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뒤의 레스토랑

그림 뒤의 레스토랑

그림 뒤의 레스토랑

갤러리 뒤 숨겨진 미슐랭 다이닝, 프레보.

갤러리처럼 꾸며진 레스토랑 프레보의 입구는 그림 뒤 숨은 문으로 이어진다. © Max B

짙은 녹색 벽과 연갈색 가죽 의자가 어우러진 프레보의 메인 다이닝 룸. © Max B

뉴욕 로컬들이 사랑하는 그리니치 빌리지의 한 골목에는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 프레보 Frevo가 자리한다. 통창 너머로는 작은 갤러리처럼 보이지만, 한 벽면에 걸린 페인팅 뒤 감춰진 문을 열면 단 16석으로 이루어진 다이닝 바가 모습을 드러낸다. 공동 설립자 베르나르도 실바 Bernardo Silva는 뉴욕의 스피크이지 문화에서 영감받아 이 비밀스러운 구조를 구상했다. “아무리 오래 살아도 다 알 수 없는 도시가 뉴욕”이라며, 그는 “이 도시의 진짜 재미는 숨겨진 장소를 하나씩 발견해가는 데 있다”고 말한다. 프레보는 실바와 브라질 출신 셰프 프랑코 삼포냐 Franco Sampogna가 함께 만든 공간이다. 두 사람은 17세에 프랑스 남부에서 처음 만나, 언젠가 뉴욕에 둘만의 레스토랑을 열자는 약속을 했다. 이후 각자의 자리에서 커리어를 쌓은 후 약 10년 만에 그때 약속을 현실로 옮겼다.

다이닝 룸 내부에 걸린 Mr.StarCity의 페인팅. © Max B

할라피뇨 가스파초와 캐슈 크림을 곁들인 방어 요리. © Evan Sung

인테리어를 맡은 세계적인 건축 스튜디오 록웰 그룹 Rockwell Group은 금속과 목재, 컬러의 균형을 섬세하게 조율해 절제된 감각을 구현했다. 천장과 벽면은 짙은 청록색으로 통일해 공간의 몰입감을 높였고, 바 좌석에는 연갈색 가죽을 사용해 따뜻함을 더했다. 와인 디스플레이 캐비닛은 백라이팅과 짙은 베이지 톤의 석재를 활용해 기능성과 미감을 동시에 살렸고, 갤러리와 다이닝룸 사이를 잇는 벽면은 감쪽같이 색을 입혀 하나의 평면처럼 매끄럽게 연결했다.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프레보의 음식은 전 세계의 재료와 조리법을 유연하게 엮어낸다. 초콜릿과 와사비, 꿀 아이스크림과 콩테 치즈 같은 의외의 조합을 소개하는 테이스팅 메뉴는 시즌마다 새롭게 바뀌며, 와인 셀렉션 역시 내추럴부터 클래식 빈티지까지 폭넓게 구성된다. 입구를 겸하는 갤러리에서는 신진 작가부터 유명 작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시가 수시로 교체된다. ‘끓다(Ferver)’라는 뜻의 포르투갈어에서 이름을 딴 프레보. 이곳은 그 이름처럼 늘 새로운 무언가로 들끓는다.

CREDIT

에디터

WRITER

박지민(뉴욕 통신원)

TAGS
한식 디저트의 재발견

한식 디저트의 재발견

한식 디저트의 재발견

현대적 감각을 입고 새롭게 태어난 전통 한식 디저트.

개성주악

레몬 유자 양갱

흑임자 화과자, 개성 약과, 금귤정과

한입에 담긴 계절, 믜요
아담한 접시에 차와 어울리는 다과를 정갈히 담아내는 연남동 티룸, 믜요. 한식 다과를 폭넓게 맛보고 싶다면 들러볼 만하다. 개성주악부터 약과, 양갱, 정과까지 정성스레 빚어낸 디저트가 찻잔 옆에 가지런히 놓인다. 6가지 다과를 맛볼 수 있는 ‘다정한 세트’를 선택했다. 특히 이곳의 양갱은 계절마다 달라지는 과일을 활용해 맛과 형태에서 재미를 더한다. 과실의 산뜻한 풍미를 살린 양갱은 보기에도 사랑스럽다. 가장 인상 깊은 것은 레몬 유자 양갱. 산 모양을 닮은 삼각형 형태에 노란 꽃이 피어난 듯한 모습이 시선을 끈다. 백앙금 위에 얹힌 투명한 유자 양갱은 빛깔부터 은은하고, 맛은 상큼하게 입안을 채운다. 식감은 예상보다 단단하지만, 과하게 달지 않아 부담없이 즐기기 좋다. 개성 모약과 역시 인상적이다. 한입 크기의 네모난 약과는 겹겹이 쌓인 반죽이 입 안에서 바스러지며 생강 조청의 고소한 풍미를 전한다. 다만, 위에 뿌려진 가루는 다소 텁텁하게 느껴졌다. 개성주악은 겉코팅이 꽤 단단해 포크로 집기 어려울 정도. 도넛에 가까운 식감이 예상과 달라 아쉬웠다. 이 외에도 금귤 정과, 흑임자 화과자, 피칸 강정이 함께 제공된다. 일부 다과는 현장 구매도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예약제로 운영되니 방문 전 확인이 필요하다.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한식 디저트를 오롯이 즐기고 싶을 때, 믜요는 조용히 찾아가고 싶은 공간이다.
INSTAGRAM @muiyo___ EDITOR 원하영

푸른뱀 세트 2025 에디션

약과의 변신, 골든피스
최근 케이터링이나 브랜드 행사에서 약과를 선물로 받는 일이 잦아졌다. 이게 요즘 유행인가 싶어 궁금하던 차, 한남동 골든피스를 찾아가봤다. 카페처럼 앉아서 먹을 수 있는 공간일 거라 짐작했지만, 예약 픽업 위주로 운영되는 곳이었다. 낱개로 구매하는 건 가능하지만, 틴케이스 패키지를 원한다면 사전 예약이 필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 인테리어는 꽤 신경 쓴 모습이었다.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약과를 닮은 곡선형 황금 데스크. 은은한 조명과 클래식한 디스플레이, 틴케이스를 줄지어 진열한 벽면은 전통을 현대적으로 풀어내려는 브랜드의 의도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토끼, 사슴, 푸른뱀의 3가지 세트 구성을 판매하는데, 올해의 시그니처 맛 ‘푸른뱀 세트 2025 에디션(12개입)’을 골랐다. 참깨, 흑임자 같은 익숙한 재료부터 레몬 요거트, 얼그레이처럼 낯선 조합까지 전통과 트렌드를 적절히 혼합한 구성이 인상적이다. 맛은 예상대로 쫀득하고 달콤하다. 다만, 약과 자체가 가진 기름짐은 여전히 존재하니, 여러 개를 한꺼번에 먹기보다는 천천히 나눠 즐기기를 추천한다. 최근에는 찹쌀, 초코 약과를 더한 시즈널 우유 아이스크림 메뉴도 판매하니 색다른 방식으로 즐겨봐도 좋을 듯! ‘할머니 입맛’이라 불리던 약과의 변신이 궁금하다면, 골든피스를 방문해보기를.

INSTAGRAM @goldenpiece_korea EDITOR 원지은

밤, 말차, 사과, 밀크티 양갱

팥빙수

전통 재료의 현대적 해석, 무원
세라믹 테이블웨어 브랜드 무자기와 프리미엄 양갱을 선보이는 적당의 김태형 셰프가 차린 무원은 한국 곳곳의 식재료를 활용해 다양한 디저트를 선보이는 곳이다. 경산 대추를 이용한 대추 휘낭시에, 서산 감태를 이용한 감태 휘낭시에, 전북 부안의 팥을 갈아 만든 팥빙수와 수제 양갱, 앙버터설기 등 전통 식재료엔 현대적 기법이 가미되어 있다. 특히 인상적인 메뉴는 팥빙수다. 팥알이 전혀 씹히지 않을 정도로 부드럽게 간 크림이 얇고 고운 우유얼음 위에 수북이 쌓여 나온다. 평소 팥을 활용한 음식을 즐기는 편이 아니었기에 별 기대 없이 주문했지만, 팥의 떫거나 쓴맛보다는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극대화되어 취향을 타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맛이었다. 양갱은 가게를 방문할 당시 남아 있던 밤, 사과, 말차, 밀크티 4개를 골고루 주문했다. 사과 양갱은 젤리처럼 반투명한 질감을 가졌는데, 한입 베어 물었을 때 퍼지는 산뜻한 향과 가벼운 산미가 퍼져 기존 양갱과는 색다른 느낌을 선사했다. 그에 비해 밤 양갱은 한결 전통적인 구조를 따르고 있었는데, 고운 밤 앙금 안에 작은 밤 조각이 박혀 있어 단조롭지 않은 텍스처가 인상적이었다. 말차와 밀크티 양갱은 평소 단맛을 즐기지 않는 내겐 살짝 달게 느껴졌지만, 그럼에도 재료 본연의 깊은 풍미가 살아 있어 충분히 만족스러운 디저트였다. 다음에는 부모님과 함께 방문하고 싶다.
INSTAGRAM @cafe.muwon EDITOR 문혜준

CREDIT
TAGS
‘뉴욕 와인’으로 여는 한 잔의 여름

'뉴욕 와인'으로 여는 한 잔의 여름

'뉴욕 와인'으로 여는 한 잔의 여름

지금 마시기 딱 좋은 ‘뉴욕 와인’과
조합하기 좋은 메뉴들.

 

 

Pairing Tips

 

1 울퍼 에스테이트, 서머 인 어 보틀 로제
뉴욕 롱아일랜드 햄튼스의 여름을 그대로 병에 담은 듯한 울퍼 에스테이트 Wölffer Estate의 서머 인 어 보틀 로제 Summer in a Bottle Rosé는 이름처럼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맛이 상쾌하다. 은은한 복숭아 향과 잘 익은 멜론, 시트러스의 조화가 기분 좋은 산미와 어우러져 무더운 날씨에 잘 어울린다. 특히 아시아식 샐러드, 연어 타다키, 스시, 베트남식 월남쌈과의 조합이 탁월하다. 상큼한 민트, 라임, 생선 소스 같은 재료들과의 궁합이 좋아 여름 저녁 테라스에서 가벼운 음식과 곁들이면, 마치 여행을 떠난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 아폴로스 프레이즈, 드라이 리즐링 라호마 빈야드
아폴로스 프레이즈 Apollo’s Praise의 드라이 리즐링 라호마 빈야드 Dry Riesling Lahoma Vineyards의 알코올 도수는 12.5도로 낮지만, 입을 가까이 대는 순간 퍼지는 풍부한 아로마와 입안 가득 느껴지는 복합적인 과일 풍미가 매력적이다. 선명한 산미 덕분에 전체적인 밸런스도 훌륭해서 자연스럽게 손이 간다. 특히 매콤한 아시아 요리와 찰떡이라, 스파이시한 타이 누들이나 김치볶음밥, 혹은 고수가 첨가된 베트남식 볶음요리와 즐기는 것을 추천한다. 매운맛을 부드럽게 감싸주면서, 와인의 과일 풍미가 요리의 풍성함을 더욱 살려줄 것이다.

3 버튼우드 그로브 와이너리, 언오크드 샤도네이
가볍고 신선한 스타일을 좋아한다면 버튼우드 그로브 와이너리 Buttonwood Grove Winery의 언오크드 샤도네이 Unoaked Chardonnay 2024를 추천한다. 오크 숙성을 하지 않아 샤도네이 본연의 생동감 있는 과일 풍미가 고스란히 살아 있고, 질감도 산뜻하고 깔끔해 부담없이 즐길 수 있다. 첫 모금에서 전해지는 풋사과, 배, 시트러스의 뉘앙스가 입안을 맑게 채워준다. 리코타 치즈를 곁들인 가벼운 샐러드나 삶은 아스파라거스에 허브 오일을 뿌린 요리, 혹은 크림치즈를 올린 크래커나 스시와 함께 즐겼을 때 가장 잘 어울린다. 담백하면서도 섬세한 맛의 음식들과 조화를 이루며 와인의 상큼함이 더욱 살아난다.

4 닥터 콘스탄틴 프랭크, 세미 드라이 리즐링
조금 더 부드러운 스타일을 원한다면 닥터 콘스탄틴 프랭크 Dr. Konstantin Frank의 세미 드라이 리즐링 2023이 제격이다. 은은한 단맛과 생동감 있는 산미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한 모금 마시는 순간 기분이 환해지는 느낌이다. 과실 향과 은은한 꽃 향기, 미네랄리티가 길고 섬세하게 이어지면서 입안을 부드럽게 감싸준다. 가리비나 새우 등 해산물 요리, 특히 크림소스를 곁들인 메뉴와 잘 어울린다. 중식이나 태국 요리, 혹은 모로코식 향신료가 들어간 요리와 함께 마셨을 때 와인의 풍미가 더욱 풍성하게 살아난다. 감미로운 향신료와 와인의 균형감 있는 달콤한 산미가 탁월한 페어링을 만들어준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