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방두와 생트로페 사이의 모르 산악지대 발치에 자리한 도맨 뒤 라욜 정원에는 수십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
전 세계에서 온 이 식물들은 이 지역 기후를 공유한다. 놀라운 초록 세상으로의 초대.
20세기 초에는 부자들을 위한 휴양지였다가 두 차례의 세계대전 사이에는 카지노 호텔이었고, 1970년대에는 관광을 위한 부동산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 그러다가 1989년 연안보존소가 건축가의 열정을 지키기 위해 이곳을 구입했다. 지금은 바다가 바라보이는 이 이국적인 천국을 도맨 뒤 라욜 협회가 관리하고 있다.

13개 구역 중 하나인 아메리카 정원은 건조한 기후에서 자라는 선인장과 다육식물로 구성돼 있다.
이 정원은 걸어서 다닐 수 있다. 수영용 오리발을 착용하고도 다닐 수 있다. 이예르 Hyeres 섬을 마주한 지중해를 바라보며 자리한 20만㎡의 아름다운 정원, 도맨 뒤 라욜 Domaine du Rayol. 방문객에게 개방한 13개 구역은 사실상 포시도니아속 식물로 구성돼 있다. 수영복을 입은 방문객은 말미잘, 문어, 해삼 등을 볼 수 있다. “1989년 조경사 질 클레망이 이곳을 복원했을 때 바라던 바였어요.” 이 정원의 책임자 타오 람사가 말했다. 피귀에 Figuier 만에 있는 이 곳 바다 속 구역 옆에는 전 세계의 놀라운 식물들이 자라고 있다. “날씨가 아주 덥고 겨울에도 온난한 바르 Var와 비슷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식물들입니다.” 질 클레망은 멕시코 선인장, 남아프리카 선인장, 카나리아 제도 용선인장, 캘리포니아 사이프러스, 호주 유칼립투스, 아시아 아열대 기후의 셀러리 종려나무, 칠레 가시 푸야 Puya 등 전 세계의 희귀한 식물을 이곳으로 가져왔다. 타오 람사는 “이 정원의 또 다른 특이성은 화살표도 표지판도 없다는 거예요. 방문객들이 정원에 완전히 몰입하도록 하기 위한 아이디어였죠”라고 말한다. 이곳은 20세기 초 생겨 주인이 여러 번 바뀌었는데 지금은 연안보존소의 소유가 되었다. 이는 세심한 정원사들의 보호를 받는 보물 같은 녹색 정원을 영속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식물들이 지난해 겨울처럼 몇 달간 쏟아지는 비와 여름철의 전에 없던 건조한 날씨 속에서 살아가는 걸 지켜보며 예상할 수 있습니다. 고사리류를 좀 더 세심히 보살펴야 하고 이런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들을 심어야 한다는 걸 말이죠.” 정원은 계속 변화하고 있고, 우리는 이곳에서 길을 잃어도 좋다.

유칼립투스, 아가베, ‘시어머니의 방석’이라고도 불리는 칼리스테먼 등 다양한 식물을 모아놓았다.

질 클레망이 1989년 만든 정원의 경사지에 깔린 조약돌

화살표도 표지판도 없는 오솔길이 나 있다.

20세기 초부터 있는 우물.

바다로 떨어지는 모르 Maures 산악지대의 경사지에 여러 종의 선인장을 심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