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와 호텔 사이 아파트와 호텔 사이 아파트와 호텔 사이 by 원지은| 전 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일하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호텔이 브루클린에 새롭게 오픈했다. 패브릭 소파와 안락의자로 꾸민 안락한 거실이 인상적인 스위트룸. © Alice Gao 장기 여행을 하는 방문객이 많아지면서 뉴욕에 새로운 형태의 호텔이 생겨나고 있다. 바로 주택과 by 원지은|
환기할 시간 환기할 시간 환기할 시간 by 원지은| 1년여에 걸친 리노베이션을 마치고 드디어 5월 18일, 호암 미술관이 대문을 활짝 열었다. 삼성의 창업자 호암 이병철 선생이 30년에 걸쳐 수집한 한국 미술품을 바탕으로 1982년 개관한 호암 미술관. 에버랜드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선뜻 방문하기에는 쉽지 않지만 수려한 자연경관이 펼쳐져 자연의 by 원지은|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by 김민지| 순수한 조형과 자연의 빛을 재료로 설계하는 건축가 안도 타다오. 50년 넘는 그의 건축 인생을 집대성한 개인전 <안도 타다오-청춘>이 그가 설계한 뮤지엄 산에서 열린다. 뮤지엄 산 입구에 영구 설치된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청춘’. 도전정신으로 가득한 사회를 염원하는 그의 by 김민지|
시간을 담는 함 시간을 담는 함 시간을 담는 함 by 강성엽| 성년을 맞은 한미사진미술관이 그동안 쌓아온 시간과 사진 예술의 확장을 꿈꾸며 ‘뮤지엄한미’로 새롭게 태어났다. 압축된 시간과 그 밀도의 힘으로 가득 찬 공간은 자체로 반짝거렸다. 해가 중천을 넘어갈 즈음, 뮤지엄한미 2층에는 빛의 태피스트리가 펼쳐진다. 강운구, 주명덕 사진가가 기증한 LP by 강성엽|
병풍에 펼친 한국의 미 병풍에 펼친 한국의 미 병풍에 펼친 한국의 미 by 강성엽| 병풍을 들여다보면 우리의 모습이 보인다. 간직하고 싶을 만큼 멋진 풍경, 장수를 기원하는 마음, 드러내고 싶은 상징 등. 이 모든 마음이 가치 있듯 하나하나가 매력적인 무궁무진한 병풍의 세계로. 아무 의미나 목적 없이 서 있는 대상을 보고 ‘병풍 같다’고 표현한다. by 강성엽|
生生活活 生生活活 生生活活 by Maisonkorea.com|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국 미술가는 최정화가 아닐까? 죽기 전에 꼭 한번 가봐야 하는 곳으로 알려진 일본 기리시마 예술의 숲에서 최정화 작가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기리시마 예술의 숲 아트홀 전경. ‘굿 하베스트 포레스트’ 연작의 하나인 파인애플 조각이 by Maisonkorea.com|
미술관 안 레스토랑 미술관 안 레스토랑 미술관 안 레스토랑 by 강성엽| 입구부터 심상치 않다. 셰프가 선택한 식재료 하나하나까지 나름의 이유가 있다. 뉴욕에 오픈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프레보는 새롭고 신선한 경험에 집중한다. 시각적 경험부터 미각적 경험까지 프레보는 새로움과 신선함으로 가득하다. / © Diane Kang 만약에 정확한 주소로 레스토랑을 찾아갔는데, by 강성엽|
미술가 이진용의 새로운 작업실 미술가 이진용의 새로운 작업실 미술가 이진용의 새로운 작업실 by 이소영(프리랜서)| 이진용 작가가 부산 대신동에 새로운 공간을 마련했다. 지난 30년간 해운대에서 여러 곳의 작업실을 운용했는데, 이제 바다가 아니라 산과 마주한 곳에 자신만의 공간을 가지고 싶었다고 한다. by 이소영(프리랜서)|
헤르조그 앤 드 뫼롱의 미술관 헤르조그 앤 드 뫼롱의 미술관 헤르조그 앤 드 뫼롱의 미술관 by 이소영(프리랜서)| 스위스 건축 듀오 헤르조그 앤 드 뫼롱 Herzog&de Meuron이 설계한 두 개의 미술관이 홍콩과 서울에서 각각 개관한다. by 이소영(프리랜서)|
반 고흐의 침대에서 하룻밤 반 고흐의 침대에서 하룻밤 반 고흐의 침대에서 하룻밤 by 신진수| 고흐가 머물렀던 ‘아를의 침실’을 그대로 재현한 방에서 하룻밤을 지낸다면 얼마나 멋질까? 그 상상이 실제로 이루어졌다. by 신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