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작품으로 탄생한 리모와 수트케이스

리모와의 'As Seen By' 전시

리모와의 'As Seen By' 전시

 

리모와 캐리어의 소재를 활용한 작가들의 전시 <As Seen By>가 열렸다.

 

오랜 팬데믹으로 세계인의 여행과 이동이 자유롭지 못할 때, 캐리어 역시 제기능을 하지 못했다. 이에 리모와는 수트케이스 제작에 사용하지만 활용하지 못하는 알루미늄 원자재를 자신들이 후원하던 아티스트에게 제공해서 작품을 의뢰했다. 하늘길은 닫혔지만 동시에 새롭고 흥미로운 기회가 열린 것이다.  1937년 첫 알루미늄 수트케이스를 선보인 이후로 리모와는 지금까지 파격적인 행보를 이어왔는데, 이러한 헤리티지는 <As Seen By> 전시를 통해 기념된다. <As Seen By>는 순회전으로 기획되어 전세계를 순항하다 세 번째 목적지로 서울을 찾았다.

이번 전시를 통해서 리모와는 브랜드를 대표하고 상징하는 소재에 대한 관점을 한 차원 진화시켰다. 국내 및 해외를 망라하는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는 리모와의 고유 패턴이 새겨진 그루브 알루미늄 판과 부속품 등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했다. 재료를 탐구하는 아티스트의 독창적인 시선과 공예적인 아름다움을 고루 살필 수 있으니 새로운 영감을 갈망하는 이들에게는 신선한 자극이 되어 주었다.

 

 

 

 

국내 작가로는 강재원, 김준수, 김현희, 이광호, 이시산, 최원서 등이 이번 서울 전시에 새롭게 참여했고, 파리와 마이애미 전시에 이어 맥스웰 아킨 (Maxwell Arkin), 션 브라운(Sean Brown) 작가 등이 전시에 참여했다.

비록 서울에서 개최된 <As Seen By>는 막을 내렸지만, 다른 개최국에서 현지 작가들과 협업한 전시는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전시는 리모와의 역사적 고향인 독일 쾰른에서 최종 마무리한다.

 

김현희

 

 

오현석(Niceworkshop)

 

 

최원서

 

 

택모사 (TEXMOSA)

 

 

 

CREDIT

어시스턴트 에디터

강성엽

TAGS
김은영 매듭장의 봄

봄을 닮은 아름다운 작품을 선보이는 김은영 매듭장

봄을 닮은 아름다운 작품을 선보이는 김은영 매듭장

서울시무형문화재 제13호 명예매듭장 김은영의 집은 작업실이자 인생을 담은 공간이다. 봄꽃을 닮은 김은영 매듭장의 아름다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담긴 숨은 이야기를 들어보자.

안경집 매듭. 한복은 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주머니가 필요하다. 안경집, 향낭, 필낭, 도장 주머니, 담배쌈지 등에 매듭을 달아 멋진 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다.

 

김은영 매듭장이 끈틀을 이용해 끈을 만들고 있다.

분주한 일상을 살다 보니 매듭의 맵시를 자주 보지 못한다. 과거의 우리나라는 적삼 단추와 주머니, 노리개에 이르기까지 실용성과 멋을 갖춘 매듭을 하루라도 사용하지 않은 적이 없었는데, 급격히 서구문화를 받아들이다 보니 요즘은 매듭의 낭만을 아는 이가 드물어 아쉬운 마음이다. 오히려 우리보다 해외에서 한국 매듭의 아름다움에 관심이 큰 것 같다. 인터뷰 며칠 전 김은영 매듭장의 작업실에 영국 빅토리아 앤 앨버트 미술관에서 온 손님이 방문했다. 소장 작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한국관의 탄생 배경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김은영 매듭장을 만나러 온 것이다. “세 번의 전시가 인연이 되어 1992년 빅토리아 앤 앨버트 미술관에서 내 작품 6점을 소장하게 되었습니다. 빅토리아 앤 앨버트 미술관의 한국관에서 내 작품을 볼 수 있어요. 그리고 지난해 미술관에서 <세계의 실크 파우치> 특별전을 했는데, 나의 매듭 주머니 작품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해요.” 해외 전시를 16번이나 했던 김은영 매듭장인지라 해외 유명 미술관에서 그녀의 작품이 잘 알려져 있다. 바티칸 미술관, 우라센케 자료관, 비엔나 민속박물관, 시애틀 동양예술박물관 등에서 그녀의 매듭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건축가 김중업이 1967년 완공한 아름다운 집.

 

정원에서 강아지 모카와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는 김은영 매듭장. 소나무 숲 속에 만들어진 자택이라 사계절 내내 정원이 아름답다.

해외 전시를 통해 현지 매듭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실크로드를 경유해 동서양 매듭의 교류가 있었던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고.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의 커튼 끝에서 우리나라 가락지 매듭과 같은 모양을 발견하고 감탄 했고, 한국 중국 일본의 기본 매듭이 같다는 것도 흥미롭다. 우리나라 매듭은 특별한 날만 쓰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서민과 왕족, 남녀노소 모두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매듭은 비단실을 천연 소재로 염색해 은은한 광택이 아름답다. 비단실은 그 안에 가느다란 구멍이 있기에 빛이 한 번 굴절되어 자연스러운 광택이 우러나는 것. 우리나라 38가지 기본 매듭은 모두 자연에서 영감을 받았기에 요즘 같은 봄이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매듭이 있다. “봄이 되면 세 가지 나비 매듭이 생각납니다. 암나비매듭, 수나비매듭, 거꾸로나비매듭이 있지요. 병아리매듭과 매화매듭도 아름답습니다. 가을이 되면 잠자리매듭, 국화매듭을 떠올리는 이들이 있습니다.”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13호 명예 매듭장인 그녀는 전통에만 천착하지 않는다. 염색하고, 다회 짜고, 술을 비비는 기능 자체는 변하면 안 되지만, 매듭의 매력을 널리 알리는 것이 그녀의 목표다.

 

매화나무 가지가 창가에 드리운 거실 풍경. 오른쪽 파란색이 아름다운 그림은 부군 전성우 화백의 작품이다.

 

매년 봄, 단 2주만 맛볼 수 있는 진달래화전. 김 매듭장은 요리책도 낼 만큼 요리에도 일가견이 있다.

 

문서를 넣는 고비유서와 현대적 스타일의 테이블 조명 매듭 장식이 멋스럽다.

“매듭이 박물관에서 멋지게 전시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서 사용되어야지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대적으로 매듭을 진화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커튼 끝에 매듭 장식을 매달거나 식탁 테이블에 매듭을 사용해도 좋아요. 왕실 여성들이 사용했던 진주낭을 조금 크 게 만들면 핸드백보다 아름답고, 양장 옷에도 매듭 브로치나 목걸이가 잘 어울린답니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매듭은 크지 않기 때문에 매듭장의 작업이 대단히 힘들어 보이지는 않은데, 가마와 같은 큰 작품의 굵은 매듭을 만드는 것은 장정이 매달려도 힘이 들 정도로 보통 일이 아니었다. 조선시대 기록에 의하면 102명의 매듭장이 의궤에 남아 있는데 모두 남성이었을 정도다. 더군다나 원래 염색장, 해사장, 끈목장, 매듭장이 나누어 했던 일을 혼자 하려니 밤을 새우기도 했다.

“남편인 전성우 화백이 매일 새벽까지 작업하는 나를 안쓰러워 했었지요. ‘화가인 나보다 당신이 더 예술가’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공예와 현대미술의 경계를 나누어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데, 나는 공예가와 미술가의 마음 자세는 같다고 생각합니다. 공예 작품은 실제로 사용하는 것이고, 미술 작품은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은 다르고요. 요즘 젊은 공예가는 추상에 가까운 사용하기 어려운 작품도 발표하지요. 매듭 전승 공예가의 입장에서는 전통에 대한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는다면 신선한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왼쪽부터 합죽선을 넣었던 산호 장식 부채 주머니, 노란색의 12사 끈목에 장미석 구슬로 장식한 부채 주머니, 십장생 문양을 수놓은 붓을 넣는 필낭, 궁수저집은 끈술과 병아리매듭, 생쪽매듭으로 장식했다.

 

오른쪽의 푸른 색깔이 아름다운 은복숭아 3개 삼봉술 노리개. 세계 각국에서 수집한 개구리 조각 사이에서 은은한 빛을 발한다.

수도자의 자세로 실을 짜면서 무념무상의 경지에 이르곤 하는데, 노리개를 하나 만들 경우 자그마치 12m 길이의 실을 짜야 한다. 특히 수양하는 마음 자세가 필요한 것이 매듭 맺기인데, 참을성과 창의성이 필요하다. 마치 단색화 작가가 수행하고 명상하듯 노동집약적으로 작업에 임하며, 스스로 수련하고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다. 급한 성격을 가진 이도 매듭을 배우면 조금은 차분해진다고 한다. 이렇게 힘든 제작 과정을 극복하기 위해 김은영 매듭장은 테니스와 요가로 건강을 관리해왔다. 팔순의 나이에도 꼿꼿한 자세를 가진 그녀의 또 다른 건강 비결은 정원 가꾸기와 꽃꽂이다. 전성우 화백을 먼저 떠나보내고 헛헛한 마음을 달래기 위해 정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더 길어졌다. 자택이 있는 곳은 원래 소나무 숲이었는데, 1966년 5월 전성우 화백과 약혼하고 1 년 동안 저택을 만들었다고 한다. 르 코르뷔지에에게 사사한 건축가 김중업이 만든 현대적 건축물은 57년이 지난 지금까지 리노베이션 한번 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세련된 위엄을 과시한다. 집 앞에는 간송미술관이 있으니 마음 든든하면서도 책임감이 크다. “정원에는 소나무뿐 아니라 모과나무, 매화, 철쭉, 진달래, 목단, 처자꽃이 가득합니다. 튤립과 향수선화, 히야신스도 직접 심었지요. 처자꽃은 아버지께서 선물하신 것이라 볼 때마다 아버지가 생각납니다.”

알려져 있다시피 김 매듭장의 아버지는 시인 김광균이며, 시아버지는 간송 전형필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미술을 공부한 그녀는 전성우 화백을 만나 미국 유학을 포기했지만, 우연히 신문에서 매듭장에 대한 기사를 보고 매듭을 공부하기로 결심한다. 아버지는 그녀가 전업주부로 머무는 것을 경계하며, 매듭장의 길을 갈 수 있도록 끊임없이 격려해주었다. “아버지는 여성이라도 자신의 일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하 셨고, 항상 책을 많이 읽으라고 권하셨어요. 남편도 액자 제작이나 염색에 대해 아낌없는 의견을 나누어주었기에, 사 남매를 키우면서도 매듭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팔순의 나이에도 매듭에 대한 열정은 여전하다. 오는 9월 제자들과 안동에서 전시를 갖는다.

 

책과 전시 도록을 꾸준히 출간하며 매듭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있다.

시어머니께서 4대째 전해 내려오는 귀한 산호를 선물해 노리개를 만들 수 있게 했고, 고조할아버지의 호패도 매듭 작품으로 만들 수 있었다. 1987년 47살에 이르러 오랫동안 가고 싶었던 대학원에서 염색을 공부했고, 1996년 서울시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영광을 누렸다. 70여 명의 제자들과 전시를 해오다 60대의 젊은 제자에게 무형문화재의 자리를 물려주고, 이제는 명예 무형문화재로 활동 중이다. 바로 지난해에도 서울공예박물관에 서 제20회 김은전승매듭연구회 특별전 <궁연과 매듭II>를 가졌다. “<궁연과 매듭II> 전시는 궁중 행사인 진찬연에서 사용한 매듭과 기물, 악기의 매듭 전시입니다. 제21회 전시는 올해 9월 안동문화원에서 열립니다. 빛과 매듭을 주제로 전시를 구성할 예정입니다. 그다음 22번째 전시는 강릉에서 열릴 것 같고, 부산과 대구에서도 전시가 대기 중입니다.”

 

집 안 곳곳 소반이 놓여 있는데, 각각 추억과 이야기를 담고 있어 더욱 소중하다.

 

진주를 장식한 진주낭과 금실로 수놓은 금수낭은 21세기에도 사용 가능한 시대를 뛰어넘는 기품을 갖추고 있다. 가장 왼쪽의 작은 작품은 도장 주머니다.

간송미술관에서 4월 16일부터 6월 5일까지 전시 <보화수보 寶華修補>가 열린다. 손님들이 많이 찾아올 것 같아, 육포와 정과를 미리 만들어두었다. 김은영 매듭장은 책도 낸 소문난 요리사이기도 하다. 매듭 전시 준비와 작품 아카이브는 물론이고 그림과 글을 쓸 계획이라 하루하루가 바쁘다. 그녀와의 만남으로 잠시 잊고 지냈던 매듭의 아름다움을 상기할 수 있어 반갑다. 봄 색깔을 담은 우아하고 사랑스러운 매듭을 일상에서 사용하는 즐거움을 우리도 만끽해보자.

CREDIT

포토그래퍼

임태준

writer

이소영

TAGS
DOLCE&GABBANA IN HOUSE

베니스에서 공개한 돌체앤가바나의 까사 컬렉션

베니스에서 공개한 돌체앤가바나의 까사 컬렉션

돌체앤가바나가 지난 8월, 베니스에서 최초 공개한 까사 컬렉션을 만나볼 수 있는 까사 스토어를 오픈한다.

돌체앤가바나가 지난 8월, 베니스에서 최초 공개한 까사 컬렉션을 만나볼 수 있는 까사 스토어를 오픈한다. 각각 라노 코르소 베네치아 7번가와 비아 두리니 23번가에 오픈하는 까사 스토어는 각기 다른 지향점을 지닌 것이 특징. 코르소 베네치아 7번가에 위치한 까사 쇼룸의 경우, 쿠션이나 프린트 퀼트, 무라노 라스와 시칠리아 세라믹 접시 등의 인테리어 소품이나 테이블웨어가 중점적으로 비치되어 있다. 이와 함께 돌체앤가바나 특유의 화려한 색채와 패턴을 입은 향초와 목제 장식도 만날 수 있다. 비아 두리니 23번가에 위치한 까사 스토어에서는 럭셔리 리빙 그룹과의 협업을 통해 탄생한 웅장한 패브릭 소파부터 오크 테이블, 바 캐비닛을 아우르는 다양한 캐비닛까지 돌체앤가바나 스타일로 완성한 가구를 둘러볼 수 있다. 돌체앤가바나 DNA와도 같은 레오퍼드, 지브라, 카레토, 블루 메디테라네오 테마 등으로 탄생한 가구와 라이프스타일 아이템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일 듯.

WEB www.dolcegabbana.com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