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을 변화시키는 소재

관점을 변화시키는 소재

관점을 변화시키는 소재

 

비닐에 천착하는 디자이너 김지선은 소재가 지닌 한계를 넘어 새로운 시각과 가능성을 전달한다.

 

브랜드 이솝과 함께 선보였던 키클로스 캠페인. 삼청점에서 수거한 폐비닐을 이용해 베이스를 제작했다.

 

지속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

영국 런던 킹스턴 대학에서 프로덕트&퍼니처 디자인을 공부했다. 당시 자연 소재를 이용해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드는 과정을 배워보거나, 우유 찌꺼기를 고체화시켜 작품을 만드는 워크숍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수업을 들을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소재가 너무나 익숙한 유럽의 디자인 환경이 당시 우리와 많이 달라서 생경하게 다가왔다.

 

특히 비닐 소재로 작업을 많이 하는데, 작업의 시초가 무엇이었나?

한국으로 돌아온 뒤, 처음에는 페트병을 소재로 다양한 실험을 했다. 당시 많은 작가가 페트병을 녹여 치약을 짜내듯 압출기로 성형해 재가공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다른 방식을 고민하던 중 페트병과 같은 폴리에틸렌 비닐 소재가 눈에 들어왔다. 주위를 돌아보니 버려지는 비닐이 너무 많았다.

 

조명을 넣어 소재의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블루밍 시리즈.

 

소재를 만드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줄 수 있나?

옷을 만드는 과정과 흡사하다. 비닐을 겹친 뒤 열로 압착해 특수한 패브릭을 만든다. 그 후 1대1 종이 패턴을 패브릭 위에 붙이고 따라 잘라준다. 작업에 따라 두께나 색상은 다르다. 평면의 조각들이 나오면 열을 이용해 서로 이어 3D 입체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소재는 원하는 것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참 매력적이다. 조명을 넣어 빛을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도 있고 천장이나 벽을 위한 설치물이 될 수도 있다.

 

사용하는 비닐은 어디에서 오는 것들인가?

주로 모아놓은 것을 사용하는 편이고, 기업에서 기증 받아 사용하기도 한다. 삼성, 이솝, 무신사 등 지속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는 기업과 협업을 진행해왔다.

 

 

사진 제공: 김지선

 

8월 6일까지 한지문화산업센터에서 열린 <울림과 재생 Resonance of Renewal>전에서 한지와 비닐이라는 이질적인 소재가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았다.

이전부터 닥종이의 결 같은 무늬 때문에 폴리비닐 소재를 보고 한지냐고 물으시는 분이 많았다. 이 두 가지 소재를 잘 어우러지게 표현하고 싶어 하나하나 이어 붙이고 접어 나가는 주름 기법을 적용했다. 과거와 현재, 개인과 문화 사이, 간과되고 버려진 것 안에 내재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싶었다.

 

삼성과 함께 선보였던 ‘더 웨이브’. 그는 인공적인 소재에 온기와 미학을 담아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다. © 피스피스

 

지금까지 선보인 작품 중 가장 애정하는 작품을 하나만 꼽는다면?

조명을 넣었던 블루밍 시리즈다. 폴리 소재가 빛을 만나면 더욱 감성적이고 살아 있는 듯한 생동감이 느껴진다. 빛의 투과가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서는 굉장히 섬세하고 까다로운 작업 과정이 요구된다.

 

최근 한지문화산업센터에서 열린 <울림과 재생> 전시 모습. © 피스피스

 

지속가능한 소재의 가장 큰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일반적으로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는데, 그 한계를 넘어 새로운 가능성과 시각을 전달할 수 있는 점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주변에 흔히 널려 있는 이런 것들도 작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의 출발점이 다양해진달까. 또한 생명이 끝났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되는 영원성 또한 큰 매력인 것 같다.

 

지속가능한 디자인이란?

재생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다음 세대까지 지속될 수 있는 구조와 환경, 시스템을 만드는 것. 예를 들면 미래를 위해 재생 소재에 대해 천착하는 국제 단체 매테리움(materiom.org)이 그렇다. 과학자와 엔지니어, 건축가, 디자이너 등을 위해 바이오 기반의 새로운 자재의 구성 요소와 제조 방법을 공유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옥스퍼드나 MIT 같은 대학과도 협업한다.

 

재생 비닐에 주름의 형태가 더해져 리듬감을 만들어내는 모빌. © 피스피스

 

요즘 가장 주의 깊게 보는 관심사는 무엇인가?

디자인과 작품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일이다. 활동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공예 쪽으로 전시를 몇 번 하다 보니 나도 모르는 새 공예 작가라는 타이틀이 붙여졌다. 그런 틀에 갇히기보다 디자이너나 아티스트로 각인되고 싶다. 그 연장선에서 포르마판타스마 Formafantasma의 작업을 좋아한다. 작품 안에 사람과 소재, 디자인, 공예, 메시지가 한데 잘 버무려져 있다.

 

마치 한지 같은 인상을 주지만 재생 비닐로 만든 소재다. © 피스피스

 

작업 중인 작품 이야기를 해준다면?

다가올 프리즈 기간에 금호 알베르에서 공개될 작품인데,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의 지속가능성 라인과 협업해 제작한 아트 피스다. 본드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재활용한 소재를 이용한다.

CREDIT

에디터

TAGS
한스 베그너의 유산

한스 베그너의 유산

한스 베그너의 유산

역사 속에 감춰져 있던 또 하나의 의자가 복기됐다. 바로 1965년 한스 베그너가 칼한센앤선을 위해 디자인한 CH45 흔들의자다. 흔들의자에 매료되었던 한스 베그너는 기능에 초점을 맞춰 체계적인 방식으로 접근했는데, 편안하게 앉아 몸을 흔들고 쉽게 몸을 일으킬 수 있도록 완벽한 비율로 제작했다.

 

 

또한 뒷부분이 올라오면서 독특한 곡선미를 보여주는 팔걸이와 등받이의 기울기, 목베개를 달기 위한 등받이의 홈, 페이퍼 코드 시트 등에서 그의 디테일을 엿볼 수 있다. 모든 CH45 흔들의자는 덴마크 젤스테드 Gelsted 장인들의 손에서 만들어지며, 절제되고 단순한 아름다움을 직접 경험해볼 시간이다.

 

WEB www.carlhansen.com

CREDIT

에디터

TAGS
그림에 담은 낭만

그림에 담은 낭만

그림에 담은 낭만

최철용, 강준영 작가의 <관계의 낭만>전시가 이탈리아 하이엔드 가구 브랜드 리아에서 열린다.

 

최철용 작가의 대표 작품 ‘Lo Sto Bene 저는 잘 지내요’.

 

이탈리아 아티장의 장인 정신을 담은 하이엔드 가구를 전개하는 리아 LIA가 여섯번째 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그간 리아는 ‘Life Inspiration&Art’를 모토로 우리 삶에 영감을 주는 예술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개관 이래 꾸준히 유망 작가를 소개하며 문화 예술의 통로가 되고자 노력해왔다. 그런 리아가 다가오는 가을을 맞아 최철용, 강준영 작가가 펼쳐낸 전시 <관계의 낭만>으로 또 한번 관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하이엔드 가구 브랜드 리아는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삶과 밀접한 예술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한다.

 

최철용, 강준영 작가는 스승과 제자로 시작해 오랫동안 관계를 지속하며 배움과 신뢰, 성장과 존중으로 이뤄낸 특별한 유대감으로 서로 간의 열정을 공유해왔다. 두터운 관계를 쌓아온 두 작가가 처음으로 함께하기에 더욱 의미 있는 이번 전시는 각자의 해석으로 표현한 낭만주의가 관람 포인트다. 이번 전시에서 감상할 수 있는 대표 작품은 작가 내면의 감정에서 출발해 ‘관계’라는 변혁적인 특성에서 영감으로 자극하며 새롭게 발생된 면을 담아냈다. 평면 작업과 추상성이라는 공통된 틀 안에서 각각 최철용은 레이어, 강준영은 물감의 층위와 질감에 주목한 마티에르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두 작품이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르게 공명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강준영 작가의 대표 작품 ‘우리가 선택한 기록이 사랑이 될 무렵’.

 

예술계 사제지간으로 유명한 앤디 워홀과 바스키아가 그러했듯 두 사람의 만남은 오스카 와일드의 극 속 “로맨스의 본질은 불확실성이다”라는 대사처럼 하나의 가능성으로 떠오를 것이다. 최철용, 강준영 작가는 그들이 만들어낸 관계성과 리아와의 만남 그리고 전시를 찾은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개성 가득한 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여름의 끝자락에서 마주한 두 작가의 색다른 낭만주의를 감상해보길 바란다. 전시는 8월 24일부터 9월 27일까지 리아 쇼룸에서 열린다.

TEL 리아 쇼룸 02-6480-8950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