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을 따라 난 골목, 담백한 위엄이 느껴지는 집. JtKLab 강정태 소장이 설계한 산과 성벽,
시간과 풍경을 품은 이 집은 한 부부가 꿈꿔온 두 번째 삶의 무대다.

북악산, 인왕산, 북한산의 경치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2층 창문.

나무로 둘러싸여 숲 속 별장 같은 느낌을 주는 집 전경.
북악산과 인왕산을 잇는 성벽, 이를 따라 길이 난 서울 한 주택가의 골목을 오르다 보면 담백하면서도 꼿꼿한 위엄이 느껴지는 대문이 자리하고 있다. 그 안에 들어서면 바깥과는 전혀 다른 풍경이 펼쳐진다. 집이라기보다는 산 속 평화로운 별장을 닮은 곳으로서, 지난해 정년 퇴임한 뒤 꿈꿔온 드림하우스를 실현시킨 집주인과 그 아내의 세컨하우스다. 특이점이 있다면 보통 서울에 본집을 두고, 그 외곽에 세컨하우스를 마련하는 이들과는 달리 이 부부는 반대의 경우라는 것. 경기도 용인에 본집을 둔 집주인은 성벽을 마주보는 부암동의 터전에 세컨하우스를 정했다. 평소 산을 다니며 성벽 바라보는 걸 즐겼다는 그에게 이 집은 찾아 헤맸다기보다는 ‘스스로 찾아온’ 집이었다. “성벽 근처의 동네를 돌며 집을 찾아볼 때는 마땅한 곳이 없었는데, 거의 포기하다시피 했을 즈음 이 집이 나를 찾아왔죠. 마침 수요가 딱 맞아떨어졌어요.”
리노베이션은 JtKLab 강정태 소장의 작품이다. 지붕부터 시작해 사소한 디테일 하나까지 신경 쓴 그는 미니멀한 공간을 연출하기 위해 육안으로는 쉽게 포착할 수 없는 곳에도 힘을 쏟았다. 섀도 갭으로 이어진 벽과 천장이 만나는 경계, 최소한의 존재감만 남아 있는 경첩, 계단의 선과 이어지는 스토리지 선반의 그리드와 공간의 단절을 막기 위해 거실이 아닌 벽쪽으로 자리한 계단 난간까지, 모두 철저한 계산을 바탕으로 설계됐다. 트리밍 라인 없이 빛만 존재하게 한 매립형 천장 조명과 공간감을 넓혀주는 간접조명, 그리고 마주보는 창의 위치와 비율이 일대일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2층 구조 또한 마찬가지. 무엇보다도 집주인이 갈망했던 성곽의 풍경과 북한산과 북악산, 인왕산이 내려다보이는 뷰를 위해 넓은 통창으로 개방감을 주는 것 또한 중요한 부분이었다. 2층 침실에는 개방 가능한 천창 또한 설치해 자연의 빛과 소리를 더욱 가까이 느낄 수 있다.

성곽에서 내려다본 집.

강정태 소장은 공간을 미니멀하게 연출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디테일에도 힘썼다. 계단의 선과 일치하는 선반의 그리드도 그중 하나.

집을 둘러싼 산의 풍경을 온전히 담기 위해 통창을 설치했다.

2층으로 연결되는 계단 난간은 공간에 개방감을 부여하기 위해 벽쪽에 위치한다.
보일러실이었던 곳은 커피머신이 들어선 전이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문을 열면 신발을 벗지 않고도 바깥 정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벽의 마감은 물성에 깊이를 주기 위해 스페인 회사 세멘트 디자인의 제품을 활용했다. “자세히 보면 그리드의 가로선이 랜덤으로 흐르는데, 시간이 지나며 내추럴함이 돋아났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업했어요. 단순하게 작업하면 흥미롭지 않잖아요. 게다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아래에 있는 단열 보드 때문에 그리드가 틀어지는데, 이를 숨기기 위한 트릭이기도 한 셈이죠.” 빗물이 흐르는 파이프 또한 과감하게 제거했다. 대신 외벽 양쪽 끝에 길을 내 빗물이 흐르도록 했다. 실용적인 동시에 미적 욕구를 충족해주는 선택지였다. 낮았던 지붕도 확장을 통해 선을 살리는 동시에 높이를 높였다. 깔끔함을 선호하는 집주인의 취향에 맞춰 집 톤은 전반적으로 오프화이트로 통일성을 부여했지만,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새롭게 설치한 내부 기둥은 오렌지색으로 칠해 선명한 활기 또한 부여했다.
“집에 누군가를 초대하면 항상 듣는 말이, 눈에 거슬리는 요소가 하나도 없다는 거예요. 화려해서 탄성을 자아내기보다는, 반듯하고 정돈된 디테일이 크게 티가 나진 않아도 보는 이를 편하게 해주는 거죠.” 담백함을 선호하는 집주인의 취향은 강 소장의 작업 방식과 일맥상통해 그 어느 때 보다도 즐거운 작업이 가능하게 했다. 강 소장은 말한다. “원래 있던 건물을 다시 설계할 때, 기존에 있던 것은 그대로 둬야 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건드리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저는 설계하는 사람은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이번 작업을 하면서 그런 관념에 최대한 저항하려고 노력했죠.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도 클라이언트와 소통을 많이 한 작업이기도 해요.” 집 주인의 니즈와 의중을 파악하고, 때로는 설득과 타협, 치밀한 계산을 통해 탄생한 이 집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무게를 더해가는 성벽과 함께 깊고 단단한 터전을 이뤄갈 것이다.

바닥부터 책꽂이, 천장까지 이어지는 나무의 질감.

보일러실이었던 곳을 전이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집주인의 아이디어로 주방의 수납장과 작업대는 칸스톤으로 마무리하며 물성을 부여했다.

정원의 흙은 사비석으로 채웠다.

미니멀한 디테일들이 돋보이는 2층의 화장실과 천장.

2층 침실에 천창을 설치해 자연광이 쏟아지도록 했다.

바로 위에서 내려다본 집의 모습. 구조적인 물성이 돋보인다.

집 외관에는 세월이 갈수록 자연스러운 시간의 흔적이 새겨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