릭터이다. ‘도전’, ‘표현’, ‘사유와 쉼’이라는 세 가지 포즈를 통해 다양한 감정과 메시지를 전한다. 무엇보다도 ‘창의성과 긍정의 감정으로 일상의 기쁨을 채우자’는 의미를 중점적으로 전달한다. 관객들은 조명과 분수 등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놀이와 명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도심 속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기술적 감성과 도시적 상상력이 만나는 DDP를 살아 있는 예술 공간으로 변화시킨다.

CREDIT

에디터

TAGS
프리즈 서울 2025, 세계적인 스타 무용수들이 온다

프리즈 서울 2025, 세계적인 스타 무용수들이 온다

프리즈 서울 2025, 세계적인 스타 무용수들이 온다

세계 무대의 별, 파리 발레단이 서울에?

©Julia Gragnon

프리즈 서울 2025와 함께 열리는 파라다이스 아트 나이트 무대에 세계 최정상의 무용수들이 오른다.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최고 등급인 에투알, 위고 마르샹 Hugo Marchand과 한나 오닐 Hannah O’Neill이 그 주인공. 현대 미술과 발레가 한자리에 만나는 순간이다.

@virgile.guinard

한나 오닐은 2016년 브누아 드 라 당스에서 올해의 무용수로 선정된 뒤 2023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에투알로 임명된 보기 드문 비프랑스인 스타 발레리나다. 반짝이는 경력만큼이나 그녀의 무대는 늘 기대를 모은다.

위고 마르샹은 ‘클래식의 아이돌’이라 불리는 발레리노. 파리 오페라 발레단 입단 이후 자서전 출간, 샤넬, 디올, 에르메스와의 협업까지 무대 안팎에서 존재감을 넓혀왔다.

@sigrid.colomyes @annray2046

두 사람은 이미 가고시안의 르 부르제(Le Bourget)에서 안젤름 키퍼(Anselm Kiefer)의 전시 <황금 천의 들판>을 배경으로 현대 미술과 발레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안무를 선보인 바 있다. 이번에는 세계적인 미술 행사인 프리즈 서울 무대에서 어떤 장면을 펼쳐낼지 관심이 주목된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