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모어레스 건축사사무소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모어레스 건축사사무소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모어레스 건축사사무소 by 김민지| 창의적이고 역량 있는 건축가를 발굴해 건축의 문화적 저변을 확대하는 젊은건축가상. 2023년 수상의 기쁨을 맞이한 세 팀과의 인터뷰. 모어레스 건축사사무소 2022년 완공한 제주 독채 스테이 수리움. 푸른 하늘과 담장, 처마, 초록의 조경이 함께 어우러진다. 사무실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by 김민지|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건축사사무소 김남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건축사사무소 김남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건축사사무소 김남 by 김민지| 창의적이고 역량 있는 건축가를 발굴해 건축의 문화적 저변을 확대하는 젊은건축가상. 2023년 수상의 기쁨을 맞이한 세 팀과의 인터뷰. 건축사사무소 김남 프라콩뒤 주택 프로젝트. © Kimnam 두 분은 어떻게 만났나요? 저희는 예일대학교에서 유학 중에 만났습니다. 남호진(이하 남) 소장은 미국에서 by 김민지|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아지트스튜디오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아지트스튜디오 기쁜 우리 젊은 건축가들; 아지트스튜디오 by 김민지| 창의적이고 역량 있는 건축가를 발굴해 건축의 문화적 저변을 확대하는 젊은건축가상. 2023년 수상의 기쁨을 맞이한 세 팀과의 인터뷰. 아지트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 40년 연식의 노후화된 건물을 리노베이션해 만든 ‘콘크리트 도서관’. 아지트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의 간략한 소개를 부탁합니다. 현재 혜화의 고즈넉한 동네에 by 김민지|
살아있는 동안은 모두가 청춘, 여든의 안도 타다오 살아있는 동안은 모두가 청춘, 여든의 안도 타다오 살아있는 동안은 모두가 청춘, 여든의 안도 타다오 by 박효은| 안도 타다오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다섯 가지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건축 거장 안도 타다오. 원주 ‘뮤지엄 산’에 안도가 설계한 명상관 ‘빛의 공간’과 그의 인생 전반의 작품이 담긴 '안도 타다오 展-청춘' 전시가 오픈했습니다. 그간 건축물로만 그의 존재를 짐작했다면 지금이야말로 안도 타다오에 대해 제대로 알아볼 때. 지난 15일 '가능성은 스스로 만든다'를 주제로 개최된 강연에서 최근 전시와 공간, 그리고 인생에 대해 그는 이야기했습니다. '가능성은 스스로 만든다' 강연장에서의 안도 타다오 ©️뮤지엄산 안도 타다오의 어린 시절 by 박효은|
술을 빚는 공간 술을 빚는 공간 술을 빚는 공간 by 강성엽| 독창적인 디자인을 자랑하는 국내 양조장 세 곳을 찾았다. 특색 있는 술맛만큼 매력적인 그곳의 건축 이야기. 자연의 순환을 담은 발효 건축, 복순도가 국산 쌀을 옛 항아리에 담아 전통 방식으로 막걸리를 빚는 복순도가는 울산시 언양이란 작은 농촌에 양조장이 by 강성엽|
파리 속 아라비안 나이트 파리 속 아라비안 나이트 파리 속 아라비안 나이트 by 김민지| 빛의 건축가 장 누벨이 설계한 아랍문화원에 아랍 전통 요리를 맛볼 수 있는 레스토랑 다르 미마가 문을 열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 로라 곤잘레스가 디자인한 레스토랑 내부 모습. © Romain Ricard 파리에는 전 세계 195개의 국적을 가진 사람이 by 김민지|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by 김민지| 순수한 조형과 자연의 빛을 재료로 설계하는 건축가 안도 타다오. 50년 넘는 그의 건축 인생을 집대성한 개인전 <안도 타다오-청춘>이 그가 설계한 뮤지엄 산에서 열린다. 뮤지엄 산 입구에 영구 설치된 안도 타다오의 청사과 ‘청춘’. 도전정신으로 가득한 사회를 염원하는 그의 by 김민지|
Past & Contemporary Past & Contemporary Past & Contemporary by 원지은| 역사와 전통을 고스란히 보존한 채 잠들어 있던 15세기의 궁전이 현대건축가의 손길로 새롭게 태어났다. 마치 르네상스 시대의 귀족이 된 듯한 기분마저 들게 하는 피렌체의 저택으로 초대한다. 프레스코풍 벽화와 붉은색의 토스카나 테라코타 바닥 그리고 곳곳에 자리하는 예술 작품이 다이닝의 by 원지은|
MARAYA in Desert MARAYA in Desert MARAYA in Desert by Maisonkorea.com| 자연과 문화를 비추는 랜드마크로 세워진 ‘마라야 콘서트홀’. 미지의 사막 한가운데서 풍경을 투영하고 예술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마라야는 소중한 자연경관을 기리고 인류의 역할과 책임을 반영하는 존중의 건축 프로젝트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산이자 미래를 상징한다. © Photo by Gio Forma by Maisonkorea.com|
스타니슬라시아 클라인과 카사블랑카에서 보낸 72시간 스타니슬라시아 클라인과 카사블랑카에서 보낸 72시간 스타니슬라시아 클라인과 카사블랑카에서 보낸 72시간 by Maisonkorea.com| 파리 토박이 디자이너가 모로코 경제의 중심이자 국제 도시 카사블랑카의 숨겨진 보석 같은 공간을 공개한다. 파리 토박이 디자이너 스타니슬라시아 클라인은 1991년, 패션 하우스 스텔라 카덴테 Stella Cadente(이탈리아어로 별똥별을 의미)를 론칭했다. 옷, 주얼리, 액세서리, 백, 향수를 디자인한 그는 시앙스 포 by Maisonkorea.com|